-
‘메가 스팩’ 줄줄이 청산...실패로 끝난 대형화 실험
공모금액이 수백억원에 달했던 중대형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이 연이어 청산 수순을 밟고 있다. 최근 3년간 증권사들이 벌였던 ‘메가 스팩’ 경쟁이 결국 시장의 외면으로 빈손으로 끝나는 흐름이다.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드림스팩1호가 추석 연휴 이후 사실상 청산 절차에 돌입할 전망이다. 오는 10일까지 합병대상을 공시하지 않으면 상장폐지 대상에 오른다.지난해 NH스팩19·20호가 먼저 문을 닫았고, 올해 들어서도 하나금융25호스팩을 시작으로 삼성스팩7호가 청산됐다. 다른 삼성스팩8호는 상장폐지를 위한 정리매매를 진행 중이다. 이들은 모두 공모금액이 300억원이 넘는 대형 스팩이다.스팩은 상장 이후 3년 이내에 다른 기업과 합병을 완료해야 한다. 합병에 성공하지 못하면 6개월 전부터 청산 절차를 밟아 상장 폐지된다.국내 스팩 시장에서 대형화의 신호탄은 2021년 NH투자증권이 상장시킨 NH스팩19호(960억원)와 NH스팩20호(400억원)였다. 당시 스팩의 공모금액은 60억~120억원 수준이 일반적이었는데 NH투자증권이 승부수를 던졌다.그 뒤를 이어 2년여 동안 하나금융25호스팩(400억원), 삼성스팩7호(300억원), 삼성스팩8호(400억원), 미래에셋드림스팩1호(700억원), NH스팩29호(255억원), KB제27호스팩(250억원), 신한제11호스팩(360억원) 등이 증시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공모주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시가총액 3000억원 이상, 또는 1조원 대어급 IPO 기업까지도 스팩합병을 선택지로 삼을 것이란 판단이었다. 일반 상장 실적을 쌓기 어려웠던 만큼 신규 스팩 상장을 통해 주관실적을 메우려는 의도도 깔려있었다.그러나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 피아이이, 크리에이츠 등 일부 기
-
KB증권, 대형 스팩 상장 재도전...‘IPO 개점휴업’ 속 스팩 역할 기대
KB증권이 대형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상장을 다시 추진한다.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 공모금액이 수백억 원에 이르는 대형 스팩 상장을 추진했다가 흥행 실패로 철회한 데 이어 세 번째 도전이다.작년 10월 이후 10개월여 동안 일반 IPO 대표 주관 실적이 전무한 가운데 스팩으로 그 공백을 메우려는 전략이란 관측도 나온다. 공모액·공모가 낮춰 세번째 도전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증권은 전날 KB제27호스팩을 코스닥에 상장하기 위한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공모 예정 금액은 250억원이다. 공모 예정 주식 수는 1250만주, 공모가는 2000원이다.통상 스팩 상장 예비 심사는 일반 IPO 기업과 비교해 일찍 마무리되는 만큼 이르면 11월 상장이 가능할 전망이다.KB증권이 대형 스팩 상장을 추진하는 건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선 도전에선 모두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하며 무산됐다.지난 3월 공모금액 400억원 규모의 KB제24호스팩의 상장에 실패한 후 6월 공모금액을 320억원으로 낮춰 재도전에 나섰지만 번번이 기관투자가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이번엔 공모금액을 250억원으로 낮추고 공모가도 2000원으로 내렸다. KB제24호스팩의 경우 공모가가 1만원이라 투자자 부담이 컸다는 의견을 수렴해 전략을 수정했다. 이미지 쇄신을 위해 KB제24호는 건너뛰고 KB제27호로 새롭게 시장의 평가를 받는다.작년부터 스팩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는 만큼 대형 상장스팩의 필요성이 컸다는 평가가 나온다.KB증권은 작년 옵티코어(KB제20호스팩) 합병으로 2019년 이후 약 2년 반 만에 스팩합병 물꼬를 텄다. 올해도 KB제23호(카티스)와 KB제22호(세니젠)가 스팩합병을 진행하고 있다.스팩합병 결실이 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