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현대百그룹, 현대HCN 판다..유료방송 시장 '제2 빅뱅' 예고
≪이 기사는 03월23일(16:4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백화점그룹이 종합유료방송사업자(MSO) 현대HCN을 팔기로 결정했다. 작년 LG유플러스의 CJ헬로(현 LG헬로비전) 인수 및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인수에 이어 올해 유료방송 시장이 다시 한번 '지각 변동'을 겪을 예정이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그룹은 최근 LG유플러스 및 SK브로드밴드 등 경쟁 유료방송 사업자들에 현대HCN 매수 의사가 있는지 타진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홈쇼핑(38.34%), 현대쇼핑(11.05%), 현대백화점(11.03%), 현대그린푸드(5.79%)를 통해서 현대HCN 지분 66.21%를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인 매각 방식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조만간 주관사를 선정해 매각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현대HCN은 케이블 TV를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과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 등을 서비스하는 회사다. 유료방송 시장점유율은 작년 6월말 기준 4.07%(134만명)로 업계 6위다. 이미 포화상태인 유료방송 시장에서 1~3위를 점하고 있는 KT, LG, SK 통신 3사가 추가로 가입자를 확보해서 이익률을 높이려면 하위권 사업자를 인수해야 하는 구도다. 재무구조가 튼실하고 서울과 수도권에서 가입자를 많이 확보하고&nbs
-
CJ헬로, ABCP로 1500억원 조달
CJ그룹 종합유선방송 계열사인 CJ헬로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발행을 통해 1500억원을 조달했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CJ헬로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전날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3개월 만기 ABCP 15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SPC가 ABCP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모두 CJ헬로에 대출해주는 구조다.이 유동화상품의 기초자산은 CJ헬로가 SPC에 갚아야하는 대출금이다. 만기는 3년이며 이자는 3개월마다 지급된다. CJ헬로는 대출 만기에 맞춰 SPC를 통해 앞으로 11차례 더 ABCP를 차환발행할 예정이다.ABCP를 차환발행할 때 투자수요가 부족할 경우 발행주관사인 KEB하나은행과 국민은행이 팔리지 않은 물량을 사들이기로 약속했다. SPC가 ABCP를 갚지 못하는 상황이 되도 이들 은행이 부족한 금액을 빌려주기로 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이같은 신용보강을 반영해 이번 ABCP의 단기신용등급을 7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높은 ‘A1’으로 평가했다.CJ헬로는 1955년 설립된 종합유선방송업체로 케이블TV를 비롯해,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알뜰폰(MVNO)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 유료방송시장의 약 13%를 점유하고 있다. 2012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1분기 매출은 28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31억원으로 25.4% 줄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LG유플러스, 1조 준비… CJ헬로 인수 협상 중
▶마켓인사이트 1월17일 오후 4시30분국내 3위 이동통신회사이자 인터넷TV(IPTV) 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케이블TV 업계 1위인 CJ헬로(옛 CJ헬로비전) 인수를 추진하고 나섰다. LG유플러스가 인수에 성공하면 케이블TV IPTV 위성방송을 아우르는 유료방송 시장에서 SK브로드밴드를 제치고 KT에 이어 2위 사업자가 된다.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CJ헬로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해 협상을 벌이고 있다. 두 회사는 지난해 말 ‘각각 인수와 매각 의향이 있으며 가격과 거래 종결 방안을 협의해 거래를 마무리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거래 대상은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 지분 53.92%다. 가격은 1조원 안팎이 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김앤장이 CJ 매각 자문을, 모건스탠리와 태평양이 LG 인수 자문을 맡고 있다.LG유플러스의 인수 시도는 유료방송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승부수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CJ그룹은 콘텐츠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CJ헬로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거래가 성사되면 국내 미디어업계에 인수합병(M&A) 바람이 불 전망이다. KT SK브로드밴드 등 IPTV 경쟁사들의 케이블TV 인수가 뒤따르면서 유료방송 시장 재편을 촉발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내 3위 케이블TV 사업자인 딜라이브(옛 씨앤앰)도 채권단 주도 아래 매각작업을 하고 있다.이동훈/정영효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