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흔들림 없는 한솔그룹 신용도…향후 관건은 원자재 가격 [김은정의 기업워치]

    흔들림 없는 한솔그룹 신용도…향후 관건은 원자재 가격 [김은정의 기업워치]

    ≪이 기사는 09월28일(11:1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솔그룹의 향후 신용도가 원자재 가격에 달렸다. 한솔그룹이 차입금 상환 기조를 이어가는 등 점진적인 재무구조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요 원자재 가격에 따라 제지 부문의 실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서다.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용평가는 코로나19 상황을 전후해 한솔그룹의 사업·재무 상태를 점검하고 이같이 판단했다.한솔그룹은 핵심 사업인 제지 부문과 화학·소재 부문의 우수한 경쟁 지위를 바탕으로 전반적으로 양호한 사업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 주요 계열사 합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한솔그룹의 재무안정성은 올 3월 말 기준 부채비율 126%, 차입금의존도 33.6%다. 한솔그룹은 2019년 HDC현대산업개발에 한솔개발 경영권을 이관했다. 지난해 상반기엔 한솔씨앤피와 한솔시큐어, 한솔제지의 유럽 종속회사를 매각했다.신호용 나이스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한솔개발의 경우 채무부담이 높고 순손실이 지속됐다는 점에서 경영권 이관에 따라 그룹 전반의 채무부담이 완화됐다"며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계열사를 매각하고 현금을 확보해 재무적 완충능력을 키웠다"고 평가했다.나이스신용평가는 향후 한솔그룹의 신용도 결정을 위해 주요 원재료 가격, 신규 사업의 실적 추이, 전반적인 설비투자 규모를 살펴볼 방침이다.제지 부문은 주요 원자재인 펄프와 고지가격 변화에 따라 영업수익성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2019년 이후 펄프와 고지가격의 하향 안정화 영향으로 수익성이 좋아졌다. 하지만 올 들어 펄프와 고지가격이 빠르게

  • 한솔그룹, 한솔넥스지 지분 정리…지주사 전환 마무리 수순

    이 기사는 06월27일(18:1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솔그룹이 정보기술(IT) 서비스업체 한솔넥스지 지분을 외부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지주회사 전환을 위한 마지막 퍼즐을 풀었다는 평가다. 한솔시큐어는 27일 한솔넥스지 지분 18.42%를 위드윈투자조합11호, 이앤엠, 씨엔킴에 양도한다고 공시했다. 매각가격은 133억원이며 거래예정일은 오는 8월28일이다. 한솔인터큐브도 이날 공시를 통해 같은 상대들한테 한솔넥스지 지분 20.23%를 146억원에 넘긴다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거래가 마무리되면 한솔그룹은 한솔넥스지 지분을 완전히 정리해 지주회사 체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손자회사는 다른 손자회사의 지분을 가질 수 없다. 한솔그룹의 지주회사인 한솔홀딩스는 자회사인 한솔인터큐브를 통해 한솔시큐어와 한솔넥스지를 손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다. 이 때문에 내년 8월까지 한솔시큐어가 보유한 한솔넥스지 지분을 정리해야 한다. 한솔넥스지의 최대주주는 위드윈투자조합11호가 될 예정이다. 위드윈투자조합11호는 신기술사업금융업을 전문으로 하는 위드윈인베스트먼트가 투자목적으로 세운 특수목적회사(SPC)다. 이 투자조합이 한솔넥스지 지분 17.37%, 영상제작업체 이앤엠과 건설자재 유통업체 씨엔킴이 각각 10.64%씩을 보유하게 된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