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흥국생명, 흥국생명빌딩 7200억에 흥국코어리츠에 매각

    흥국생명, 흥국생명빌딩 7200억에 흥국코어리츠에 매각

    흥국생명이 본사로 사용하던 빌딩을 계열사 리츠에 넘겨 7000억원이 넘는 현금을 확보했다.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방식으로 향후 7년간 그대로 본사로 사용한다.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흥국생명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에 위치한 흥국생명빌딩을 흥국코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흥국코어리츠)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매각 금액은 7193억원이다.흥국코어리츠는 올해 출범한 흥국리츠운용이 설립한 리츠다. 태광그룹 계열사가 보유한 핵심 자산을 리츠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일환이다. 흥국생명은 오는 2030년 10월까지 보증금 229억원, 연간임차료 261억원을 지불하며 그대로 본사로 사용한다. 7년 간 사용한 이후 3년 연장 가능한 조건이다.흥국생명빌딩은 흥국생명보험이 지난 2000년 10월 총 1500억원을 들여 준공한 건물로 태광그룹의 사옥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 도심권역(CBD) 핵심 입지에 위치한 대형 오피스 건물이다. 연면적 7만2054㎡(제곱미터), 지하 7층~지상 24층 규모다. 흥국생명을 비롯해 흥국화재, 흥국자산운용 등 태광그룹 주요 금융 계열사 등이 사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네셔널지오그래픽코리아, 엔지씨코리아, 현대종합상사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입주해있다.준공 직후 흥국생명은 태광산업에 이 빌딩을 2530억원에 매각했다가 지난 2009년 4205억원에 되사왔다.이번에 흥국코어리츠의 흥국생명빌딩 매입 자금은 태광그룹 계열사가 약 3000억원을 지원하고 잔여 대금은 담보대출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빌딩 매매 계약을 앞두고 태광산업과 흥국생명이 흥국코어리츠에 각 512억원, 608억원을 출자했다.흥국코어리츠는 추가적으로

  • 흥국생명·흥국화재, 제4 인뱅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참여

    흥국생명·흥국화재, 제4 인뱅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참여

    제4 인터넷은행 컨소시엄 '한국소호은행'을 이끌고 있는 한국신용데이터(KCD)는 흥국생명과 흥국화재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사실상 제4 인터넷은행 설립 경쟁의 '1강체제'를 굳힌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 보험사가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은 이미 우리은행 농협은행 부산은행 하나은행 우리카드 유진투자증권 OK저축은행 등 7개사를 투자사로 확보한 상태다. 이번에 흥국생명과 흥국화재까지 합류가 확정되면서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은 총 9개 금융사의 참여가 확정됐다.보험사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 참여를 결정한 것은 보험사와 디지털금융의 융합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KCD의 설명이다. KCD는 흥국생명과 흥국화재의 참여로 보험사의 중추적 역할인 위험관리와 보장서비스 제공은 물론 소상공인 고객의 금융 니즈에 맞춘 맞춤형 보험 및 금융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성을 높이고 미래 위험에 대한 대비를 체계화할 계획이다.보험업계의 컨소시엄 참여는 디지털금융을 통한 고객의 록인(Lock-in) 전략의 일환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게 KCD의 설명이다. 보험사 입장에서도 최근 펫보험, 시니어케어 등 신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참여로 소상공인과의 접점을 확장하는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KCD는 밝혔다. 시너지 극대화 차원에서 KCD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참여사로 이번에 정보기술(IT) 기업인 티시스도 합류했다고 발표했다.컨소시엄을 이끄는 한국신용데이터(KCD)는 전국 170만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경영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 흥국화재 대표에 송윤상

    흥국화재는 신임 대표이사에 송윤상 흥국생명 경영기획실장(59)을 내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송 내정자는 현대해상 삼성생명 KB생명 등 주요 보험사에서 핵심 업무를 두루 거친 보험 전문가다. 재무·기획·상품·보상 분야에 전문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그는 1993년 대신생명에 입사하며 보험업계에 발을 들였다. 2014년 KB생명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겨 리스크관리본부장과 경영기획본부장을 맡았다. 지난 1월 흥국생명 경영기획실장으로 영입됐다.서형교 기자

  • 메리츠화재·흥국화재, 작년 역대 최대 순이익 달성

    메리츠화재와 흥국화재가 지난해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수익성이 높은 장기보장성 보험 위주로 실적 개선이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메리츠화재는 작년 당기순이익이 86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9% 증가했다고 2일 발표했다. 역대 최대 규모 순이익이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0조7193억원, 1조1787억원으로 각각 1년 전에 비해 6.9%, 29.4% 성장했다.손해보험사들은 지난해 대체로 좋은 실적을 거뒀다. 백내장 지급 심사가 강화되면서 실손보험 손해율이 개선됐고, 코로나19와 고유가 상황이 겹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낮아졌기 때문이다. 손보사 중에서도 특히 메리츠화재의 성장세가 특히 돋보인다는 평가다.메리츠화재는 지난해 3분기에 당기순이익 기준 삼성화재에 이어 손보업계 2위로 도약했다. 보험업계에선 메리츠화재가 4분기엔 실적 1위를 기록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메리츠화재는 경쟁사에 비해 자동차보험 비중이 낮은데, 통상 겨울철엔 폭설이나 한파 등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삼성화재는 오는 21일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올해부터 도입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아래에선 장기 보장성보험의 수익성이 가장 높다. 메리츠화재가 2015년부터 장기인보험 비중 확대에 힘을 쏟은 게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조정호 회장이 확실한 성과주의 원칙을 세우고 비용 효율화를 꾀한 것도 실적 개선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흥국화재도 지난해 146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역대 최대 이익을 냈다. 흥국화재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4조5289억원, 1864억원으로 집계됐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특히 장기보험 실손 손해율

  • 손보사株, 호실적 예상에 주가 일제히 상승

    STOCK

    손보사株, 호실적 예상에 주가 일제히 상승

    손해보험사들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다. 주력 상품인 자동차 보험의 손해율 개선 효과와 실손보험 지급 감독 강화의 영향으로 상반기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3일 메리츠화재의 주가는 전일 대비 6.79% 상승한 3만6150원에 거래를 마쳤다. DB손해보험(6.08%), 흥국화재(4.14%), 현대해상(3.98%), 롯데손해보험(3.86%), 한화손해보험(3.71%), 삼성화재(2.28%) 등도 일제히 올랐다. 증권업계에서는 손보사들의 올 상반기 호실적 전망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고 진단했다. 지난 21일 KB손해보험은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4397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대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 상반기 당기순이익(2967억원)보다 207.5% 상승한 수치다. 경쟁 손해보험사들도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손보업계의 순이익 증가의 주된 이유로 주력 상품인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와 고유가 여파로 자동차 운행량이 감소하면서 사고 역시 줄었다는 것이다.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를 포함한 국내 11개 손보사의 상반기 평균 자동차 보험 손해율은 80.7%로 지난해 82.7%보다 2%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실손보험 관련해 과잉 진료 논란을 빚었던 '백내장' 보험금 청구를 대상으로 관리·감독이 강화된 것도 실적 상승의 원인으로 꼽힌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손보사는 최근 경기 우려가 큰 상황에서 방어주로서의 매력이 있다"면서 "투자자들이 손보사의 현재 실적도 좋고, 앞으로의 전망도 괜찮은 편이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다만 하반기 휴가와 태풍 등으로 인해 손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실적 증가세 둔화

  • 흥국화재, 창사 첫 희망퇴직 받는다…15년차 이상

    흥국화재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기로 했다.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흥국화재는 이날부터 이달 13일까지 닷새간 만 45세 이상, 입사 15년 차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해당 조건 중 하나만 충족해도 희망퇴직을 신청할 수 있다. 입사한 지 15년이 됐다면 30대 중후반의 직원도 신청이 가능한 셈이다.신청자에겐 퇴직위로금으로 최대 연봉 24개월 치를 지급한다. 3000만~4000만원의 별도 위로금도 지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흥국화재 직원 1인당 평균 급여액이 7732만원인 것을 감안했을 때 2억원 안팎이 지급될 전망이다.흥국화재 관계자는 "고정비용 절감을 위해 노사 간 협의를 거쳐 희망퇴직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보험업계에선 지난해부터 희망퇴직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교보생명·신한라이프·KB손해보험 등이 희망퇴직을 통해 직원을 내보낸 바 있다.초저금리로 장기 보험상품의 성장이 정체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채널이 새로운 영업방식으로 떠오르면서 인력 수요가 대폭 줄어든 탓이다. 여기에 새 국제회계 기준인 IFRS17 도입 등이 예정되면서 보험사들의 건전성 위기가 커졌다는 점도 희망퇴직을 통한 비용 감축을 부추기는 원인으로 꼽힌다.보험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고 있다곤 하지만 여전히 보험업의 상황이 좋지 않아 대면 채널이 활발했던 보험사를 중심으로 희망퇴직 행렬이 이어질 것”이라며 “직원들 입장에선 목돈을 쥐고 새 기회를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 금리 하락세에 베팅?…흥국화재, 연이어 변동금리부 후순위채 발행

    ≪이 기사는 12월14일(04:3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흥국화재가 연이어 변동금리 방식으로 후순위채를 찍고 있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후순위채와 영구채(신종자본증권)는 주로 고정금리로 발행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일이라는 평가다. 채권시장에선 금리 하락세가 장기간 이어지자 조달금리 절감을 위해 변동금리부 채권을 찍는 기업이 하나둘씩 등장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흥국화재는 전날 6년6개월 만기 후순위채 500억원어치를 변동금리 방식으로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연 5.7%이지만 3개월마다 5년 만기 국고채 금리에 3.82%포인트를 가산한 수준으로 금리가 변동된다는 조건을 달아놨다. 이 회사는 지난달에도 비슷한 조건으로 6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두 차례 채권 발행 모두 NH투자증권이 주관했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엔 전액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았을 때부터는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매년 20%씩 줄어드는 채권이다. 이 때문에 채권 만기가 길면 발행한 지 5년째부터는 발행회사의 조기상환권 행사와 금리 상승조건이 함께 달려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환할 때까지 발행금액이 모두 자본으로 인정되는 영구채 또한 이같은 조건으로 가장 많이 발행된다. 흥국화재는 지난 9월 말 154.7%인 지급여력(RBC)비율을 높이기 위해 후순위채를 발행해 자본 규모를 늘리고 있다. 금융당국의 권고치는 150% 이상이다.흥국화재가 연이어 변동금리부 채권을 발행하는 배경엔 시장금리 하락이 지속될 것이란 예측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후순위채 금리산정의 기준이 되는 5년

  • 흥국화재, 국내 보험사 최초 해외 후순위채 발행

    흥국화재보험이 국내 보험사 중 처음으로 해외에서 후순위채를 발행한다. 3년 후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미리 자본을 쌓아 자산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흥국화재는 이달 말 유럽 및 아시아 투자자들을 상대로 10년 만기 후순위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발행금액은 1억5000만~2억달러(약 1600억~2100억원) 수준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 채권에는 5년 뒤 흥국화재가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있다. 이르면 18일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벌일 예정이다. JP모간이 단독 주관을 맡고 있다.후순위채는 처음에는 발행금액 전부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지만 특정 시점부터 자본 인정금액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채권이다. 발행한 지 5년째부터 상각조건이 발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투자자가 원리금을 돌려받는 우선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등급이 낮고 금리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흥국화재는 이번 후순위채 신용등급을 기업 신용도보다 두 단계 낮은 ‘Baa3’(무디스 기준)으로 평가받았다.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이다.흥국화재는 2021년 IFRS17 시행을 앞두고 지급여력(RBC)비율을 높이고자 후순위채 발행에 나섰다. 보험 부채를 시가평가해야 하는 IFRS17 아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해서 자산건전성 악화를 막으려면 미리 자본을 쌓아둬야 한다. 흥국화재의 지난 1분기말 기준 RBC비유은 156.8%로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겨우 웃돌고 있다.그동안 보험사들이 자본 확충수단으로 영구채 발행을 택한 것과 달리 흥국화재가 후순위채 카드를 꺼낸 것은 조달금리 때문이다. 영구채는 만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