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현대차 GBC, 54층 '삼둥이 빌딩'으로 짓는다

    현대차 GBC, 54층 '삼둥이 빌딩'으로 짓는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초고층(105층) 랜드마크로 계획한 서울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콤플렉스(GBC) 개발 사업 규모를 54층, 3개 동으로 줄이기로 했다. 서울시는 공공기여, 세부 설계와 관련해 조속히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장기간 표류 중인 GBC 프로젝트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GBC, 54층 3개 동으로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GBC를 54층(242m), 3개 동으로 짓겠다는 내용의 개발계획 변경 제안서를 21일 서울시에 제출했다. 현대차그룹은 2014년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7만9341㎡)를 매입했다. 서울시와 사전협상을 거쳐 2016년 105층(561m) 빌딩 1개 동과 저층 건물 4개 동을 짓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업무빌딩과 호텔, 국제적 수준의 전시·컨벤션 시설과 공연장을 조성할 예정이었다.이후 공사비 급등과 고도 제한 문제 등으로 현대차그룹은 설계변경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작년 2월 55층, 2개 동과 저층 빌딩 4개 동 등 6개 동으로 디자인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공공기여 등을 둘러싼 견해차로 서울시가 제동을 걸었다. 현대차그룹은 추가 공공기여 없이 설계를 변경하겠다고 했다. 이에 서울시는 105층 랜드마크의 상징성 등을 고려해 인센티브를 제공한 만큼 공공기여 재협상이 필요하다고 맞섰다.현대차그룹은 작년 7월 55층, 2개 동 계획을 철회하고 이날 54층, 3개 동이란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기존 105층 안과 비교해 전면적 설계변경이 발생한 만큼 전문가, 민간, 공공으로 구성된 협상조정협의회를 거쳐 추가 협상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협상 결과를 반영해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다.◇공공기여 합의가 관건공공기여 관련 합의가 잘 이뤄지는지가 협상의 관건이 될

  • 현대차 'GBC 55층' 계획 철회

    현대자동차가 서울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콤플렉스(GBC) 55층 건립 계획안을 철회했다. 당초 약속한 ‘105층 랜드마크 타워’를 55층, 2개 동으로 바꾸려면 공공기여(기부채납)를 비롯해 도시계획에 대한 재협상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서울시의 입장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공공성과 상징성 측면에서 계획안을 보완해 연내 다시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본지 5월 3일자 A31면 참조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4일 서울시와 면담한 데 이어 5일 ‘국제교류복합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현대차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변경안’을 철회하겠다는 공문을 서울시에 전달했다.시 관계자는 “공공성과 상징성을 보완해 연내 다시 제안하면 그때 협상하자는 방향으로 정리가 됐다”며 “사전협상제도에 따른 재협상도 다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검토안에는 초고층 계획이 포함돼 있지 않다”며 “105층을 다시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서울시와 현대차는 지난 5개월 동안 GBC 설계 변경에 따른 재협상 여부를 놓고 이견을 보여왔다. 현대차는 2월 105층 랜드마크 타워 대신 55층, 2개 동으로 낮추는 사업 변경안을 제출했다. 이에 서울시는 2016년 사전협상으로 결정된 설계를 전제로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공기여 부담을 덜어준 만큼 이를 변경한다면 재협상해야 한다는 방침을 고수했다.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달 1일 취임 2주년 간담회에서 “현대차그룹이 새로 내놓은 건설계획안은 기존 계획과 완전히 달라 이에 걸맞은 공공기여를 새롭게 논의하는 게 상식”이라며 “행정도 상식에 따라서 하면

  • '10조 고가매입 논란' 현대차 GBC 부지…땅값 22조로 올랐다

    '10조 고가매입 논란' 현대차 GBC 부지…땅값 22조로 올랐다

    서울 강남권역의 마지막 남은 대규모 개발부지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땅값이 현대자동차그룹의 매입 시점 대비 두 배 수준으로 올랐다. 7년 전 매입 당시에는 ‘너무 비싸게 샀다’는 논란이 적지 않았던 땅이다. 이미 매입 가격은 넘어섰고,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현대차그룹이 오랫동안 시달려온 ‘땅 고가 매입’ 논란에서 놓여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현대차그룹은 2014년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7만9342㎡)를 경쟁입찰을 통해 10조5500억원에 매입했다. 당시 2조원대 공시가(토지+건물)의 5배, 감정가(3조3346억원) 대비 3배가 넘어서 다들 비싸다고 했다. 주변 건물은 대개 3.3㎡당 1억원 안팎에 거래되고 있었는데 현대차는 토지만 4억3879만원대에 매입했다. 업계에서 본 해당 부지의 적정 가격은 5조원이었다.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GBC 부지의 ㎡당 공시지가는 7394만원, 총 5조8673억원이다. 2015년 2560만원(총 1조4837억원)에서 4배 가까이 올랐으나 여전히 매입가격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하지만 주변 시세를 감안한 시가는 얘기가 다르다. 이미 10조원을 훌쩍 넘은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해와 올해 GBC 부지 주변 삼성동, 대치동 일대 건물 실거래 사례를 조사한 결과 이 지역 실거래가는 공시지가의 2~4배 수준에 형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테헤란로에 있는 삼성동 위워크빌딩은 지난해 9월 1674억원에 팔렸다. 2017년 매각가격 1271억원에 비해 4년 만에 약 40% 상승했다. 건물 가격을 뺀 토지 가격(3.3㎡당)은 3억9621만원으로 공시지가 2억559만원 대비 1.92배 높은 수준이다.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인근 삼성동 부지는 지난해 3월 81억1723만원에 팔렸다. 토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