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고려아연 최윤범의 파격…37세 M&A임원 영입

    M&A

    고려아연 최윤범의 파격…37세 M&A임원 영입

    국내 최대 비철금속 제련업체인 고려아연이 만 37세 외부 인력을 인수합병(M&A) 전담 임원으로 영입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아연·납 제련기업 이미지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M&A를 통해 신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최윤범 부회장(사진)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인사라는 분석이 나온다.5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지난 3월 말 자원순환본부를 신설하고, 전담 임원으로 함경우 담당을 선임했다. 고려아연은 3월에 부사장 미만 상무 전무 직급을 담당으로 통합했다. 함 담당은 올해 초까지 GS에너지 부장으로 재직하다가 고려아연에 영입됐다. 1985년 미국 출생으로, 올해 만 37세다. 그는 윌리엄스칼리지 수학과를 졸업하고 GS에너지에 입사했다. 회사를 그만두고미국 예일대에서 경영학석사(MBA)를 마쳤다. GS에너지에 재입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1974년 고려아연 창립 이후 오너 일가를 제외하면 역대 최연소 임원이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함 담당은 고려아연에서 자원순환 관련 M&A 업무를 전담할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폐배터리와 전자제품에서 금속자원을 뽑아 상업화하는 자원순환 사업에 진출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함 담당 영입은) 신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조직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그동안 고려아연은 제련기업 특성상 보수적인 조직문화가 있었다는 회사 안팎의 평가다.연공서열도 중시됐다.고려아연은 오너 3세인 최 부회장(1975년생)이 2019년부터 대표이사를 맡으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최 부회장은 신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리사이클링, 2차전지 소재 등 세 분야를 핵심 신사업으로 키우겠다는

  • 37세 최연소 M&A임원 파격 영입한 고려아연 [기업 인사이드]

    37세 최연소 M&A임원 파격 영입한 고려아연 [기업 인사이드]

    국내 최대 비철금속 제련업체인 고려아연이 만 37세(1985년 출생) 외부인력을 인수·합병(M&A) 전담 임원으로 영입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아연·납 제련기업 이미지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M&A를 통해 신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최윤범 부회장의 강력한 의지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온다.3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지난 3월 말 자원순환본부 조직을 신설하고, 전담 임원으로 함경우 담당을 선임했다. 앞서 고려아연은 지난 3월 역할 중심으로 임원 체계를 운용하기 위해 부사장 미만 상무, 전무 직급을 담당으로 통합했다. 함 담당은 올 초까지 GS에너지 부장으로 재직하다가 고려아연에 전격 영입됐다. 1985년 4월생으로, 올해 만 37세다. 오너 일가를 제외하면 1974년 고려아연 창립 이래 역대 최연소 임원이라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지금까지 고려아연은 제련기업 특성상 보수적인 조직문화가 자리잡고 있었다는 평가다. 연공서열도 중시됐다. 실제로 등기임원을 비롯한 전체 임원 41명 중 30~40대 임원이 6명에 불과하다. 더욱이 규모에 비해 기업의 주요 정보가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아 ‘은둔의 기업’으로 비춰졌다. 하지만 고려아연은 ‘오너 3세’인 최 부회장(1975년생)이 2019년부터 대표이사를 맡으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 부회장은 신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리사이클링, 2차전지 소재 등 세 가지 분야를 핵심 신사업으로 키우는 ‘트로이카 드라이브’를 비전으로 내걸고 있다. 지난 4월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팀 단위의 조직 체계를 본부 단위로 개편

  • 32년째 그룹이 뒷바라지했지만…'부채비율 500%' 전락한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INVESTOR

    32년째 그룹이 뒷바라지했지만…'부채비율 500%' 전락한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GS칼텍스는 GS그룹 오너일가 회사인 위너셋(옛 승산산업)과 매년 조(兆) 단위 거래를 이어갔다. 1990년 오너일가가 십시일반으로 자금을 대서 출범한 위너셋은 GS칼텍스의 뒷바라지에도 재무구조는 크게 훼손됐다. 오너일가의 자산 증식 기반이 허물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앞날은 불투명하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위너셋은 지난해 매출 1조9219억원, 영업이익 367억원을 거뒀다. 당기순이익은 18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순손익은 2017년(634억원) 후 4년 만에 흑자를 냈다. 위너셋은 허용수 GS에너지 사장(보유 지분 18.7%)과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10.1%) 허세홍 GS칼텍스 사장(7.7%) 허서홍 GS 부사장(7.5%) 등 오너일가 3, 4세들이 지분 100%를 보유한 회사다. 계열사인 GS아로마틱스를 통해 중국에서 합성수지·합성섬유 등의 원료인 파라자일렌, 벤젠, 자일렌, 톨렌 등을 생산 중이다.이 회사는 GS칼텍스와의 거래로 근근이 버티는 회사다. 지난해 GS칼텍스와의 내부거래는 1조2498억원에 달했다. 화학제품 매입 등으로 1조1607억원을 GS칼텍스에 지급하는 한편 화학제품을 팔아 891억원을 받았다. 내부거래를 이어가는 탓에 안팎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자 2018년 GS아로마틱스 등의 매각을 추진하기도 했다. 내부거래로 겨우 버텼지만 2018~2020년에 3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연간 300억~500억원에 이르는 이자비용을 내는 탓에 순손실이 깊어졌다. 2020년 말 부채비율은 419.1%에 달했다.지난해에는 화학제품 가격이 뛰면서 겨우 흑자전환했다. 하지만 작년 말 기준 단기차입금이 5672억원에 달하고 부채비율은 492.7%로 재무구조는 악화일로다. 올

  • "GS에너지도 반했다" 민테크, 150억 투자 유치

    "GS에너지도 반했다" 민테크, 150억 투자 유치

    배터리 진단 전문기업 민테크가 150억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GS에너지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9일 벤처캐피털(VC)업계에 따르면 GS에너지는 민테크의 시리즈B 라운드에 45억원을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미래에셋벤처투자, 한국투자파트너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아이스퀘어,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등 VC가 참여해 총 150억원 규모로 마무리됐다. 지난해 5월 45억원 규모 시리즈A 라운드 이후 1년 6개월 만의 추가 투자 유치다. 미래에셋벤처투자,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는 후속 투자를 진행했다.GS에너지가 투자한 민테크는 배터리를 진단·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다. 고유의 배터리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배터리의 제조 공정에서 안전성 평가 설비나 배터리 사용 중 실시간 진단, 재사용 배터리 평가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대형 고객사를 확보했다. VC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진단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회사"라고 평가했다.민테크의 핵심 기술은 임피던스 측정법이다.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낸다. 기존 측정법보다 비용과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를 통해 배터리를 재사용할 수 있는지, 실시간으로 배터리 성능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배터리 진단업계도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라는 평가다.GS에너지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 민테크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 7월 GS에너지와 차량 정비 서비스 계열사 GS엠비

  • 삼성물산·서부발전·HDC·GS에너지 등 동두천드림파워에 자금수혈

    ≪이 기사는 08월02일(16: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민자 발전사 동두천드림파워가 삼성물산 한국서부발전 등 주요 주주들의 도움을 받아 2000억원 이상을 마련한다. 재무부담 악화로 자체 신용도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주주들이 지원사격에 나섰다는 분석이다.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동두천드림파워는 이르면 이달 삼성물산 한국서부발전 HDC GS에너지 등 주요 주주들을 상대로 990억원 규모 전환상환우선주(RCPS)를 발행할 계획이다. 주주들은 현금 및 출자전환을 통해 RCPS를 인수해 이 회사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다. 동두천드림파워는 비슷한 시기 이들 주주의 보증을 받아 477억원어치, 자체 신용도로 8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동두천드림파워는 2011년 설립된 민자 발전사업자로 2015년부터 경기도 동두천시에서 1716MW 규모 LNG 복합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지분 33.6%를 보유한 서부발전이 최대주주이며 삼성물산(31.2%) HDC(14.2%) GS에너지(10.0%) 등이 나머지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이 회사가 주주들의 지원을 요청한 것은 독자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서다. 동두천드림파워는 영업을 시작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순손실을 내며 이 기간 총 913억원의 적자를 쌓았다. 전력수급 안정화에 따른 전력예비율 상승, 전력도매단가(SMP) 하락 등이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 1분기에는 57억원의 순이익을 내긴 했지만 1조1285억원에 달하는 차입금(3월 말 기준)을 감당하긴 쉽지 않다는 평가다. 당장 이달 12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가 도래한다.발전소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자들과 맺은 기한이익상

  • GS에너지 회사채 청약경쟁률 5.13대1

    ≪이 기사는 07월02일(16:3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GS그룹의 에너지사업 중간 지주회사인 GS에너지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의 다섯 배가 넘는 투자수요가 모였다.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우량한 신용도를 눈여겨 본 기관투자가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의지를 보였다는 평가다.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GS에너지가 15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770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500억원을 모집한 3년물에는 2700억원, 700억원을 모집한 5년물에는 2900억원씩 들어왔다. 300억원어치로 발행 예정인 7년물에는 2100억원의 ‘사자’ 주문이 들어왔다. 삼성증권과 KB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핵심 자회사인 GS칼텍스의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바탕으로 탄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높게 평가받았다. GS에너지는 최근 3년간 매년 2조원대 매출과 1조원대 영업이익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2조5594억원, 영업이익 1조5158억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엔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0%, 31.9%씩 감소하며 주춤하긴 했지만 신용도를 흔들 만한 타격은 못 된다는 평가가 많다. 이 회사의 1분기 말 기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대비 총차입금 비율은 1.8배로 2016년부터 2배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GS에너지는 넉넉한 투자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2000억원까지 늘릴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발행금리도 당초 예상보다 낮출 전망이다. 희망금리 대비 3년물은 0.1%포인트, 5년물은 0.12%포인트, 7년물은 0.21%포인트 낮은 수준에서 논의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기준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시가평가한 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