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상반기 수요예측]②1兆 넘는 참여 급증…2014년 ‘데자뷰’
이 기사는 07월06일(11: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회사채 수요예측 참여금액이 1조원을 웃도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나의 회사채에 거의 모든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뛰어들었다는 뜻이다. 예년보다 우량 회사채 발행이 줄었지만 대기 수요는 계속 늘어난데 따른 결과다.공사채 발행 급감이 우량 회사채 품귀 현상을 낳았던 2014년과 비슷한 현상이다.6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발행일 기준) 회사채 수요예측 과정에서 참여금액이 1조원을 웃돈 거래가 4건에 달했다. 2012년 수요예측 시행 이래 1조원 넘는 자금이 몰린 발행은 모두 10건이다. 나머지 6건 가운데 5건은 2014년 발행한 회사채다.참여 물량 측면에서 흥행몰이에 가장 크게 성공한 기업은 CJ제일제당이다. 지난 2월 5000억원어치 회사채(21회) 투자자를 모집했는데 1조1800억원이 몰렸다. 올 상반기 최대 참여 실적이다. SK는 3000억원(276회) 모집에 1조500억원을 모았다. 철강업황의 오랜 부진 탓에 3년만에 회사채 발행을 재개한 포스코는 3000억원(307회) 모집에 1조500억원을 모으며 금의환향에 성공했다. 지난해 ‘안정적’ 등급전망을 회복한 최우량(AAA) 회사 KT는 3000억원(189회) 모집에 1조400억원을 끌어모았다.기관투자가들의 참여가 일부 회사채에 크게 몰린 것은 그만큼 발행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올해 단일 회차에 가장 많은 투자자를 모집한 회사는 롯데케미칼(52회)이다. 처음 6000억원을 모집했는데 7800억원이 몰려 76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모집금액은 역대 5번째, 발행금액은 2번째로 큰 규모다. 하
-
NH투자, 회사채 수수료 ‘역대 최저’ 0.05%‘제 살 깎아먹기’ 논란
이 기사는 07월05일(03: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NH투자증권이 수서발 고속철도 운영사인 에스알(SR)의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회사채 인수 수수료율을 사상 최저 수준인 0.05%로 책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끼리 ‘출혈’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수료가 바닥까지 떨어져버렸다는 ‘제 살 깎아먹기’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에스알(신용등급 AA+)은 지난달 28일 사상 첫 회사채를 1900억원어치(5년물 900억원, 7년물 1000억원)를 발행했다. 단독으로 대표 주관사를 맡은 NH투자증권은 인수 수수료로 전체 발행금액의 0.05%를 받았다. 회사채 1900억원을 발행하면서 주관사가 받은 수수료는 단 9500만원에 그친 것이다.에스알의 회사채 인수 수수료율 0.05%는 역대 최저 수준이다. 같은 신용등급(AA+) 회사 중 가장 최근인 지난달 16일 발행한 삼성물산 회사채의 수수료율은 0.25%였다. 에스알이 삼성물산의 5분의 1 수준으로 수수료를 증권사에 지급한 것이다. 삼성그룹 계열사들은 대부분 수수료율을 0.25% 정도로 책정하고 있다.에스알의 수수료율은 ‘짠물’ 수수료를 지급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히는 롯데그룹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롯데그룹은 보통 0.10~0.15% 수준으로 수수료율을 책정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지난해 10월 롯데케미칼이 60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하며 수수료율을 0.09%로 책정하며 낮은 수수료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IB업계에서는 과도한 주관사 경쟁을 자제하고 적정 수수료를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자정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IB업계에서는 인수
-
[2016 상반기 수요예측]①우량기업 ‘브렉시트’ 잔치…연 1.5%대 회사채 등장
이 기사는 07월04일(08: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다수의 우량 기업들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기회로 삼아 사상 최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을 두려워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채권에 몰리면서 채권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가 사상 최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역대 최저금리 신기록국내 최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회사인 CJ E&M은 지난 달 30일 3년 만기 회사채 500억원어치를 연 1.57% 금리로 발행했다. 100억원당 연 이자비용이 1억5700만원에 불과하다.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 청약)을 거쳐 발행한 일반회사채 기준 역대 최저 금리다. CJ E&M은 지난 달 23일 수요예측을 실시할 때만 해도 연 1.66% 안팎의 발행금리를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달 24일 브렉시트 확정 소식과 함께 시장금리가 가파른 하락을 거듭하면서 국내 기업 처음으로 연 1.5%대 회사채를 발행하는데 성공했다. CJ E&M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등급 중 4번째인 ‘AA-(안정적)’다.비슷한 시기에 자금을 조달한 다른 기업들도 모두 자체 최저금리 조달 기록을 새로 썼다.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 집계에 따르면 2012년 수요예측 제도 시행 이래 가장 발행금리가 낮은 회사채 상위 25개가 모두 올해 나온 종목들이다.상위 25개 종목 중 절반에 가까운 10종은 브렉시트 우려가 정점에 달했던 지난달 발행했다. SK텔레콤(3년물 발행금리 연 1.62%, 5년물 연 1.71%), 에스알(5년물 1.63%), SK(2년물 1.70%), 예스코(3년물 1.72%) 등이 지난달 새롭게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2015년 말까
-
롯데렌탈, 1000억 회사채 수요 예측 ‘참패’
이 기사는 11월24일(17:4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렌탈이 다음달 1일 발행할 예정인 1000억원어치 회사채 판매에 나섰으나 300억원어치밖에 못 팔았다.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24일 “롯데렌탈이 만기 3년짜리와 5년짜리 500억원어치씩 총 1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 예측(경쟁입찰)을 벌인 결과, 3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고 했다. 계획된 발행 물량 가운데 70%나 안 팔린 것이다. 3년짜리에 100억원, 5년짜리에 200억원의 주문이 각각 들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렌탈의 신용 등급은 투자 등급 10개 중 상위 네 번째인 ‘AA-’다.이번 회사채는 삼성증권과 신한금융투자 KB투자증권이 발행을 대행했다. 채권 발행 주선 부문 시장점유율 1위인 KB투자증권은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한 주 동안에만 롯데렌탈 롯데제과를 비롯해 총 6개 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맡아 수요 예측을 벌였으나, 롯데제과를 뺀 나머지 5개 기업의 회사채 투자자를 찾는 데 실패했다.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