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50대 중반' 젊어진 10대그룹 사장단…위기 대응 '전략통' 약진

    '50대 중반' 젊어진 10대그룹 사장단…위기 대응 '전략통' 약진

    지난주 롯데를 끝으로 올해 10대 그룹(금융그룹 제외) 사장단 인사가 마무리됐다. 주요 그룹들은 간판급 최고경영진을 대부분 유임시키며 ‘안정’에 방점을 찍었다. 경기 둔화, 소비 침체 등으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혁신’을 포기한 건 아니다. 상대적으로 젊은 50대 중반의 전략 전문가들을 핵심 계열사 사장으로 승진시키거나 신규 최고경영자(CEO)에 임명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위기 상황에서도 미래 사업을 적극 발굴하겠다는 의지가 사장단 인사에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SK, 전략통 대거 승진한국경제신문은 18일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등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기준 ‘총수 있는 기업집단’ 10곳의 신임 사장·CEO 인사를 분석했다. 10대 그룹에서 올해 새롭게 CEO를 맡았거나 사장으로 승진한 경영진은 총 57명이다.신임 CEO·사장 57명의 경력을 살펴본 결과 ‘전략통’으로 볼 수 있는 인사가 36명으로 전체의 63.2%를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기술 전문가’가 중용됐던 삼성그룹에서도 올해는 전략통이 약진했다. 전체 승진자 12명 중 9명이 전략 전문가로 분류됐다.주요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사업지원TF(삼성전자), EPC(설계·조달·시공)경쟁력강화TF(삼성물산), 금융경쟁력제고TF(삼성생명)와 전신인 미래전략실 출신 부사장들이 대거 사장으로 승진한 영향이 크다. 백수현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사장, 박종문 삼성생명 자산운용부문 사장, 정해린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사장 겸 삼성웰스토리 CEO, 강병일 삼성물산 EPC경쟁력강화TF 사장이 대표적이다.SK그룹도 마찬가지다. 정보

  • 석·박사 56%…서울대 공대 나와 MBA '대세'

    석·박사 56%…서울대 공대 나와 MBA '대세'

    서울대 공대를 졸업하고 경영학 학위(MBA 포함)를 갖고 있는 ‘융합형’ 전문가. 올해 최고경영자(CEO)에 새롭게 임명됐거나 사장으로 승진한 10대 그룹 고위 경영진의 학력 관련 대표적인 스펙이다. 미래 사업을 발굴할 수 있는 ‘기술 전문성’에다 경영에 대한 높은 이해도까지 겸비한 임원이 올해 대거 대기업 CEO·사장 자리에 올랐다.18일 한국경제신문이 올해 10대 그룹 신임 CEO·사장 57명의 출신 대학 등 학력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 졸업자가 18명(31.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세대가 9명, 고려대는 5명으로 조사됐다. 건국대, 경북대, 서강대, 이화여대 등이 2명으로 뒤를 이었다.외국 대학 출신은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중국 푸단대), 이창엽 롯데제과 CEO(미국 텍사스오스틴), 루크 동커볼케 현대자동차 최고크리에이티브책임자(스위스 아트센터칼리지) 등 3명으로 집계됐다.학부 전공은 이공계와 상경계가 각각 20명으로 같았다. 나머지 17명은 약학, 법학, 정치외교 등 다양했다. 서울대 출신 18명 중에선 기계공학·산업공학·전자공학 등 공대 출신이 8명으로 경제·경영 등을 전공한 상경계(6명)보다 많았다. 서울대 공대 출신 CEO·사장 승진자로는 김우준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서울대 전자공학), 강병일 삼성물산 EPC경쟁력강화TF장(서울대 화학공학), 이훈기 롯데지주 ESG경영혁신실 사장(서울대 화학공학) 등이 대표적이다.석·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는 신임 CEO·사장은 32명(56.1%)으로 절반을 넘었다. 이 중 19명은 학부 전공과 다른 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땄다. 눈에 띄는 점은 경영학 석·박사 학위 취득자가 17명이라는 것이다.

  • 유리천장 깨지는 대기업…女 CEO·사장 5명 탄생

    유리천장 깨지는 대기업…女 CEO·사장 5명 탄생

    ‘여성 사장 시대.’ 올해 1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사장 인사를 대표하는 키워드 중 하나다. 50~60대 남성이 대부분이던 10대 그룹 사장 명단에 여성이 이름을 올린 것은 이례적이다. 대기업에 굳건하던 유리천장이 본격적으로 깨지기 시작한 원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18일 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10대 그룹 CEO·사장 승진자 중 여성은 총 5명이다. 오너가 출신이 아닌 4대 그룹 첫 여성 CEO에 오른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이 대표적이다. LG생활건강은 지난달 24일 이 부사장을 사장 승진과 동시에 CEO로 내정하면서 ‘여풍(女風)’의 물꼬를 텄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인사에서 이영희 글로벌마케팅실장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삼성전자에서 여성 사장이 나온 것도 처음이다.유통업계에선 여성 CEO가 여러 명 나왔다. LG그룹 광고 지주회사인 지투알의 박애리 전무는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CEO에 올랐다. 김혜주 롯데멤버스 CEO(전무)와 이선정 CJ올리브영 CEO(경영리더)도 각각 대표로 내정됐다.특히 이영희 사장과 김혜주 CEO는 ‘외부 출신’이라는 점에서 업계가 주목했다. 이 사장은 부레오버넷코리아, 유니레버코리아, 로레알코리아 등 외국계 기업에서 마케팅을, 김 CEO는 삼성전자, KT, 신한은행 등 여러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다뤄왔다. 산업계 관계자는 “능력만 있으면 누구든 중책을 맡긴다는 대기업의 바뀐 인사 기조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라고 분석했다.10대 그룹 여성 CEO 5명 중 4명은 ‘전략통’으로 꼽힌다. 빅데이터 분야 ‘기술통’인 김 CEO를 제외한 4명은 모두 각 분야의 대표 전략 전문가로 알려졌다. 이정애 사장은 1986년 LG생활건강 공채로 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