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부동산PF·해외투자로 살아남는다" 자산운용사 춘추전국시대 생존비법
국내 자산운용사가 340곳을 넘어서는 가운데 특화 전략으로 성장하는 신생 자산운용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물류센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해외 부동산 등 특화를 통해 대기업 계열이 아님에도 성장세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15년 금융위원회가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등록 기준을 완화한 이후 2021년 말까지 국내 자산운용사로 신규 등록된 운용사는 300여 곳이다. 전체 344곳 중 88%가 최근 5년 사이 신규 등록한 셈이다.다만 신생 자산운용사 300여곳 중 실제로 운용하며 실적을 쌓고 있는 곳은 많지 않다. 자산운용사로 등록한 후 펀드 운용이 어려워 영업 수익 적자를 내거나 등록을 취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기존 대기업이나 대형 금융사 계열사가 아닌 한 자본금이 적은 신생 자산운용사들은 규모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면서 "대부분 자산운용사 등록만 하고 운영은 안하는 '유령회사'로 있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자기만의 영역을 구축한 일부 신생 자산운용사들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물류센터란 특정 자산을 선점해 성공한 운용사는 켄달스퀘어자산운용(2017년 집합투자업 인가)과 ADF자산운용(2015년 인가)이다.캔달자산운용은 캐나다 연기금등 글로벌기관투자가들의 자금으로 남선우대표가 설립한 캔달인베스트먼트의 자회사다. 남 대표와 김창현 ADF자산운용 대표는 미국 물류전문투자회사인 프롤로지스에서 습득한 물류투자 경험을 토대로 한국 물류 전문 자산운용사를 세웠다. 켄달스퀘어자산운용은 국내 물
-
‘부동산특화’ 헤리티지자산운용, 리츠시장 진출[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06일(07:5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부동산 특화 자산운용사인 헤리티지자산운용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특화를 바탕으로 부동산투자회사(REITs·리츠) 자산관리에도 진출한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헤리티지자산운용이 리츠 자산관리회사(AMC) 예비인가를 받았다. 자기자본은 약 137억원이다. 지난달 23일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이 바뀌면서 리츠AMC는 자본총계 70억원 이상인 회사만 신청할 수 있게 됐다. 헤리티지자산운용은 시행령이 바뀐 뒤 첫번째로 AMC 인가를 받았다.헤리티지자산운용은 강점인 부동산 PF와 연계해 위탁관리리츠를 만들 계획이다. 헤리티지자산운용 관계자는 "토지 매입 단계부터 건물 준공까지 부동산 PF·브릿지론 등에서 금융주선을 하고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면서 "직접 개발을 하거나, 금융 주선하면서 좋은 상품을 찾을 수 있어 신생 AMC지만 기존 리츠들만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자신했다. 헤리티지자산운용은 2018년 설립된 부동산금융 전문 자산운용사다. KB증권 출신인 송현석 대표가 최대주주로 있다. 공격적인 사업 확장으로 2018년 자본총계 25억원에서 지난해 말 137억원으로 3년 만에 10배 이상 성장했다. 2019년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헤지펀드에도 뛰어들었다. 지난 5월 기준 누적 운용자산(AUM)은 2조7536억원이다. 헤리티지자산운용은 '포레스티지전문투자', '대구만촌PF전문투자 등' 38개의 펀드를 설정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대구 수성구 주상복합 아파트 개발사업 PF 조성에 참여했다. 최근에는 한화건설이 사업 주관을 맡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