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혜정 "중위험·중수익 노린다면 공모주·메자닌 펀드 베팅"
“이제는 공모주 펀드와 메자닌(주식 관련 사채) 펀드의 시간입니다.”신혜정 DB증권 목동금융센터장(사진)은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내 증시에 더 이상 거품은 없다”며 “연 5~10%의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장기 투자자는 공모주와 메자닌 펀드에 적극 베팅할 때”라고 강조했다. 2005년부터 프라이빗뱅커(PB)로 일한 그는 DB증권의 최연소 여성 PB센터장 출신이다. 고액 자산가를 중심으로 3300억원 규모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신 센터장이 공모주 펀드에 주목하는 이유는 오는 7월로 예정된 제도 개편 때문이다. 당국은 올해 초 ‘기업공개(IPO)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기관의 의무보유 확약 비중을 연내 30%로 높이는 게 골자다. 주관사 역할도 강화한다. 그는 “과거를 돌아보면 공모주 투자는 숱한 거품론 속에서도 연간 3~15% 수익을 꾸준히 냈다”며 “하반기엔 합리적인 공모가격 산정과 운용사의 책임 투자까지 더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신 센터장은 “10개 이상 종목을 담은 대형 운용사의 메자닌 펀드 역시 불안정한 증시 상황에서 연 5~10%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라며 “코스피지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8배에 불과한 만큼 고액 자산가가 선호한다”고 했다. 메자닌 펀드는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에 투자하는 게 특징이다. 이자와 시세 차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이시은 기자
-
DB그룹, 다올 2대주주 지분 확보는 증권사 체급 키우기 위한 포석
DB그룹이 증권업 강화를 위해 다올투자증권 2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DB그룹이 물밑에서 증권사 인수를 꾸준히 검토해온 만큼 향후 경영권 확보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재무적 위기를 겪고 있는 다올투자증권이 신규 자금 투입이 필요할 때 자연스럽게 유상증자 등에 참여해 추가 지분을 확보하는 시나리오 등이 거론된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DB그룹은 그간 증권사 인수 의향을 시장에 꾸준히 전해왔다. 지난해 매각 작업이 진행된 한양증권을 제외하곤 2018년 이후 증권사 매물이 씨가 말라 실제 인수로 이어지진 못했다. 한양증권 딜의 경우 매각 측인 한양학원이 KCGI를 사실상 인수자로 내정해놓고 거래를 진행해 인수전에 뛰어들지 않았다.이런 상황에 DB그룹이 DB손해보험을 통해 다올투자증권 지분 9.79%를 확보해 2대 주주에 오른 건 단순히 시세 차익을 노린 지분 투자로 보긴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DB손보는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지분을 사들이며 거래일인 지난 17일 종가(3665원)에 프리미엄 6.4%를 붙인 가격을 책정했다. 경영권도 없는 소수 지분을 프리미엄까지 붙여 사는 건 드문 일이다. 그 만큼 일정 규모의 이상의 지분을 단숨에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DB그룹은 DB손해보험의 자회사로 DB증권을 두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DB증권의 자기자본은 9933억원으로 자기자본 규모 기준 국내 증권사 중 21위다. 다올투자증권(7011억원)을 품으면 단순 자기자본 합산으로 13위까지 뛰어오를 수 있다. 단숨에 중형 증권사로 도약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다만 DB그룹 측은 다올투자증권 지분 인수 배경을 "자산운용 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q
-
DB손해보험, 다올투자증권 2대주주 올랐다
DB손해보험이 다올투자증권 2대 주주에 올랐다. 기존 2대 주주였던 김기수 프레스토투자자문 대표 측 지분 일부를 사들이면서다. 다올투자증권은 DB손해보험이 김 대표 측으로부터 다올투자증권 지분 9.73%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수했다고 21일 공시했다. 매수 가격은 주당 3900원으로 총 231억원이다. 거래가 이뤄진 17일 종가(3665원)에 프리미엄 6.4%를 붙여 지분을 사들였다. DB손해보험은 프레스토 측을 찾아 먼저 지분 매수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DB손해보험은 지분 보유 목적을 '일반 투자'로 밝혔다. 지분 보유 목적은 '단순투자' '일반투자' '경영참여' 3단계로 구분된다. 일반투자는 단순투자보다 높은 단계로 주주제안 등 적극적인 주주권을 행사할 수도 있는 상태를 말한다.DB그룹은 이미 DB증권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DB손해보험과 김준기 전 DB그룹 회장 등 특수관계인이 DB증권 지분 33.7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DB그룹은 지난 1일 DB금융투자에서 DB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하며 중소형 증권사로서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업계에선 DB그룹이 DB증권을 운영하면서 다올투자증권 2대 주주 자리까지 꿰찬 건 향후 다올투자증권 경영권을 인수해 DB증권과 합쳐 중대형 증권사로 도약하려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행보로 보고 있다. 이병철 다올투자증권 회장이 특수관계인과 함께 다올투자증권 지분 25.18%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확고한 지배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3대 주주는 지난해 5월부터 장내에서 다올투자증권 지분을 사 모은 세코그룹이다. 세코그룹은 고(故) 김철호 기아자동차 창업주의 사위인 고(故) 배창수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