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하나금융 작년 순이익 3.5조 '소폭 감소'

    하나금융 작년 순이익 3.5조 '소폭 감소'

    하나금융지주가 지난해 3조4500억원가량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규모다. 순이익이 감소세로 돌아선 건 2013년 후 처음이다. 다만 하나은행이 사상 최대 실적 행진을 기록하는 등 탄탄한 실적을 이어온 만큼 주주환원 규모를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하나금융지주는 작년 당기순이익이 3조451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1일 발표했다. 전년(3조5706억원)보다 3.3%(1190억원) 줄었다. 수수료와 매매평가이익이 크게 개선됐지만 민생 안정 자금에 쓰인 일회성 비용과 하나증권에서 발생한 대규모 평가 손실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하나금융지주의 지난해 4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6%다. 2022년 4분기(1.96%)와 비교해 0.20%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수수료 이익은 전년(1조7046억원)보다 5.4% 증가한 1조7961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수료 이익과 매매평가이익(8631억원) 등을 포함한 그룹 비이자이익은 1조9070억원으로 전년보다 65.3% 늘었다.그룹에서 차지하는 은행 의존도는 더 커졌다. 하나은행은 작년 3조4766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사상 최대치다. 이자이익 성장세가 견조했던 데다 주식, 채권 등 자체 자산운용 부문에서 9000억원에 달하는 큰 수익을 낸 덕분이다.은행을 제외한 다른 계열사 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하나증권은 해외 부동산에서 2670억원에 달하는 평가손실을 냈다. 이 때문에 작년 연간 기준 2708억원의 손실을 봤다. 하나저축은행도 적자로 돌아섰다. 하나캐피탈, 하나카드, 하나자산신탁 등도 1년 새 많게는 60% 넘게 순이익이 쪼그라들었다.하나금융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지난해 선제적으로 3709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다. 이를 포함한 충당금 등 전입액은 전년(1조2149억원) 대비 41.1%

  • 하나손해보험 사옥, 하나자산신탁 리츠로 매각

    MARKET

    하나손해보험 사옥, 하나자산신탁 리츠로 매각

    하나손해보험이 서울 종로구 사옥을 계열사인 하나자산신탁의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로 매각한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하나트러스트제8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지난 12일 부동산투자회사 영업등록을 신청했다. 하나자산신탁이 운영하는 하나트러스트제8호 리츠는 종로구 인의동 112의1번지 소재 하나손해보험빌딩을 매입해 임대운영 후 매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리츠 인가 후 640억원의 자금을 모집할 예정이다. 이 건물은 지하 3층~지상 12층 규모다. 1982년 준공됐지만 2018년 리모델링을 마쳤다. 하나손해보험이 사옥으로 쓰고 있다. 하나손해보험은 올해 상반기부터 사옥 매각을 추진해왔다. 지난 7월 매각 주관사로 에스원&딜로이트 회계법인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업계에서는 하나손해보험이 사옥 매각 후 재임대하는 세일앤리스백 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 보유시 위험 부담이 커지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비용 효율화를 이루기 위해서다. 이 같은 이유로 수년째 여러 보험사들이 소유 건물 매각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롯데손보가 남창동 사옥을 캡스톤자산운용에 2240억원에 ‘매각 후 재임대’했으며, 신한생명도 작년 9월 신한리츠운용에 서울 중구 신한 엘타워 사옥을 2800억원에 팔고 임대 사용하고 있다.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시장점유율 확대한 하나자산신탁, 신용등급 올라[마켓인사이트]

    시장점유율 확대한 하나자산신탁, 신용등급 올라[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6월30일(17:4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하나자산신탁의 신용등급이 올랐다.한국기업평가는 하나자산신탁의 기업 신용등급을 종전 A에서 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수익기반 확대로 시장 지위가 높아진 데다 이익창출능력이 개선된 덕분이다. 하나자산신탁은 수주잔고 확대에 힘입어 시장지위가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해 시장점유율은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한 13.7%를 기록했다.한국기업평가는 "지난해 4월 만기 도래 회사채 상환과 이익 유보로 인해 올 3월 말 조정부채비율이 43.4%로 2019년 말 82.7% 대비 크게 개선됐다"며 "책임준공확약 관리형 토지신탁 수주를 기반으로 양호한 수주 실적을 유지하고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개선된 시장 지위와 재무건전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평가했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한국자산신탁, 회사채시장 ‘데뷔’

    이 기사는 06월30일(09:4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부동산신탁회사 한국자산신탁이 설립 후 첫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하나자산신탁의 뒤를 잇는 올해 두 번째 부동산신탁회사의 회사채 시장 ‘데뷔’다.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자산신탁은 다음달 17일께 2년 만기 회사채 5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조달이다.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다음달 10일 진행한다. 미래에셋대우가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올 들어 부동산신탁회사들이 잇따라 회사채 시장에 발을 들이고 있다. 앞서 지난 4월엔 하나금융그룹 부동산신탁 계열사인 하나자산신탁이 7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를 발행해 성공적으로 회사채 시장에 데뷔했다. 모집액(500억원)의 네 배인 2000억원이 수요예측에 몰려 발행금액을 200억원 더 늘렸다. 부동산 경기회복에 힘입어 차입형 개발신탁 수주를 늘리고 있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IB업계는 한국자산신탁도 여러 기관들의 관심 속에 투자수요 확보에 성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01년 설립된 한국자산신탁은 국내 부동산신탁시장의 14.7%(지난해 말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토지신탁(18%) 코람코자산신탁(15.5%)과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며 자본시장과의 접점을 넓혀가고 있다. 이 회사는 이번 채권 발행 결과가 좋으면 지속적으로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최근 3년여간 부동산 경기회복 속에서 차입형 토지신탁 수주물량을 늘리고 있다. 2013년 392억원이었던 차입형 토지신탁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