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티메프 사태'에 대기업 e커머스 반사이익

    '티메프 사태'에 대기업 e커머스 반사이익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와 쿠팡의 멤버십 가격 인상이 촉발한 ‘e커머스 지각변동’이 거세지고 있다. 믿을 만한 플랫폼을 찾는 소비자와 셀러(판매자)가 많아지면서 SSG닷컴, 11번가, 롯데온 등 대기업이 운영하는 e커머스가 혜택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 비씨카드 데이터사업본부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이용자의 국내 주요 e커머스 결제 건수를 조사한 결과, 티메프 사태 이후 네이버·쿠팡보다 대형 오픈마켓(11번가·G마켓·옥션)과 백화점 플랫폼(SSG닷컴·롯데온)으로 더 많이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티메프 사태가 터진 후(7월 22~31일) 11번가·G마켓·옥션의 하루평균 결제 건수는 사태 전(6월 1일~7월 21일)보다 6% 증가했다. 같은 기간 SSG닷컴·롯데온도 7% 늘었다. 이에 비해 네이버·쿠팡의 결제 건수는 오히려 2% 줄었다. 애초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한 네이버·쿠팡 결제 건수가 감소한 데는 ‘쿠팡 멤버십 가격 인상’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쿠팡은 지난 7일부터 와우 멤버십 월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1% 올렸다. 이 때문에 멤버십을 탈퇴하는 ‘탈팡족’이 증가하고 신규 가입하는 회원도 줄었을 것이란 추정이다.탈팡족을 잡기 위해 혜택을 늘린 SSG닷컴은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쿠팡이 월회비를 올리기 직전인 이달 1~7일 SSG닷컴의 신선식품 특화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쓱배송 클럽’ 신규 가입자는 전주 대비 30% 증가했다. SSG닷컴 관계자는 “다른 e커머스 멤버십에서 옮겨온 것을 인증하면 지원금을 주고, 무료배송 기준을 4만원에서 1만4900원으로 낮추는 등 혜택을 늘린 덕분에

  • 대법 "KB손보, '불완전판매' BC카드에 수수료 반환 청구 가능"

    MARKET

    대법 "KB손보, '불완전판매' BC카드에 수수료 반환 청구 가능"

    보험 상품을 위탁 판매한 BC카드가 '불완전 판매'로 적발돼 KB손해보험이 손해를 본 사건에서 BC카드가 일정 부분 피해를 변제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KB손해보험이 BC카드를 상대로 낸 수수료 반환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한 판결을 파기환송했다고 30일 밝혔다.KB손해보험과 BC카드는 2003년 6월 보험 모집을 위탁하는 내용의 보험대리점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2014년 금융감독원 검사로 BC카드는 불완전판매 제재조치를 받았다. 금감원은 불완전판매를 사전에 예방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KB손해보험에 기관주의 등 제재를 했고, KB손해보험은 보험을 계약한 사람들에게 보험료를 환급하게 됐다.KB손해보험은 BC카드를 상대로 대리점 수수료 환수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양사가 맺은 보험대리점 계약 6조 2항은 BC카드가 KB손해보험에 대리점 수수료를 돌려줘야 할 사유를 ‘보험계약 조건 등의 변경, 무효, 효력상실 또는 해지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1심은 BC카드가 수수료를 반환하라고 판단했지만 2심은 KB손해보험의 청구를 기각했다. 2심은 대리점 계약이 정하고 있는 반환 사유가 '오로지 BC카드에만 위험을 부담시키거나 책임을 돌릴 수 있는 사유로 인해 계약자들에게 보험료를 환급한 경우'라고 해석했다. 이번 사건에는 KB손해보험의 책임도 있으므로 계약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대법원은 "이 사건 보험대리점 계약의 문언상 체결 과정에서 위험 부담, 귀책사유의 존부·정도·비율 등에 관해 아무런 정함이 없다"며 "보험회사의 과실이 일부라도 인정된다는 이유만으로 보

  • 케이뱅크, 1.2조 투자유치.. '카뱅' 견제 나선다

    케이뱅크, 1.2조 투자유치.. '카뱅' 견제 나선다

    케이뱅크가 1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다. 대형 사모펀드(PEF)들이 대거 참여해 흥행에 성공하면서 케이뱅크의 ‘몸값’은 2조4000억원까지 올랐다.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기존 주주를 비롯해 신규 투자자로부터 1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기로 하고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신규 투자자로는 미국계 PEF 베인캐피탈 약 2000억, 국내 PEF MBK파트너스 약 2000억원, 신한대체투자운용-JS PE 약 1000억원, MG새마을금고중앙회 약 1000억 등이 참여한다. 기존 주주 중에는 최대주주인 BC카드가 최대 4000억원, 한화생명 등 소수 지분을 보유한 주주들이 약 1000억원을 추가 투자를 한다. 케이뱅크는 오는 2023년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계획하고 있다.케이뱅크는 출범 4년 만에 기업가치 2조4000억원으로 규모를 키우게 됐다. 케이뱅크는 2017년 자본금 2500억원으로 출범해 7번의 유상증자를 거쳤다. 이번에 1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받으면서 단숨에 2조원대 기업으로 등극했다.이번 투자금 유치는 당초 계획보다 2배 늘어난 규모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하반기 6000억원을 목표로 유상증자에 나섰다. BC카드가 2000억원을 부담하고, 4000억원은 신규 투자자를 통해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막바지에 큰손 투자자들이 나서면서 투자 규모도 크게 증가했다.케이뱅크는 이번 투자금을 발판으로 사업다각화 등을 통해 카카오뱅크를 바짝 추격하겠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2019년 1년여간 2대 주주인 KT가 공정거래법 위반에 따른 벌금형 선고로 대주주 적격성 위반 판결을 받아 대출 영업이 금지되는 등 한 때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다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제휴를 맺으며 신성장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