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글로벌 IPO 시장 회복세, "지정학적 리스크 및 AI 변수"
1분기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와 인공지능(AI) 기술의 급부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한층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22일 EY한영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EY 글로벌 IPO 트렌드 리포트(EY Global IPO Trends Q1 2025)’에 따르면 1분기 글로벌 IPO 시장에서는 총 291건의 IPO가 이뤄져 약 293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조달됐다. 작년 1분기와 비교해 IPO 건수는 3%, 조달 금액은 약 20% 증가했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회복세가 본격화되며 IPO 건수와 조달 금액에서 모두 최대 지역이 됐다. 총 116건의 신규 상장을 통해 109억 달러가 조달됐다. 건수는 2% 감소했으나 조달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 한국은 1분기에 23건의 IPO가 이뤄져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2021년 1분기(24건)에 이어 약 20년 만에 최대치다. 조달 금액은 12억655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9% 급증했다. 1분기 전체 글로벌 IPO 시장에서 건수 기준 3위, 조달 금액 기준 9위를 차지했다.올해 국내 IPO 최대어였던 LG CNS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IPO 중 조달 금액 기준 2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IPO 시장 전체에서도 7위에 올랐다.미주 지역은 62건의 IPO를 통해 89억 달러가 모였다. 전년 동기 대비 건수는 51%, 조달금액은 2% 늘었다.EY한영은 “미국은 새로운 행정부 출범과 함께 IPO 시장 주도권이 더욱 강해졌다”며 “특히 미국에 상장한 기업 중 58%가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 IPO일 만큼 글로벌 자본 유입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유럽·중동·인도·아프리카(EMEIA) 지역은 총 113건의 IPO로 95억 달러를 조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건수는 9%, 조달금액은 4% 감소했다.1분
-
'뉴 스페이스' 시대...물 들어올 때 노 젓는 항공우주 IPO
민간 주도 우주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증시 입성을 노리는 항공우주 스타트업의 발걸음도 빨라졌다. 정부가 우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 기업 육성을 위한 예산 편성 및 기술 이전 등을 약속하고 있는 가운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단 계획이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루미르는 전날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NH투자증권이 주관사다.2009년 설립된 이 회사는 초소형 위성 개발 기업이다. 지난해 진행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과정에 우주 방사능 탐지 큐브 위성 '루미르-T1'를 실어 보냈다. 국내 민간 항공우주 업체 최초로 지난해 5월 차세대 중형위성 5호의 위성 탑재체(Payload) 전체를 수주하기도 했다.지난해 우주 지상국 서비스 기업 컨텍을 시작으로 항공우주 기업의 IPO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민간 우주로켓 발사업체 이노스페이스가 상장 예심을 청구했으며 올해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민간 우주로켓 발사),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초소형 위성) 등이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정부 주도의 우주 산업을 민간이 이어받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다가오자 시장 선점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 마련에 앞다퉈 나선 모습이다. ‘뉴 스페이스’는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처럼 민간 기업이 국가 우주 산업을 주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지난 2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누리호(KSLV-Ⅱ)의 뒤를 잇는 차세대 발사체(KSLV-Ⅲ)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뉴 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존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도로 발사체 개발 사
-
김중곤 NH증권 ECM 대표 “중소형 IPO 시대 지속…지나친 낙관론은 경계”[자본시장을 움직이는 사람들]
“올해 공모주 시장은 작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상대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가 많아 평탄하기보단 울퉁불퉁한 시장이 될 겁니다.”김중곤 NH투자증권 ECM본부 대표(사진)는 24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올해 처음으로 IPO 20건 이상 소화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IPO 20건 이상 주관 도전NH투자증권은 매년 15건 안팎의 IPO를 소화하는 증권사다. 작년엔 주관실적 16건을 쌓아 IPO 리그테이블 순위 2위를 차지했다.공모주 시장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중소형 IPO 기업 중심으로 꾸려질 것으로 보고 IPO 주관 기업 수를 더욱 늘리겠단 계획이다.김 대표는 “2020~2022년 매년 빅딜이 쏟아지며 역대급 호황기였던 시장은 다시 오기 어렵다”며 “중소형 IPO 숫자를 늘려 안정적인 수익 흐름을 만들고 여기에 더해 대형 IPO를 추가하는 전략을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올해 증시 입성을 노리는 IPO 대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선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으로 봤다. 에이피알이 공모 절차에 착수했으며 HD현대마린솔루션, 케이뱅크, 시프트업 등이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김 대표는 “중소형 IPO가 흥행하고 있지만, 겉으로 보는 것과 달리 아직 공모주 시장을 호조세로 볼 순 없다”며 “수많은 대형 IPO 기업이 저금리 시절에 높은 기업가치로 투자받았는데 현재 시장에서 실제로 그만한 평가를 받아내는 곳은 일부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작년 IPO 건수는 역대급 수준으로 이뤄졌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공모액이 300억원이 되지 않는 기업이 대다수였다. 전체 공모금액은 약 3조5000억원으로 2021년
-
"누리호 성공은 중장기 성장동력"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실용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은 국가가 됐다. 글로벌 위성 통신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항공우주 관련주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았다는 분석이 나온다.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79% 상승한 10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누리호가 발사된 지난달 25일 ‘재료 소멸’을 이유로 2.44% 빠지는 등 하락세를 보이다 전날부터 반등했다. 한국항공우주(KAI)도 비슷한 주가 움직임을 보이며 이날 0.39% 상승 마감했다.전문가들은 “로켓 발사의 성공을 단기가 아니라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기술을 이전받아 로켓 제작 및 발사 사업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민간 우주산업의 발전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주도했던 과거와 달리 누리호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 기업이 협력했다”고 말했다.로켓 발사 성공으로 위성 인터넷 분야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로켓으로 우주에 올려놓은 위성을 이용해 통신하는 것을 위성 인터넷이라고 부른다. 지난해 우크라이나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서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를 지원받아 러시아와의 정보전에서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대만과 중국은 최근 위성 통신망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수주에 성공한다면 실적 및 주가의 ‘퀀텀 점프’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성상훈 기자
-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新성장동력 찾은 항공우주 테마주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이 세계에서 7번째로 실용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은 국가가 됐다. 글로벌 위성 통신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항공우주 관련주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79% 상승한 10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누리호가 발사된 지난달 25일 '재료소멸'을 이유로 2.44% 빠지는 등 하락세를 보이다 전날부터 반등했다. 한국항공우주(KAI)도 비슷한 주가 움직임을 보이며 이날 0.39% 상승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로켓 발사의 성공을 단기가 아닌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의 기술 이전을 통해 로켓 제작 및 발사 사업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민간 우주산업의 발전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주도했던 과거와 달리 누리호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 기업이 협력했다"고 말했다. 로켓 발사 성공으로 위성 인터넷 분야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로켓으로 우주에 올려놓은 위성을 이용해 통신하는 것을 위성 인터넷이라고 부른다. 지난해 우크라이나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로부터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를 지원받아 러시아와의 정보전에서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대만과 중국은 최근 위성 통신망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대만은 1000조원을 투자해 민간 위성 공급업체들과 협력해 통신망을 구축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밝혔다. 국가 안보를 이유로 위성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과정에서 국내 항공우주기업이 글로벌 수주에
-
"호재 넘친다"…항공우주株 급등
항공우주산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앞두고 관련주를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증권가는 위성통신과 발사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28일 NH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우주산업에 대한 심층 보고서(인뎁스 리포트)를 발간했다. 두 리포트의 제목은 각각 ‘2023년, New Space 시대의 태동’과 ‘K-방산을 넘어 K-우주로’다. 증권가에서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긍정적 보고서가 쏟아지자 한국항공우주(4.78%), 한화시스템(5.63%), 한화에어로스페이스(2.58%), 인텔리안테크(8.29%) 등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했다.NH투자증권은 올해 ‘뉴 스페이스’ 시대가 태동하고 내년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각국 정부와 기업이 모두 우주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스페이스X 자회사인 스타링크 상장, 버진갤럭틱의 우주 관광 비행 등이 예정돼 있다”며 “국내에도 우주항공청 설립 등 긍정적 이벤트가 많아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항공우주산업에서도 위성통신 및 발사체 업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미래형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선 6세대(6G) 이동통신 인프라가 필수적이어서 이 분야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NH투자증권은 추천 종목으로 인텔리안테크, 한화시스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를 꼽았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최선호주로, 인텔리안테크를 관심종목으로 제시했다.두 증권사로부터 복수 추천을 받은 인텔리안테크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 1위 기업이다. 주요 고객사는 스페
-
민간 유인 발사체 도전하는 우나스텔라, 55억원 투자 유치
국내 최초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 우나스텔라가 55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30일 밝혔다. 투자는 스트롱벤처스가 주도하고 하나벤처스, 인터밸류파트너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에이스톤벤처스, 하나증권이 공동 참여했다. 누적 투자 금액은 60억원이다.지난해 초 설립된 우나스텔라는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중소벤처기업부의 민간 투자 주도형 기술 창업 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에 ‘패스트트랙’으로 선정, 초기 연구개발 비용을 확보했다.이 회사는 고도 100㎞까지 유인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해 준궤도 우주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전기모터펌프 사이클 엔진 시스템 기반의 자체 엔진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최근 자체 개발 중인 연소기의 지상 연소 성능 시험을 성공했다. 이 연소기는 지상 추력 50kN(5톤급)으로 누리호와 동일한 추진제 조합인 케로신(Jet A-1)과 액체 산소를 연료로 채택했다.또 지난해 12월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형 로켓 엔진용 전기펌프'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해 전기모터 펌프 엔진 관련 특허 2건의 통상실시권을 부여받았다.배기홍 스트롱벤처스 대표는 "우주 산업의 미래를 이끌 주역이 될 회사"라며 "한국의 미래를 위해서도 중요한 투자"라고 말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전쟁 장기화로 급등한 방산株, '우주 시대' 승자까지 넘본다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방위산업주가 경기침체기 방어주로 떠올랐다.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군비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데다 우주산업 성장 특수를 누릴 것이란 기대도 커져 방산주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 미국 방위산업체인 노스롭그루먼은 연초 대비 주가가 40% 이상 급등했다. 이들은 전투기 등을 팔아 얻은 수익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꼽히는 우주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노스롭그루먼, 주가 급등지난 2일 뉴욕증시에서 노스롭그루먼 주가는 전일 대비 2.89% 오른 545.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연초(1월 3일) 대비 42% 급등했다. 올해 S&P500지수가 15% 하락한 것과 대조된다.노스롭그루먼은 시가총액이 840억달러(약 109조원)에 달하는 미국 1위 전투기 개발업체다. 2일 미 공군이 최초 공개한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 ‘B-21’를 개발했다. 노스롭그루먼은 2015년 보잉·록히드마틴 컨소시엄과의 경쟁에서 승리, 스텔스 폭격기 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내년 중반 시험 비행을 목표로 B-21 6대를 조립 중이다. 미 공군은 이 폭격기를 최소 100대 구매하기로 했다. 대당 가격은 7억달러(약 9100억원)로 알려졌다.월가가 관심을 두는 건 이 업체의 우주 사업이다. 지난달 7일 미 항공우주국(NASA)은 노스롭그루먼이 개발한 대형 우주로켓인 ‘안타레스’ 발사에 성공했다. 길이가 42.5m에 달하는 이 로켓은 우주정거장으로 약 8000㎏ 규모의 화물 운송이 가능하다.뱅크오브아메리카는 “노스롭그루먼의 우주 사업 분야 기술력은 경쟁사 가운데 가장 뛰어나다”며 “매 분기 매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를 유지할 정도로 실적도 좋다”고 평가했다. “방위비 인상, 항공우주
-
"우주 부동산에 투자하세요"…美스타트업, 韓서 자금 유치
미국의 우주 관광 스타트업인 엑시옴스페이스(엑시옴)가 한국 기업과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5억달러(약 6440억원) 규모의 자금을 모집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일명 ‘우주 호텔’로 불리는 상업용 거주 모듈을 건설하기 위한 용도다. 한국에서 사상 첫 우주 부동산 투자 사례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국내 사모펀드가 독점권 확보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엑시옴은 국내 사모펀드 운영사 스트라이커캐피탈을 펀드 운용사로 선정하고 총 5억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한국에서 유치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투자 유치는 시리즈C 단계로 예정 금액은 10억달러다.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둔 엑소옴은 시리즈B까지 총 1억50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드레이크 매니지먼트, TQS어드바이저즈 등 24개 기관 및 기업이 엑시옴의 투자자다.엑시옴은 지난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이끄는 미국 스페이스X와 우주 관광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 개인 관광객 3명과 엑시옴의 우주비행사 1명 등 총 4명을 ISS에 보내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엑시옴은 2024년까지 ISS에 우주 여행객을 위한 상업용 거주 모듈을 설치해 운영하는 계획도 NASA로부터 승인받았다.스트라이커캐피탈은 고가 골프클럽 제조사인 마제스티, 수원여객 인수 경험을 가진 사모펀드 운용사다. IB업계 관계자는 “이태경 스트라이커캐피탈 대표가 엑시옴 창업자 등과 개인적인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국내 대형 회계법인을 통해 우주 산업에 관심이 있을 법한 기업에 투자 제안서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전에 없던 신사업?스트라이커캐피탈은 ‘역사상
-
Y노믹스 시대…'메가테크 5'가 뜬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특정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하는 게 일반적이다. 역대 정부에서 관심을 쏟은 산업은 주가도 좋은 흐름을 나타낸 경우가 많았다. 노무현 정부의 바이오테크, 이명박 정부의 인프라,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대표적이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정책공약집을 통해 인공지능(AI) 반도체·로봇, 양자(퀀텀), 탄소중립, 항공우주, 바이오헬스를 ‘5대 메가테크’로 규정하고 이를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당선인은 “초격차·초연결·AI 혁신으로 과학기술 5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도 했다. 증권가에선 정부가 육성할 5대 메가테크 관련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국내 대표기업들 로봇산업 관심AI반도체·로봇산업에선 국내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관련주로 분류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정식 부서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했다. 최근 몇 년간 국제 행사에서 ‘삼성봇’ 시리즈를 잇달아 선보여 로봇 양산화를 눈앞에 뒀다는 예상이 나온다.삼성전자는 AI반도체 기술에서도 앞서나간다는 평가다. 이 회사 연구진은 지난 1월 자기저항메모리(MRAM) 기반 인-메모리(In-Memory) 컴퓨팅을 세계 최초로 구현하고, 이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MRAM을 기반으로 한 인-메모리 컴퓨팅의 작동 방식은 인간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해 AI반도체에 가장 가까운 기술로 알려졌다.또 다른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 역시 AI반도체 관련주로 묶인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초 SK텔레콤, SK스퀘어와 공동 투자해 미국에 AI반도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