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화문 '김앤장 빌딩' 재입찰 끝에 코람코 품으로
코람코자산신탁이 서울 광화문 크레센도빌딩(옛 금호아트홀)의 우선협상자대상자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당초 매각자인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과 딜로이트안진은 마스턴투자운용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으나 마스턴투자운용이 자금조달에 실패하며 재입찰이 진행됐다. 재입찰 대상자는 숏리스트 후보였던 코람코자산신탁, 신한리츠운용, 삼성SRA자산운용 등 3개 사였고 이날 코람코자산신탁이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크레센도빌딩은 지하 7층~지상 18층, 대지 면적 3481.5㎡에 연면적 5만4672.3㎡의 프라임급 오피스 빌딩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2000년 준공해 사옥으로 사용해왔으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이 2006년 대우건설을 인수하며 대우건설 사옥으로 활용됐다. 이후 그룹 경영난으로 2009년 3월 제이알자산관리에 2400억원에 매각됐다가 2013년 DWS자산운용이 인수했다.이 빌딩에는 국내 최대 로펌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건물 전체를 사용하고 있어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김앤장은 2029년까지 이곳을 사용하기로 계약해 놓은 상태다.코람코자산신탁 리츠투자부문 김철규 부문장은 "크레센도빌딩은 광화문의 대표적인 코어자산으로 매입 후 안정적 운용이 가능하다"며 "한 차례 불발된 거래를 재확보한 만큼 최대한 빠르게 무결점 딜 클로징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
광화문 '김앤장 빌딩' 매각 무산…'오피스시장 불확실성' 발목
마스턴투자운용의 광화문 크레센도빌딩 인수가 무산됐다. 당초 블라인드 펀드를 활용해 부족한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었으나 투자자 측 투자 심의를 통과하지 못해 우선권을 놓치게 됐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빌딩 매도인인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과 매각 주관사 딜로이트안진은 최근 우선협상대상자 교체를 결정했다.앞서 지난달 마스턴운용은 3.3㎡당 3380만원, 총 5600억원의 매각가를 제시해 크레센도빌딩의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따냈다. 마스턴운용은 한화생명이 수익자로 참여한 블라인드펀드 자금 1250억원을 동원해 인수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었다.하지만 한화생명 투자심의위원회에서 해당 안건이 최종 부결되면서 자금 조달에 차질이 생겼고, 결국 매도자 측은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투자자 측에서 제대로 된 수익률 확보가 힘들다고 본 것"이라며 "오피스빌딩 시장이 강보합세를 유지함에도 매도자 측과 원매자 측의 눈높이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는 탓에 중대형 딜들이 무산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크레센도빌딩 입찰에는 마스턴운용을 비롯해 코람코자산신탁과 삼성SRA자산운용, 신한리츠운용, 한강에셋자산운용, 흥국자산운용 등 6곳이 참여했다. 업계에서는 마스턴운용 다음으로 높은 인수가를 제시한 신한리츠운용이 향후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으로 인수 작업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크레센도빌딩은 중심업무권역(CBD)에 있는 오피스 빌딩으로 연면적 5만4672.3㎡, 지하 7층~지상 18층 규모다. DWS자산운용이 2013년 대우건설 본사로 쓰던 건물을 3.3㎡당 2350만원인 총
-
마스턴운용, 5500억에 크레센도빌딩 품는다
마스턴투자운용이 약 5500억원에 광화문 크레센도빌딩을 품는다. 블라인드 펀드를 활용해 인수에 나설 전망이다.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빌딩 매도인인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과 매각주관사 딜로이트안진은 마스턴투자운용을 크레센도빌딩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마스턴운용은 3.3㎡당 3300만원 중반대 가격을 제시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따냈다. 전체 건물 가격은 5500억원에 달한다. 마스턴운용은 한화생명이 수익자로 참여한 블라인드 펀드 자금을 써 거래 종결 능력을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앞서 진행한 입찰에는 마스턴운용을 비롯해 코람코자산신탁과 삼성SRA자산운용, 신한리츠운용, 한강에셋자산운용, 흥국자산운용 등 6곳이 참여했다. 로펌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전체 건물을 임차하고 있어 임차 기간인 2029년까지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돼 있다.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 이익을 추구하는 리츠 운용사들도 참전했다.크레센도빌딩은 중심업무권역(CBD)에 위치한 오피스 자산이다. 연면적 5만4672.3㎡(1만6538평)로 지하 7층~지상 18층 규모다. DWS자산운용이 2013년 대우건설 본사로 쓰던 건물을 3.3㎡당 2350만원인 총 3880억원에 사들였다. 이번 매각을 마무리하면 DWS운용은 1600억원 가까운 매각 차익을 거두게 된다.마스턴투자운용과 DWS자산운용은 지난 2022년 광화문 콘코디언 빌딩에 이어 다시 한 번 협상에 나서게 됐다. 마스턴운용은 2022년 8월 콘코디언 빌딩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이듬해 4월 6292억원에 거래를 종결했다.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
한국 부동산 사업 줄이는 DWS…오피스·물류센터 매각 ‘박차’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이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포트폴리오를 줄여나가고 있다. 보유하고 있던 오피스와 물류센터를 줄줄이 매각하는 추세다.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DWS자산운용은 ‘DWS제22호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 유한회사’로 보유한 로지포트 이천 물류센터를 ESR켄달스퀘어리츠의 자회사 ESR켄달스퀘어에셋1호리츠에 매각하기로 했다. 거래금액은 764억원이며 다음달 18일 거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로지포트 이천은 지난 2018년 DWS가 612억원에 매입한 자산이다. 연면적 기준 4만3405㎡(1만3130평) 규모다. 영동고속도로 덕평IC 인근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이치리 253-1에 위치해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 전용 아시아 물류사업장 등 다양한 기업이 입주한 물류 자산이다.DWS자산운용은 페블스톤자산운용에 김포 성광 물류센터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거래금액은 800억~900억원으로 알려졌다. 페블스톤자산운용이 모집하는 펀드의 투자자는 블랙스톤이다. DWS자산운용은 2002년 한국에 진출한 도이치뱅크 산하 자산운용사다. 부동산 대체투자뿐만 아니라 주식, 채권 운용도 영위해왔다.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활발하게 매입해오다 지난 2022년 고금리 기조로 전환한 뒤 매각 위주로 나서고 있다. 매각 시동을 건 자산은 광화문 콘코디언 빌딩이다. 지난 2022년 매각을 시작해 그 해 8월 우선협상대상자로 마스턴투자운용을 선정한 뒤 이듬해 4월 거래를 종결했다. 3.3㎡당 약 3450만원으로 매매금액은 6292억원에 달했다. 당시 고금리로 투자 심리가 얼어붙어 있어 우협 때보다 500억원 이상 거래가격을 낮춰 매각에 성공할 수 있었다.DWS는 콘코디언 빌딩 매각에 이어 타워8을 미래에셋자산운
-
"어라, 경쟁사들 치고 나왔네"…美ETF 최강자, 흔들린 이유
8조달러(약 1경원)어치의 자금이 오가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최강자’로 군림해 오던 블랙록의 입지가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이 회사가 유럽 등 미국 외 시장에 진출한 사이 뱅가드 등 경쟁사들이 치고 나온 결과다.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장조사업체 모닝스타다이렉트 데이터를 인용해 블랙록의 대표 ETF 상품인 아이셰어즈(iShares)가 미 ETF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2년 말 33.7%에서 2023년 말 32%로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2018년까지만 해도 40%에 육박했던 아이셰어즈의 시장 점유율이 5년 새 7%포인트 넘게 하락한 것이다.같은 기간 뱅가드의 점유율은 25%에서 29%까지 올랐다. 인베스코 역시 5%에서 6%로 시장 내 지위를 소폭 넓혔다. JP모간체이스, 디멘셔널펀드어드바이저스(DFA) 등 후발 주자들도 최근 몇 년 새 ETF 상품 라인업을 공격적으로 늘린 결과 3%까지 점유율을 높였다. DFA의 경우 2018년까지만 해도 단 한 개의 ETF 상품도 출시하지 않은 상태였다. 두 회사는 기존에 운용하고 있던 뮤추얼 펀드를 ETF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ETF 시장에 침투했다.“모두를 위한 모든 것”을 표방하며 라인업 다양화에 나선 블랙록과 달리 ‘선택과 집중’을 택한 뱅가드의 운용 전략이 효과를 냈다는 분석이다.모닝스타다이렉트의 북미 지역 패시브 투자 부문 책임자인 브라이언 아머는 “블랙록의 아이셰어즈가 미국 내 전체 ETF 상품, 더 나아가 S&P500지수와 직접 경쟁하는 가운데 뱅가드는 주식과 채권에만 집중한 ETF 상품을 내놨다”며 “비교적 저렴한 뱅가드의 인덱스 펀드는 ETF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고 말했다.블랙록 측은 최근의 시장 지형 변화
-
DWS,아·태 지역 부동산 자산운용(AM)부문대표에 김상욱본부장 선임
DWS는 한국 DWS 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의 김상욱 본부장(전무)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부동산 자산운용(AM)부문 대표(Head of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for Asia Pacific)로 선임했다고 5일 발표했다.김상욱 APAC AM대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동산 총괄대표인 크리스토퍼 김(김유환) 대표를 보좌해 DWS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진출해 있는 호주, 일본, 한국, 싱가폴 각국 지사의 애셋 매니저들과 협력하며, 모든 자산의 취득부터 매각까지의 운용기간동안 ESG 전략 실행 등 운용전략 수립 및 통합적 관리를 맡게 된다. 또 건설 및 개발프로젝트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활용해 DWS가 현재 진행 중인 대형 개발사업과 향후 아시아 지역의 개발사업 또는 대규모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맡을 예정이다.김 대표는 약 25년 이상의 경력을 갖고 있다. 2008년 DWS에 입사한 이후 최근까지 DWS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한국 DWS자산운용에서 자산운용(AM) 총괄 업무를 수행했다. 오피스, 물류, 리테일 등 여러 분야에서 27개의 부동산 포트폴리오 자산 운용을 맡았다. 그는 삼성생명 부동산사업부에서 8년간 개발사업을 담당하며 삼성서초타워, 타워팰리스III, 순화타워 등 약 20여개의 개발프로젝트를 관리하기도 했다.김유환 APAC부동산 총괄대표는 "김상욱 AM대표의 풍부한 경험과 능력은 다양한 밸류에드 전략의 실행 능력뿐 아니라 임대 실적, 성공적인 자산 매각 등의 성과를 통해 입증됐다"고 말했다.김상욱 APAC AM 대표는 "APAC 지역의 뛰어난 애셋 매니저들과 협업해서 DWS AM 역량을 증대시키고 총 운용자산(AUM)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데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투자자들을 위한 우수
-
마스턴투자운용, 판교 알파리움타워 이어 콘코디언 빌딩 품는다
마스턴투자운용이 금호아시아나그룹 옛 본사 사옥인 '콘코디언' 빌딩의 새 주인이 된다.19일 투자은행(IB)에 따르면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은 최근 '콘코디언' 빌딩 우선협상대상자에 마스턴투자운용을 선정하고 곧 발표키로 했다. 마스턴투자운용은 3.3㎡당 3700만원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 거래규모는 6900억원대인 것으로 전해졌다.앞서 매각 입찰에는 당초 참여가 예상됐던 과학기술인공제회, 삼성SRA자산운용은 불참해 부동산 블라인드펀드를 보유한 운용사간 대결로 압축됐다. 마스턴투자운용은 이지스자산운용, 코람코자산신탁을 누르고 다시 한번 초대형 오피스 투자에 한 발 앞서게 됐다.콘코디언 빌딩은 2018년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부터 금호아시아나 본사 사옥을 4180억원에 인수, 오피스명을 콘코디언으로 바꾼 곳이다. 2008년 10월에 준공됐으며 현재 롯데카드가 본사로 쓰는 곳이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 인접한 곳으로 인근에는 흥국생명빌딩, S타워, 크레센도빌딩 등이 있다.연면적 6만695.5㎡, 대지면적 3913.80㎡ 규모다. 지하 8층~지상 29층으로 구성됐다. 바닥과 천장에 최고급 마감재인 밀리켄 카페트, 암스트롱 천장재를 사용했다. 천장고가 2.7m에 달하고 동서남북 4면을 창으로 배치, 자연채광 및 개방감을 극대화했다.마스턴투자운용은 지난해 경기도 성남 판교의 랜드마크 '알파리움타워'를 1조221억원에 인수한데 이어 추가로 오피스 빌딩을 품게 됐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DWS자산운용 "판교·분당, 시드니, 후쿠오카 등 신흥 업무지구가 투자 매력적"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분당·판교, 시드니, 맬버른 등 신흥 도심지구들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가 발생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들 지역은 IT, 게임, 생명과학 등 성장부문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20일 디더블유에스(DWS)자산운용이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부동산 리서치 보고서 (APAC Emerging Office Locations)에 따르면 아태 지역의 많은 도시가 급속한 성장을 지속함에 따라 흥미로운 신흥 도심 지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신흥 지구 대다수는 도심과 가깝고 인근에 상점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들어선 '라이프스타일' 상업구역이 있다. DWS자산운용은 같은 지역 내 거주와 근무를 동시에 해결하기를 원하는 젊은 직원을 둔 스타트업 및 IT기업의 선호가 높다고 분석했다. DWS자산운용은 신흥 지구가 기존 도심 지구보다 잠재 수익율이 높아 매력적인 오피스 투자 기회가 있다고 봤다. 특히 호주 멜버른과 브리즈번, 한국의 판교와 분당, 일본 텐진과 하카타 신흥 지구에 위치한 양질의 오피스는 장기적으로 임대료 상승폭이 시장 평균를 상회하고, 수익환원율(Cap. rate) 역시 주요 업무지구 수준으로 빠르게 근접해 갈 것으로 예상했다. DWS자산운용은 "이들 지역의 현재 임대료는 도심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이들의 매매 캡레이트는 업무지구로서의 성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도심권역을 빠르게 쫓아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호주의 노스시드니(North Sydney)와 멜버른 시티 프린지(Melbourne City Fringe)는 공급 확대로 최근의 공실률이 다소 상승하기는 했지만, 장기 공실률은 도심권역보다 대체적으로 낮다. 특히 시드니에서
-
코람코자산, 블라인드 펀드 자금으로 신림동 포도몰 인수한다
≪이 기사는 10월07일(15: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람코자산신탁이 연내 거래 완료를 목표로 서울 신림동의 대형 쇼핑몰인 포도몰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리츠(부동산투자회사·REITs) 설립을 신청하는 등 인수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교직원공제회와 행정공제회 등 주요 기관투자가들의 출자를 받아 조성한 4000억원대 규모 코람코 블라인드 펀드 3호의 투자금이 투자되는 첫 번째 사례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람코자산신탁과 DWS자산운용(옛 도이치자산운용) 사이의 신림동 포도몰 인수 거래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코람코자산신탁은 인수 자금 조달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코람코 가치투자 부동산 제3의1호 자(子)리츠’ 영업등록을 신청하고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코람코자산신탁이 리츠 영업등록 신청서에서 밝힌 전체 사업 은 2512억원이다. 이 금액에는 양도세 등 자산 인수를 위한 부대 비용이 포함돼 있다. 이를 제외한 실제 인수금액은 2000억원 초반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준공된 포도몰은 지하 8층~지상 15층, 연면적(건축물 바닥면적의 합) 3만7700㎡(1만1422평) 규모 대형 쇼핑몰이다. 신림역(서울 지하철 2호선)과 연결돼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서남권의 거점 쇼핑몰로 꼽힌다. 건물 10~15층은 롯데시네마가 임차해 사용하고 있으며 영풍문고도 주요 임차인이다. 코람자산신탁은 전체 인수금액 중 851억원 가량을 에쿼티(지분) 투자로 마련하고 나머지 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