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기업 주주환원 '세계 최하위'
한국 기업의 배당 성향이 주요국 중 최하위권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한국은행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주요 20개국(G20) 중 국유기업 위주인 중국과 자료가 부족한 사우디아라비아·호주 등을 제외하고 16개국 3560개 기업을 분석했다.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배당 성향은 당기순이익의 27.2%로 분석 대상인 16개국 중 최하위였다. 한국 기업의 주주환원 규모는 영업 현금흐름의 0.2배에 그쳤다. 신흥국인 튀르키예와 아르헨티나(0.1배)에 이어 뒤에서 세 번째다.다만 한국은 영업현금흐름 대비 자본적 지출 비중이 0.9배로 인도에 이어 비교 대상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배당을 유보한 현금을 사내에 쌓아두기보다 투자하는 데 썼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은 한국 기업 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한국 기업의 자본 대비 시가총액(PBR)은 1.4배로, 인도(5.5배) 미국(4.2배) 영국(3.3배) 등보다 낮았다.한은은 “우리나라에서는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강진규 기자
-
韓, 주주 환원율 '세계 최하위'…기업 가치 높이려면
한국 기업의 주주 환원율이 주요20개국(G20)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배당성향은 꼴찌였고, 이에 따라 시가총액 등 기업가치도 낮았다. 다만, 주주에게 돌아가지 않은 이익은 현금으로 보유하기보다는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은 1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내놨다. 한국의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의 27.2%로 분석 대상인 16개국 중 최하위였다. 한은은 G20 국가 중 국영기업 위주인 중국과, 자료가 부족한 호주·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제외하고 16개국 3560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번 분석을 진행했다.한국 기업의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액을 더한 주주환원 규모는 영업현금흐름의 0.2배에 그쳤다. 신흥국인 튀르키예와 아르헨티나(0.1배)에 이어 뒤에서 세번째 수준을 나타냈다. 주주이익을 보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주주보호 점수는 6.8점으로 12위에 그쳤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의 기업가치는 평균 이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대비 시가총액(PBR)은 1.4배로 나타났다. 고성장국가인 인도(5.5배)는 물론 미국(4.2배), 영국(3.3배)보다 낮았다. 자본대체 비용 대비 시장가치를 나타내는 '토빈의큐'는 2.1배로 나타났다. 순위는 PBR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저조한 주주환원에도 현금성 자산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주주 이익 보호 수준이 미흡한 경우 주주환원이 적으면 현금 자산이 많아지고, 경영인이 사적으로 유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하지만 한국은 영업현금 흐름 대비 자본적 지출 비중이 0.9배로 인도에 이어 비교 대상국 중 두번째로 높았다. 현금
-
"아일랜드 142조 미래기금, 韓 배터리·태양광 기업에 투자 검토"
최근 한국을 방문한 사이먼 코베니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사진)은 지난 2일 아일랜드가 조성할 1000억유로(약 142조원) 규모의 ‘미래기금’을 유망한 한국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고 밝혔다.코베니 장관은 이날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미래기금 중 일부를 연료전지, 태양광, 해상풍력, 배터리 저장 기술 등을 보유한 한국 기업에 투자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코베니 장관은 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가 이끄는 대규모 무역사절단 중 한 명으로 지난 2~3일 한국을 찾았다.아일랜드 정부는 최근 세수 호황을 바탕으로 2035년까지 아일랜드 미래기금과 인프라기후기금을 조성한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두 기금 모두 아일랜드 국외 자산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코베니 장관은 “기금은 보조금, 연구개발(R&D) 지원, 기술 협력 등에 쓰일 것”이라며 “이는 해당 기업이 어떤 제안서를 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아일랜드 정부는 올해 100억유로, 향후 4년간 650억유로의 재정 흑자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세계 최대 제약사인 화이자, 정보기술(IT)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 등 다국적 기업들이 아일랜드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덕분이다. 세계 기업들이 아일랜드에 몰려드는 비결은 무엇일까. 낮은 법인세, 우수 인력 등 여러 요인이 거론되지만 코베니 장관은 “정책 연속성”을 가장 먼저 언급했다. 그는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우선시하는 아일랜드 역대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큰 역할을 했다”며 “아일랜드의 정책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급변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에 가깝
-
'엑스포 유치 경쟁' 韓-사우디, 전략파트너십委 띄워 경제 밀착
“경제와 에너지 안보의 핵심 동반자다.”(윤석열 대통령) “사우디 비전 2030 실현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자.”(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간 17일 회담은 양국 경제 협력을 에너지와 방산을 포함하는 경제 안보 분야로 확대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향후 석유산업을 대체할 신산업 육성에 나선 사우디가 한국을 협력의 핵심 파트너로 선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양국은 경제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파트너십위원회’까지 신설하기로 해 주목된다. 관저에서 3시간 만남…사실상 정상회담윤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의 이날 만남은 확대회담(40분), 단독회담(40분), 오찬 회동(1시간10분) 등으로 이어졌다. 이동 시간을 더하면 약 3시간을 함께했다.회담은 윤 대통령이 열흘 전 입주한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열렸다. 빈 살만 왕세자가 ‘첫 손님’으로 초대됐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양국 장관 간 실무 회담이 진행되는 사이 윤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통역만 대동하고 정원을 산보하며 환담을 나눴다”며 “빈 살만 왕세자는 첫 만남이 대통령과 가족의 진심이 머무는 곳에서 이뤄진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고 전했다.사우디는 2030년 엑스포를 두고 경쟁하는 국가다. 이런 상황에도 윤 대통령이 정상회담급 환대를 한 이유는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네옴시티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관심 때문이다. 네옴시티는 홍해와 인접한 사우디 북서부 사막지대에 서울 면적의 44배에 달하는 신도시를 조
-
[마켓인사이트]무디스 “한국기업 신용도, 1년간 부정적 조정 많을 것”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앞으로 1년간 한국기업 대부분의 신용등급이 부정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무디스는 10일 ‘상반기 한국기업 실적 악화는 업황둔화를 반영; 신용도 악화 추세’라는 보고서를 통해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는 한국 비금융기업 27곳 중 19곳이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 악화로 신용도가 부정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은 5곳, 중립적인 상황인 기업은 3곳으로 꼽았다. 무디스가 현재 신용등급에 ‘부정적’ 전망을 붙였거나 등급강등을 검토 중인 한국 민간기업은 총 13곳이다. ‘긍정적’ 전망이 달린 기업은 전무하다. 유완희 무디스 수석연구원은 “반도체, 정유, 석유화학, 철강 등 경기변동성이 큰 산업에 속한 기업이 수요 부진과 업황 둔화를 겪고 있다”며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으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을 상대로 한 원자재와 부품 수출규모가 큰 전자와 화학업종에서 이같은 변화가 특히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한국과 일본의 무역갈등 여파는 크지 않다고 봤다. 유 수석연구원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행정절차를 지연시키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한국기업의 실적에는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