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자금시장 외면에…그룹 골칫거리 전락한 효성화학·GS엔텍

    자금시장 외면에…그룹 골칫거리 전락한 효성화학·GS엔텍

    효성화학 GS엔텍 이수건설 등이 그룹의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눈덩이 부실'에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이들 회사는 그룹 지주회사·계열사로부터 유동성 지원을 받기로 했다. 이들 회사의 부실이 자금줄을 타고 모회사, 계열사로 번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효성화학은 오는 26일 사모 신종자본증권(영구채) 1000억원어치를 발행한다. 금리는 연 8.3%다. 2년 이후 최초 이자율에 연 3.5%, 5년 이후에는 연 4.5%, 10년 이후에는 연 5.5%를 추가로 얹는 금리 상향 조건이 붙어 있다.효성은 효성화학의 신종자본증권 1000억원어치 전액을 인수한다. 앞서 효성화학은 지난 2월에도 효성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바 있다. 기업들은 신종자본증권 발행액 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한다. 그만큼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부채비율을 끌어내릴 수 있다. 효성화학의 재무구조가 갈수록 나빠지자 모회사가 발 벗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효성화학의 지난 6월 부채비율은 17만%대로 치솟은 상황이다. 이처럼 나빠진 재무구조로 효성화학 채권을 사들이려는 수요도 포착하기 어렵다. 지난 6월 열린 효성화학의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는 단 한 기관도 매수 주문을 넣지 않았다. 신종자본증권 발행 과정에서도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면서 지주사에 재차 손을 벌린 것이다.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도 모회사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GS엔텍은 다음 달 900억원어치 회사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GS글로벌이 이번 회사채에 대한 지급 보증을 제공한다. GS엔텍은 1988년 설립된 이후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용 화공기기 제작하는 기업이다. 장기간 적

  • 공장 팔고 투자 유치로 1200억 마련…GS '미운오리' 기지개

    공장 팔고 투자 유치로 1200억 마련…GS '미운오리' 기지개

    GS그룹 정유·화학 설비 계열사인 GS엔텍은 오랜 기간 그룹의 ‘골칫거리’였다. 2005년 그룹에 편입된 이후 ‘눈덩이 손실’로 몸살을 앓았다. 하지만 올들어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을 마련한 데다 해상풍력 설비 사업도 성과를 내고 있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반년 동안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 조달했다. 지난해 12월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와 시몬느자산운용으로부터 각각 643억원, 157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GS엔텍은 지난해 12월 도미누스에 전환사채(CB) 500억원, 상환전환우선주(RCPS) 143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어 시몬느자산운용을 대상으로는 CB 200억원, RCPS 57억원어치를 찍었다. 두 곳의 재무적 투자자(FI)로부터 총 900억원을 마련해다. GS엔텍은 FI와의 투자 계약에 2028년까지 IPO를 추진한다는 내용도 담았다.GS엔텍은 이어 최근에 보유한 울산 울주군 온산 공장도 300억원가량에 처분했다. 이 회사는 용잠공장(사진), 성암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온산 공장은 증기발생기(RSG) 설비를 생산해왔다. 하지만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설비 사업에 집중하면서 유휴설비로 전락했다.GS엔텍은 투자금 유치와 자산매각으로 마련한 자금으로 해상풍력사업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이 회사는 전남의 영광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20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기 설비 ‘모노파일’ 64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모노파일은 바다 밑에서 해상풍력 발전기를 지탱해주는 대형 철판을 용접해 만든 원통 형태의 구조물이다. 국내에서 모노파일을 제작하는 기업은 GS엔텍이 유일하다. 영광

  • 공장 팔고 투자 유치로 1200억 마련…GS '미운오리' 기지개

    공장 팔고 투자 유치로 1200억 마련…GS '미운오리' 기지개

    GS그룹 정유·화학 설비 계열사인 GS엔텍은 오랜 기간 그룹의 '골칫거리'였다. 2005년 그룹에 편입된 이후 '눈덩이 손실'로 몸살을 앓았다. 하지만 올들어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을 마련한 데다 해상풍력 설비 사업도 성과를 내고 있다. 일련의 사업·재무구조 재편이 성과를 내면서 기업공개(IPO) 추진에 나설지도 주목된다.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은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반년 동안 투자금 유치와 공장매각으로 1200억원 조달했다. 지난해 12월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와 시몬느자산운용으로부터 각각 643억원, 157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GS엔텍은 지난해 12월 도미누스에 전환사채(CB) 500억원, 상환전환우선주(RCPS) 143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어 시몬느자산운용을 대상으로는 CB 200억원, RCPS 57억원어치를 찍었다. 두 곳의 재무적 투자자(FI)로부터 총 900억원을 마련해다. GS엔텍은 FI와의 투자 계약에 2028년까지 IPO를 추진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IPO에 실패하면 연간 7%의 수익률을 얹어 GS엔텍에 CB 등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GS엔텍은 이어 최근에 보유한 울산 울주군 온산 공장도 300억원가량에 처분했다. 이 회사는 용잠공장, 성암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온산 공장은 증기발생기(RSG) 설비를 생산해왔다. 하지만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설비 사업에 집중하면서 유휴설비로 전락했다.GS엔텍은 투자금 유치와 자산매각으로 마련한 자금으로 해상풍력사업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이 회사는 전남의 영광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20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기 설비 ‘모노파일’ 64기를 공급할 계획이

  • GS그룹, 해상풍력 사업 진출한다

    GS그룹 정유·화학 설비사업 계열사인 GS엔텍이 해상풍력 사업에 진출한다. 친환경 설비 업체로의 변신을 위한 행보다.GS엔텍은 31일 모노파일 방식의 해상풍력발전 세계 1위 업체인 네덜란드 시프(Sif)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모노파일은 대형 철판을 용접해 만든 원통으로 풍력발전기 하부 구조물을 해저에 세우는 공법을 의미한다. 부유식, 삼각대를 비롯한 기존 해상풍력발전 하부 구조물 방식보다 제작 기간이 짧고 비용이 저렴하다.GS엔텍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모노파일 기술을 확보하고 시프와 함께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해상풍력발전 시장을 공동으로 개척할 방침이다. 이 회사는 1988년 출범한 후부터 정유·석유화학 공장에 들어가는 대형 화공기기를 제작했다. 2010년 GS그룹 계열사인 GS글로벌에 인수됐다.이번 해상풍력 사업 진출을 계기로 친환경 기자재 전문 회사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시프도 1948년 GS엔텍처럼 정유·화학 설비업체로 출범했다. 이후 해상풍력 구조물 사업에 진출해 이 분야 점유율 1위 업체로 발돋움했다.GS그룹엔 GS E&R과 GS EPS 등 여러 발전 계열사가 포진해 있다. GS E&R은 영양풍력단지를 운영하고 있어, 해상풍력 사업에 진출한 GS엔텍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아시아 주요국이 해상풍력 위주로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펴고 있는 것도 GS엔텍 해상풍력 사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김익환 기자

  • [마켓인사이트][기업재무 리포트] GS엔텍, 매출 줄어도 재무구조 탄탄한 이유

    [마켓인사이트][기업재무 리포트] GS엔텍, 매출 줄어도 재무구조 탄탄한 이유

    ≪이 기사는 11월06일(13:2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화공기기와 발전설비를 제작하는 GS엔텍이 공모 회사채 시장 데뷔를 준비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나빠진 수주 환경에서도 영업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선 데다 꾸준히 차입금을 줄여 재무구조를 탄탄히 하고 있어서다. GS그룹이 수차례 유상증자를 단행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 가능성까지 보장하고 있어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한산해진 회사채 발행 시장에서 '틈새 투자처'가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GS엔텍의 올 상반기 매출은 654억원에 그쳤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 가량 줄었다. GS엔텍의 매출은 2015년만 해도 4787억원에 달했지만 2016년 3145억원, 2017년 1826억원, 지난해 1427억원으로 계속 쪼그라들었다.GS엔텍의 주력 사업은 플랜트인데 2015년 이후 수주 환경이 악화되면서 덩달아 매출이 축소됐다. GS엔텍의 사업 구조를 보면 플랜트 사업이 전체 매출(2018년 기준)의 78%, 에너지 사업이 21.1%를 차지하고 있다.플랜트 사업은 대부분 국내외 대형 설계·조달·시공(EPC) 업체들로부터 수주가 이뤄지는데 가격 교섭력이 크지 않고 수요 변동성은 큰 편이다. 여기에 EPC 업체들이 중국 업체를 선호하고 채산성 위주로 경영 전략을 짜면서 GS엔텍의 매출 감소가 가팔라졌다.하지만 GS엔텍은 대손충당금 환입과 비용 효율화를 통해 2015년 284억원 적자였던 영업이익을 2016년 148억원 흑자로 되돌렸다. 영업이익률은 2015년 마이너스 5.9%에서 지난해 7.8%로 껑충 뛰었다.특히 GS그룹의 잇단 유상증자도 한 몫 했다. GS엔텍은 GS글로벌

  • [마켓인사이트]GS엔텍, 첫 공모 회사채 발행

    [마켓인사이트]GS엔텍, 첫 공모 회사채 발행

    GS그룹의 산업용 기계 제조 계열사인 GS엔텍이 창사 후 처음으로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다.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GS엔텍은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이달 말 500억원 규모 회사채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3년 수준으로 검토하고 있다. 모회사인 GS글로벌이 해당 채권에 대한 지급 보증을 서기로 했다. GS엔텍은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들로부터 회사채 신용등급을 ‘A’(안정적)로 평가받고 본격적인 발행 준비에 돌입했다.GS엔텍은 1988년 설립된 산업용 기계 제조업체로 정유화학가스 플랜트 주요 설비와 복합화력발전소의 핵심장치인 배열회수장치 등을 만들고 있다. 2010년 GS글로벌에 인수되면서 GS그룹에 편입됐다. 최대주주인 GS글로벌이 현재 지분 93.12%(우선주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이 회사는 그룹 계열사인 GS건설을 비롯해 삼성엔지니어링, SK건설, NEM 등 국내외 대형 엔지니어링 업체들과 오랫동안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익은 꾸준히 내고 있지만 수주 부진으로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GS엔텍의 올 상반기 매출은 654억원, 영업이익은 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8%, 14.5%씩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GS엔텍 지원부담 턴 GS글로벌, ‘부정적’ 등급전망 뗐다

    이 기사는 06월16일(16:3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GS글로벌이 신용등급에 붙은 ‘부정적’ 전망을 뗐다. 자회사 GS엔텍에 지속적인 자금수혈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가라앉은 덕분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16일 GS글로벌의 신용등급(A-) 전망을 종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 한국신용평가가 이번 상반기 정기평가에서 ‘부정적’ 등급 전망을 떼면 신용등급 하락 위험에서 당분간 한발자국 벗어날 전망이다. 국내 세 개 신용평가사 중 이 두 곳이 GS글로벌의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다. GS엔텍에 대한 자금지원 부담이 크게 줄었다는 것을 반영했다. GS글로벌은 지난 3월 GS엔텍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의 풋옵션(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라 이들이 가진 GS엔텍 지분 13.33%를 663억원에 사들였다. 이로써 FI들의 보유한 GS엔텍 지분을 모두 인수, 더 이상 풋옵션과 관련해 추가적으로 자금을 유출할 필요가 없어졌다. 지난해부터 GS엔텍을 지원하느라 총 2194억원이 빠져나갔지만 사전에 ㈜GS 등 주주들의 제공한 ‘실탄’이 있었기 때문에 타격이 적었다는 평가다. GS글로벌은 지난해 6월 주주들을 상대로 유상증자를 실시해 1500억원을 조달했다. 최대주주인 ㈜GS가 이 금액 중 739억원을 책임졌다. 적자에 허덕였던 GS엔텍도 실적을 개선해가고 있다. 이 회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순손실을 냈지만 지난해 22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흑자전환했다. 올 1분기에도 49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곽노경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4실장은 “GS엔텍의 실적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