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트럼프 "車 기업 도울 것"…현대차그룹株 동반 질주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제조업체와 자동차 부품업체의 주가가 15일 동반 상승했다. 미국이 자동차 관련 관세를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다.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는 이날 4.29% 상승한 18만7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기아는 3.37% 올라 8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부품 기업도 대부분 크게 올랐다. 자동차 범퍼 등을 생산하는 성우하이텍은 7.72%, 조향 장치 제조사 화신은 6.99% 뛰었다. HL만도(6.23%), 에스엘(5.94%), 한온시스템(3.16%)도 상승했다.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련 품목 관세 완화 조치를 시사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자동차 기업을 도울 방법을 모색 중”이라며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옮기려는 기업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와 별도로 수입 자동차에 관세 25%를 부과하고 있다. 다음달 3일부터는 엔진, 변속기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도 25% 관세를 매긴다.금융투자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완화 여부가 국내 완성차·부품 기업 실적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와 차량 부품은 한국의 최대 대미 수출 품목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한 완성차 413만 대 중 273만 대가 해외에서 팔렸다. 이 중 절반 이상인 143만 대는 미국을 향했다.전문가들은 미국이 관세 25%를 그대로 적용하면 국내 완성차 기업의 영업이익이 연간 최대 10조원가량 쪼그라들 것으로 본다. 관세를 반영해 현지 가격을 올리면 그만큼 수요가 줄고,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면 마진을 희생해야 한다. 작년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판

  • 美 생산기지 보유한 車부품주 '질주'

    美 생산기지 보유한 車부품주 '질주'

    미국에 생산기지를 보유한 자동차 부품기업 주가가 반등하고 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로 완성차 업체들이 현지 생산을 늘리면 미국 내 부품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돼서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스엘은 지난 21일 18.23% 급등한 3만4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한 주 동안 상승률은 24.6%에 달한다. 에스엘은 자동차 램프를 주로 생산해 현대자동차와 제너럴모터스(GM) 등에 납품한다. 섀시와 차체 등을 만드는 화신은 이날 4.78% 올랐고, 내장 부품 생산기업인 서연이화 또한 3.92% 상승했다. 현대공업과 아진산업도 각각 5.56%, 4.22% 뛰었다.자동차 부품사 주가가 오른 것은 미국 생산능력을 보유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월 자동차에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전체 자동차 중 현지에서 생산되는 차량은 66%에 그친다.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다. 미국 시장 점유율 1위와 8위인 GM과 현대차가 동맹을 맺고 생산기지를 공유하려는 이유다.현재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비용 문제로 판매량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다. GM의 수입 비중은 40%를 넘고, 포드 역시 약 20% 수준이다. 이를 현지 생산으로 대체할 경우 현지 부품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에스엘은 테네시와 앨라배마, 서연이화는 앨라배마와 조지아에 생산공장을 갖췄다. 화신과 현대공업, 아진산업은 앨라배마와 조지아 등에 공장이 있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때문에 완성차 업체들은 현지 생산을 늘려나갈 것”이라며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현대차와 GM 대상 매출 비중이 높은 부품사 중심으로 관심을 가져

  • 인도 IPO 호재…현대차도, 부품주도 '씽씽'

    인도 IPO 호재…현대차도, 부품주도 '씽씽'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의 기업공개(IPO)가 가시화하자 함께 현지 사업을 하는 부품사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인도가 중국과 같은 거대 시장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자동차 부품주 랠리를 이끌고 있다. 글로벌 톱 완성차 업체로 올라선 현대차·기아의 수익성이 개선되며 부품사도 낙수 효과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印 IPO 나비효과 기대…부품사 급등1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3.92% 오른 27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지수는 외국인(-1426억원)과 기관(-1397억원)이 동반 순매도에 나서며 0.52% 떨어졌지만, 현대차는 인도 법인 IPO에 따른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에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은 현대차를 각각 571억원, 32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기아 또한 5.22% 오른 12만9100원에 마감했다.자동차 부품사들도 주가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현대차그룹 1차 부품사인 화신은 이날 14.26% 상승한 1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 달 전인 지난달 17일에 비해 화신 주가는 40.8% 급등했다. 화신은 인도 매출 비중이 18% 수준으로 국내 부품사 중 가장 높다. 서연이화 역시 이날 12.06%로 가파르게 오르며 2만900원에 마감했다. 에스엘은 5.49% 상승한 4만4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 회사의 한 달간 주가 상승률은 각각 17.4%, 24.5%에 달한다. 이날 5.34% 뛴 HL만도는 한 달 동안 주가가 24.2% 올랐다.현지 사업 호조로 부품사가 동반 성장할 것이란 기대가 주가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현대차 주요 부품사들은 대부분 인도에 동반 진출했다. 현대차가 인도 IPO를 통해 40조원이 넘는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현지에 재투자하면 중장기적으로 인도 최대 완성차 업체에 오를 수 있다

  • "화신, 4분기 깜짝 실적 기대감…목표가 유지"

    "화신, 4분기 깜짝 실적 기대감…목표가 유지"

    다올투자증권은 13일 자동차 부품업체 화신에 대해 4분기 ‘깜짝 실적’을 기대했다. 투자의견 ‘적극 매수’와 목표주가 1만4000원을 유지했다.작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47% 늘어난 4746억원, 영업이익은 1353% 급증한 35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생산단가가 현저하게 높은 한국·미국 공장증가 효과가 매출단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글로벌 가동률은 작년 2분기 87%, 3분기 94%에 이어 4분기 95~96%로 꾸준히 상승할 전망이다. 원재료인 철판가격(재료비의 31.5% 비중) 하락세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유 연구원은 “국내 공장 BPC(배터리 팩 케이스) 수주를 확보했다”며 “E-GMP(현대차그룹 전기차 플랫폼) 물량에 대해 추가 수주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그는 이어 “특히 기존 현대기아차 물량 공급의 핵심라인이어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적용이 시작되는 올해 초부터 수주 모멘텀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장관진 기자 jkjin@hankyung.com

  • 주가 7배 뛴 자동차부품사 화신, 교환사채 230억 발행

    주가 7배 뛴 자동차부품사 화신, 교환사채 230억 발행

    유가증권시장 자동차 부품회사인 화신이 교환사채(EB)를 발행해 약 230억원을 조달한다. EB는 일정기간 후 투자자가 발행회사가 지정한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화신은 지난 13일 이사회를 열고 5년 만기 EB 232억원어치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해당 EB는 오는 15일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은행 등을 상대로 무이자 조건으로 발행될 예정이다. 교환대상은 화신이 보유한 자사주 199만5600주다. 투자자들은 오는 25일부터 주당 1만1632원에 EB를 화신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13일 종가(1만300원)보다 12.9% 높은 수준이다.투자자들은 화신 주가가 더 오를 것으로 보고 EB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화신 주가는 코로나19가 대유행 국면에 들어간 지난해 3월23일 1390원까지 떨어졌지만 그 이후 1년6개월여간 7배 이상 뛰었다. 살아난 실적이 주가를 밀어올렸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올 상반기 영업이익 195억원을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매출(6369억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9% 늘었다. 화신은 1974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회사로 섀시와 차체 등을 제조하고 있다. 최근엔 배터리 팩 케이스, 디지털 클러스터, 일렉트릭 워터 펌프(EWP), 모터 컨트롤 유닛(MCU) 등 전기차 관련 부품도 만들고 있다. 현대자동차, 기아, 폭스바겐 등이 주요 고객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현대車 실적의존도 높은 부품사들 신용등급 '우수수'

    [마켓인사이트] 현대車 실적의존도 높은 부품사들 신용등급 '우수수'

    ▶마켓인사이트12월26일 오후 2시53분현대자동차그룹에 매출을 크게 의존해온 주요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수익성이 부진해지자 부품사들의 빚 상환 능력도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현대위아, 화신, 부산주공 세 곳의 신용도를 한꺼번에 하향 조정했다.현대차그룹 계열인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현대위아의 신용등급은 기존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로 강등했다. 화신(BBB+)과 부산주공(BB-)은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췄다.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7개 주요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실적을 점검한 결과 이들 세 곳의 재무안정성이 약해졌다고 판단했다. 변속기와 등속조인트 등을 생산하는 현대위아에 대해서는 “계열 완성차 사업의 실적 의존도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현대차그룹의 실적 저하 추세에 연동해 부진한 실적을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6년 2627억원의 연결 영업이익을 올렸던 현대위아는 올해 1~9월 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계열사 대상 매출이 전체의 6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섀시와 보디를 생산하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화신은 “현대차그룹 실적 의존도가 절대적”이라며 “매출 비중이 높은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의 완성차 판매가 감소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화신은 올해 1~9월 16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227억원의 영업손실에 이어 2년째 적자가 예상된다.현대차에 제품의 절반 가까이를 납품하는 부산주공은 고철 가격 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고전하고 있다고 분석

  • [신용분석 리포트] 자금조달 방식 바꾸는 화신… CB·BW 발행한도 10배 늘린다

    [신용분석 리포트] 자금조달 방식 바꾸는 화신… CB·BW 발행한도 10배 늘린다

    ▶마켓인사이트 3월15일 오후 3시15분유가증권시장의 자동차 부품업체 화신이 자금조달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다. 단기 신용등급을 발급받고,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 한도를 열 배 늘리기로 하는 등 기존과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화신은 오는 22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각각 100억원인 CB와 BW 발행 한도를 1000억원씩으로 늘리는 안건을 올릴 예정이다. 이 회사는 2008년 BW 100억원어치를 발행한 이후 한 번도 메자닌(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한 적이 없다.지난 13일에는 국내 신용평가사들로부터 기업어음(CP) 등에 붙는 단기 신용등급(A3+)을 새로 받았다. 화신은 지난해 말 만기가 도래한 5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모두 상환하면서 장기 신용등급(A-)이 소멸됐다. 장기 등급이 아니라 단기 등급을 부여받았다는 점에서 이 회사가 당분간 채권보다는 만기가 짧은 단기 금융상품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화신의 이 같은 행보는 채권 발행 여건이 악화된 것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에 국내 신용평가사들이 화신에 부여한 A3+등급은 7개 투자적격등급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한다. “사실상 장기 등급이 ‘BBB+’로 떨어진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신용평가업계의 설명이다.화신은 지난해 228억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적자전환했다. 매출(1조861억원)도 전년보다 13.1% 감소했다. 실적 부진에 따른 재무상태 악화로 2016년 4월부터 장기 신용등급에 줄곧 ‘부정적’ 전망이 달려 있었다.화신은 섀시와 차체 등 자동차 제조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생산해 현대·기아자동차 등에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