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국고채 30년물 2.63% vs 10년물 2.77%…보험사 '초장기채 사재기'에 금리 역전

    국고채 30년물 2.63% vs 10년물 2.77%…보험사 '초장기채 사재기'에 금리 역전

    초장기 30년·50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10년 만기보다 낮아지는 이례적인 ‘금리 역전’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보험회사들이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초장기채 매입을 늘린 영향이다. ‘초장기채 수요 폭발→금리 하락 가속화→건전성 악화’라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2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이날 연 2.631%를 기록했다. 만기가 더 짧은 10년 만기채(연 2.766%), 20년 만기채(연 2.732%)보다 금리가 낮았다. 5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2.527%로 10년 만기와 30년 만기 대비 더 낮았다.일반적으로 채권은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다. 가격이 더 싸다는 의미다. 장기 채권일수록 금리 변동과 같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 모두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10년 만기 국채보다 더 높은(저렴한) 이유다. 통상 경기 침체가 예상될 때 장단기 금리 역전이 나타나지만, 3년 만기 국고채 금리(연 2.348%)는 10년 만기보다 낮다.최근 국내 초장기채 금리가 역전된 배경엔 보험사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초장기채 공급이 시장(보험사) 수요를 따라오지 못해 가격은 오르고, 금리는 내리는 것이다. 보험사는 주로 장기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돈이 들어올 시기와 나갈 시기를 맞

  • 보험사 자본 규제 완화…지급여력 150→130%로

    보험회사가 지켜야 하는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기준이 기존 150%에서 130%로 낮아진다.금융위원회는 이런 내용이 담긴 보험업법 시행령·감독규정을 입법 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지난달 보험개혁회의에서 발표된 보험업권 자본규제 고도화 방안의 후속 조치다. 당국은 후순위채 중도 상환 및 인허가 등의 요건으로 보험사에 킥스 비율 150%를 준수할 것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최근 금리 하락 등으로 보험사의 킥스 비율이 급락해 규제 준수가 어려워지자 당국이 권고치를 조정하고 나섰다.해약환급준비금 적립 비율 규제도 완화했다. 기존에는 킥스 비율이 190% 이상일 때 준비금을 80%만 적립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170% 이상이면 된다.신연수 기자

  • '건전성 감사보고서'가 뭐기에…일주일 넘게 제출 못한 롯데손보

    롯데손해보험이 보험업권에서 유일하게 ‘지급여력(K-ICS·킥스) 감사보고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보험사는 매년 3월 말까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담긴 보고서를 공개해야 하는데, 롯데손보는 기한을 1주일 넘기고도 감감무소식이다. 회사가 제시한 자본비율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된다.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지난달 말 결산 경영공시에 킥스 감사보고서 대신 ‘지급여력 및 건전성 감독기준 재무상태표’만 공개했다. 일반적으로 보험사는 금융감독원에 킥스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재무상태표를 첨부한다. 반면 롯데손보는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받지 못해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했고 첨부 문건인 재무상태표만 낸 것이다.보험사는 다른 업권과 달리 일반 감사보고서와 킥스 감사보고서를 모두 제출해야 한다. 킥스 감사보고서에는 건전성회계(PAP)에 따라 작성한 킥스 비율, 자산 및 자본·부채 등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담긴다. 일반 감사보고서에서 외부감사인에게 적정 의견을 받았더라도 킥스 감사보고서에선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회계 처리 방식을 두고 감사인과 회사 간 의견 조율이 끝나지 않았다”며 “현재 회사가 제시한 숫자는 외부에서 검증받지 않아 100%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롯데손보가 유일하게 킥스 감사보고서를 내지 못한 것은 계리적 가정 때문이다. 작년 보험업권에서 무·저해지 보험의 계리적 가정을 둘러싼 ‘실적 부풀리기’ 의혹이 나온 뒤 금융당국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는데, 롯데손보는 유일하게 ‘원칙 모형’ 대신

  • 역대급 실적 손보사 지급여력은 '빨간불'

    국내 5대 손해보험사는 지난해 순이익 7조원을 돌파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하지만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등 건전성 지표 관리엔 비상이 걸렸다.1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국내 대형 손해보험사 5곳의 지난해 순이익은 7조4280억원으로, 전년(6조4110억원)보다 1조원 넘게 늘었다. 상위 5개 손해보험사의 순이익이 7조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5개사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삼성화재의 순이익은 2조736억원으로, 업계 최초로 ‘2조 클럽’에 가입했다. 현대해상은 전년 대비 33.4% 증가한 1조307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DB손해보험(1조7722억원)과 메리츠화재(1조7105억원) 순이익도 각각 전년 대비 15.3%, 9.2% 늘었다. KB손해보험은 전년 대비 17.7% 증가한 839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반면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킥스 비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킥스는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다. DB손해보험의 킥스 비율은 2023년 말 기준 233%에서 지난해 말 202%로 31%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KB손해보험은 216%에서 188%로, 현대해상은 173%에서 156%로 하락했다. 삼성화재(265%)도 전년 말 대비 8%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정 가이드라인 도입에 이어 금리 인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신연수 기자

  • 롯데손보 건전성 '흔들'…금감원 집중 점검 돌입

    롯데손보 건전성 '흔들'…금감원 집중 점검 돌입

    손해보험업계 7위인 롯데손해보험의 건전성을 둘러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를 간신히 웃도는 상황에서 금리 하락, 회계제도 변경 등이 추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면서다. 금융당국도 롯데손보 정기검사를 마친 지 한 달여 만에 수시검사에 다시 착수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의 킥스 비율은 작년 3분기 말 기준 159.8%(경과조치 적용 기준)를 기록했다. 전년 말(213.2%) 대비 50%포인트가량 급락했다. 당국 권고치(150%)를 밑으로 뚫을 기세다. 국내 31개 손보사 가운데 롯데손보보다 킥스 비율이 낮은 곳은 부실 금융사로 지정된 MG손해보험(43.4%)뿐이다.문제는 킥스 비율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먼저 금리 하락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꼽힌다. 금리가 내려가면 킥스 비율도 하락하기 때문이다.더 큰 문제는 회계제도 변경에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1월 “손보사들이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을 낙관적으로 추정해 실적을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하며 주요 계리적 가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보수적인 ‘원칙 모형’과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예외 모형’ 중 하나를 채택하도록 했다. 롯데손보는 다른 회사와 달리 유일하게 예외 모형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원칙 모형을 적용하면 킥스 비율이 150%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금융당국도 롯데손보의 건전성 현황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전날 롯데손보를 상대로 수시검사에 들어갔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말 롯데손보를 정기검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상 킥스 비율이

  • 보험사 자본비율 20%P 급락할 듯

    금융당국이 마련한 새 회계기준(IFRS17) 개선안을 적용하면 보험사의 지급여력(K-ICS) 비율이 20%포인트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회사의 지급여력 비율은 금융당국 권고치(150%)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7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재무영향평가에 따르면 IFRS17 제도 개선 이후 보험업권의 지급여력 비율은 지난 6월 말(217.3%) 대비 20%포인트 안팎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과 할인율 현실화 방안, 최근 시장금리 하락 등을 모두 반영한 수치다. 금융당국은 “단기적으로 지급여력 비율이 하락하지만 업권 전반의 건전성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문제는 회사별로 영향도가 크게 차이 난다는 점이다. 그동안 무·저해지 보험을 많이 팔거나 낙관적 가정을 써온 보험사일수록 충격이 크다.지급여력 비율을 추가로 떨어뜨릴 수 있는 ‘할인율 규제 강화’는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당국은 내년부터 최종 관찰 만기를 30년으로 확대할 예정이었지만 3년간 순차적으로 나눠 시행하기로 했다. 그간 보험업계에서 “최종 관찰 만기 확대를 유예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는데 당국이 이를 수용한 것이다.서형교 기자

  • 무해지 보험 제동…'고무줄 회계' 손본다

    무해지 보험 제동…'고무줄 회계' 손본다

    보험사가 낮은 보험료를 앞세워 고객을 유치해 온 무·저해지 상품의 위험도 평가가 올해 말 결산부터 확대된다. 이에 따라 보험사의 건전성 지표인 신지급여력제도(K-ICS) 비율이 일제히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비 과다 집행 관련 제재도 내년부터 시행된다.▶본지 10월 26일자 A1, 2면 참조 대형 보험사도 위험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4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4차 보험개혁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건전성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개선안에 따르면 올해 결산 실적을 기준으로 K-ICS 비율을 산출할 때 무·저해지 상품의 특성에 맞게 해지 위험액을 추가한다.K-ICS 비율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다. 발생할 위험액(요구자본)에 대비해 보험사가 대응할 수 있는 자본(가용자본)을 얼마나 보유했는지를 비율로 나타낸다.이번 개선안은 이전까지 일반 상품과 구분하지 않은 무·저해지 상품의 위험액을 더 크게 산출하도록 한 게 핵심이다. 무·저해지 보험은 해지 시 환급액이 적은 대신 보험료를 낮춘 상품이다. 무·저해지 상품의 위험액이 커지면 요구자본이 늘어나 K-ICS 비율이 하락한다. 개편안 적용 시 K-ICS 비율이 평균 5%포인트가량 떨어질 것으로 업계에선 추산한다.보험업법상 K-ICS 비율 기준은 100%, 당국 권고치는 150% 이상이다. 국내 보험사의 K-ICS 비율은 6월 말 기준 217.3%다. 시장금리 하락 위험에 작년 말보다 6%포인트가량 떨어졌다.6월 말 기준 ABL생명(144.5%), MG손해보험(44.5%) 등이 권고치를 밑돌았다. 한화생명(162.8%), 현대해상(169.7%), 롯데손해보험(173.1%) 등 일부 대형사도 권고치 부근까지 하락했다.금융당국은

  • 푸본현대생명, 유상증자 내달 말로 앞당긴다

    푸본현대생명이 빠르게 자본 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상증자 시기를 한 달 앞당기기로 했다. 올해 신지급여력제도(K-ICS)가 처음으로 시행된 가운데 푸본현대생명의 1분기 비율이 낮게 나타나면서 건전성 우려가 불거지자 이를 불식하기 위해서다.푸본현대생명은 6일 “추가적인 자본 건전성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유상증자도 다음달 말로 앞당겨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 3월 이사회에서 3925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하고, 9월 말까지 완료하기로 했다.이날 정기 경영공시에 따르면 푸본현대생명의 K-ICS 비율은 -1%를 기록했다. 다만 경과 조치를 적용한 후 비율은 128%로 금융당국의 관리 요건을 충족한다. 푸본현대생명은 올해 들어 6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과 1780억원 상당의 후순위 채권을 발행해 자본 확충을 추진했다.최한종 기자

  • '매각 5수' KDB생명 매각 예비입찰 생략...5월 말 본입찰 가닥

    '매각 5수' KDB생명 매각 예비입찰 생략...5월 말 본입찰 가닥

    산업은행이 KDB생명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을 생략하고 5월 말 본입찰에 들어간다. 5번째 매각 시도인 만큼 잡음을 최소화해서 신속하게 거래를 종결하기 위해서다.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DB생명의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은 KDB생명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을 생략하고 5월 말에 바로 본입찰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지난달부터 KDB생명의 인수 의사를 밝힌 일부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실사를 진행 중이다. 복수의 사모펀드(PEF) 등이 실사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매각 지분은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이 보유한 KDB생명 지분 92.73%다.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은 작년 말 삼일PwC회계법인을 매각 주관사로, EY한영회계법인을 회계자문사로 선정해 매각 작업을 진행해왔다.KDB생명 매각 시도는 이번이 5번째다. 2010년 산업은행이 KDB생명(옛 금호생명)을 인수한 이후 2014년 두 차례, 2016년, 2020년 등 매각 작업을 진행했지만 모두 불발됐다.2020년엔 JC파트너스를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면서 매각이 가시화되는 듯했다. 하지만 자금조달 및 대주주 적격성 심사 문제 등으로 2년 넘게 매각이 지연되다가 최종 무산됐다. 지난해 4월 JC파트너스가 앞서 인수한 MG손해보험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서 대주주 자격을 상실하면서다.산업은행 등은 구주 매각 가격도 중요하지만, 유상증자를 통해 KDB생명에 충분한 자본 확충을 해줄 수 있는 주인을 찾겠다는 방침이다.동시에 KDB생명의 본입찰 전에 2억달러 규모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행사 이슈를 해결해서 인수자들의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알려졌다. KDB생명이 자본확충을 위해 2018년에 발행한 2억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은 오는 21일 콜옵

  • 건전성 비상 걸린 보험사…자본성증권으로 '급한 불' 끄는 이유는?

    건전성 비상 걸린 보험사…자본성증권으로 '급한 불' 끄는 이유는?

    최근 들어 회사채 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지만 나홀로 발행 규모를 확대하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생명·손해보험사들이 쏟아내는 자본성증권(후순위채 및 신종자본증권)이다. 보험사들의 자본성 증권 발행 규모는 '역대급'으로 치솟고 있다. 올 들어 금리 급등 여파로 보유 채권 가치가 급락하면서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RBC) 비율이 급락한 탓이다. 고금리 우려에도 자본성증권 발행을 통해 당장 '급한 불'을 끄겠다는 게 보험업계의 구상이다. 상반기 자본확충만 3조…사상 최대 규모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 들어 보험사가 발행한 자본성증권 발행액은 약 2조6000억원(5월 15일 기준) 수준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기준 자본성증권 발행액은 2017년(2조1990억원)을 넘어 사상 최대 규모다.올 들어 NH농협생명이 총 8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데다 DGB생명(950억원), 흥국생명(500억원), 푸본현대생명(500억원) 등도 후순위채나 영구채 발행을 통해 자본을 보강했다.보험사들의 자본성증권 발행 러시는 상반기 내내 예고돼 있다. 코리안리재보험은 5월 30일 2000억~3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내놓는다. 대표 주관사는 KB증권이 맡았다. KB손해보험은 후순위채 10년 만기 5년 콜옵션으로 1500억원을 발행할 예정이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3000억원의 증액발행이 가능하다. 이 추세라면 보험사들의 유상증자와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가 상반기 내 3조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보험사의 지급여력(RBC) 비율 방어 시급자본성증권 발행 규모가 '역대급'으로 치솟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보험사의 지급여력(RBC) 비율을 높이

  • 60조원 규모 공동재보험 시장 열린다...코리안리·칼라일 '선점' 나서

    60조원 규모 공동재보험 시장 열린다...코리안리·칼라일 '선점' 나서

    국내 최대 재보험 회사인 코리안리가 글로벌 사모펀드(PEF) 칼라일과 함께 공동재보험(coinsurance) 사업을 시작한다고 4일 발표했다. 과거 고금리 확정이율 저축성 상품 등을 대거 팔았다가 갑자기 찾아온 초저금리 시대에 고전하고 있는 국내 생명보험사를 겨냥해 모든 리스크를 떠넘길 수 있는 공동재보험을 대안으로 제시하겠다는 구상이다. 관련 시장(이전계약 기준) 규모는 낮게 잡아도 60조원 가량, 높게 잡으면 약 1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홍태식 코리안리 홍보팀장은 "칼라일과 함께 국내 보험사에 적합한 공동재보험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할 예정"이라며 "상품 설계 및 구조화, 재보험 자산의 운용, 요구자본 관리 및 신규자본 조달 등 광범위한 업무 분야에 걸쳐 협력하겠다"고 설명했다.◆보험시장 '지각변동' 예고 공동재보험은 보험사의 자산과 부채를 모두 떠안는 재보험이다. 코리안리 등이 지금까지 국내 보험사에 제공했던 전통적인 재보험과 다르다. 전통적 재보험은 보험가입자가 계약한 내용 중 사망이나 질병이 실제로 발생할 때 돈을 대주는 정도의 역할로 원 보험사가 일부 리스크를 전가할 수는 있지만, 금리 하락 리스크 등 지급여력비율(RBC)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다 넘길 수는 없었다.  반면 공동재보험은 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줘야 하는 가능성, 사업비가 늘어날 가능성, 금리가 떨어질 가능성 등 모든 리스크를 공동재보험을 제공한 회사가 가져간다. 원 보험사는 미래 보험료 수입이 다소 줄어들지만 하지만 종전과 같은 규모의 자본으로 훨씬 적은 리스크만 감당하기 때문에 보험사 건전성의 판단 척도인 지급여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