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트진로, 대출채권 유동화로 400억원 조달
이 기사는 11월27일(1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하이트진로가 대출채권을 유동화해 운영자금 400억원을 조달했다. 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이날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4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 SPC가 ABSTB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을 하이트진로에 대출해주는 구조다.대출 만기는 1년으로 원리금은 모두 만기에 일시상환한다. 3개월마다 일정 수준의 대출이자를 지급하기로 했다. 기한이익상실 등 어떤 상황이 발생해도 이미 지급된 이자는 돌려받지 못한다. 기초자산인 대출금 만기에 맞춰 ABSTB는 두 차례 발행된다. 오는 28일 첫 번째 ABTSTB의 만기가 도래하면 내년 11월27일까지가 만기인 두 번째 ABSTB를 찍을 예정이다. 차환할 때 투자자가 모이지 않으면 발행 주관사인 신한은행이 팔리지 않은 ABSTB를 모두 인수하겠다고 계약했다. 이 유동화상품의 신용등급이 7개 단기 투자등급 중 가장 높은 ‘A1’인 이유다.하이트진로는 저조한 수익성과 1조원이 넘는 차입금에 기관들이 장기투자에 부담을 느끼면서 최근 단기 차입 비중을 조금씩 늘리고 있다. 올 3분기(연결기준) 1년 내로 갚아야 하는 금액은 6602억원으로 총 차입금(1조1274억원)의 58.6%를 차지하고 있다. 2014년(52.6%) 이후 이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5년 만기 회사채도 2014년(700억원)을 마지막으로 발행하지 않고 있다. 올 하반기 들어 맥주 신제품 ‘필라이트’와 직접 유통한 수입 맥주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긴 하지만 투자심리가 돌아서기엔 부족하다는 평가다.
-
이랜드파크, 대출채권 유동화로 400억 조달
이 기사는 08월14일(09: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구조조정에 한창인 이랜드파크가 대출채권 유동화로도 400억원을 추가로 조달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본격적으로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랜드파크는 지난 11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4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 SPC가 ABSTB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을 이랜드파크에 대출하는 방식이다. ABSTB의 기초자산은 이랜드파크가 SPC에 갚아야할 대출채권이다. 이랜드파크가 대출금을 상환하면 SPC가 이 금액에 약속된 이자를 얹어 ABSTB 투자자들한테 갚는 구조다. ABSTB의 만기는 1개월로 앞으로 3개월간 세 차례 더 차환 발행된다. 이랜드파크는 1개월마다 SPC에 약정된 대출이자를 지급하고 대출원금은 오는 11월 상환할 계획이다. 차환 발행할 때 ABSTB가 시장에서 팔리지 않으면 주관사인 동부증권이 이를 인수하기로 약정을 맺었다. 이번 ABSTB에 붙는 신용등급(A2+)이 이랜드파크의 단기 신용등급(B+)보다 여섯 단계 높은 이유다. ‘A2+’는 7개 투자적격등급 중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이랜드파크는 이랜드그룹의 레저사업을 맡고 있는 계열사로 호텔, 테마파크, 스키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수년 째 쌓인 적자로 재무구조가 급속히 악화하자 최근 켄싱턴제주호텔, 강원도 켄싱턴플로라호텔, 경기도 포천 베어스타운 등 주요 자산들을 매물로 내놓으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3월말 기준 이 회사의 총 차입금은 2984억원으로 이 중 1년 안에 갚아야 할 금액만 2403억원에
-
적자 쌓인 대상베스트코, 대출채권 유동화로 500억 조달
이 기사는 07월31일(14:5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상그룹의 식자재유통 계열사인 대상베스트코가 대출채권 유동화로 500억원을 조달했다. 매년 적자를 내는 가운데 차입금이 증가하고 있어 재무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상베스트코는 이날 특수목적법인(SPC)를 통해 5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 구조가 동일한 SPC 두 곳(베스트어워드제1차·뉴스타베스트제1차)이 각각 250억원어치 ABSTB를 찍어 확보한 자금을 대상인베스트코에 대출하는 방식이다. ABSTB에 붙는 신용등급은 7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높은 ‘A1’이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운영자금 등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ABSTB의 기초자산은 대상베스트코가 SPC에 갚아야할 대출채권이다. 대상베스트코가 대출금을 상환하면 SPC가 이 자금에 약속된 이자를 얹어 ABSTB 투자자들한테 갚는 구조다. ABSTB의 만기는 3개월로 앞으로 3년간 11차례 더 차환 발행된다. 이 회사는 앞으로 3개월마다 약정된 대출이자를 지급하고 대출원금은 2020년 7월에 상환할 예정이다. 차환 발행시 ABSTB가 시장에서 팔리지 못하면 주관사인 KB증권과 NH투자증권이 이를 인수하도록 돼 있다. 대상베스트코는 2010년 설립된 식자재 유통업체다. 지분 70%를 보유한 대상이 최대주주이며 임창욱 대상그룹 회장과 자녀인 임세령·임상민 대상 전무가 각각 10%씩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그동안 대상그룹 오너 일가를 비롯한 주주들이 수차례 유상증자에 참여해 자금 지원을 해줬음에도 설립 후 지
-
현대로보틱스, 대출채권 유동화로 500억 조달
이 기사는 07월11일(10: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현대로보틱스가 대출채권 유동화를 통해 500억원을 조달했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로보틱스는 전날 특수목적법인(SPC)를 통해 500억원 규모 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다. SPC가 ABSTB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현대로보틱스에 대출해주는 방식이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운영자금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ABSTB의 기초자산은 현대로보틱스가 SPC에 갚아야할 대출채권이다. 현대로보틱스가 대출금을 상환하면 SPC가 이 자금에 약속된 이자를 얹어 ABSTB 투자자들한테 돌려주는 구조다. ABSTB는 앞으로 1년6개월 동안 3개월 단위로 다섯 차례 차환 발행된다. 현대로보틱스는 앞으로 3개월마다 약정된 대출이자를 지급하고 대출원금은 2019년1월에 일시 상환할 예정이다. 차환 발행시 ABSTB가 시장에서 팔리지 못하면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이를 인수하도록 돼 있다. 신용도가 악화되면 대출금을 조기상환하는 조건이 달려있다. ‘A-(부정적)’인 현대로보틱스의 채권 신용등급이 ‘BBB’ 이하로 떨어지거나 ‘A2-’인 기업어음(CP)·전자단기사채 등급이 ‘A3’ 이하로 떨어지면 대출금 전액을 조기에 갚아야 한다. 현대오일뱅크 대주주 지위를 잃어버려도 대출금을 모두 조기상환해야 한다. 이 회사는 현대오일뱅크 지분 91.1%를 갖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