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글로벌·디지털로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 될 것"
하나금융은 금융권 공동으로 주관한 ‘Invest K-Finance: Singapore IR 2023’에 참여해 금융감독원과 손잡고 해외 투자자들과 소통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9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국내 최초로 금융감독원과 함께 간사를 맡은 하나금융 등 6개 금융사가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양국의 금융업 발전 협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룹 글로벌 이익 비중 40%까지 높일 것”‘공동 Q&A 세션’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6개 참여 금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패널로 참석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한국 금융사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활용하는 전략에 대한 투자자 질문에 “현지 금융기관에 소수 지분을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며 “재무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분법 투자 등을 강화해 중장기적으로 그룹의 글로벌 이익 비중을 40%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내달 출시 예정인 금융권 온라인 대환대출 플랫폼과 온라인 예금 중개 서비스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함 회장은 “빅테크사가 본격적으로 금융상품 중개 시장에 진출하면 금융업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며 “하나금융은 모바일 뱅킹앱 ‘하나원큐’를 종합 자산관리 앱으로 고도화하고 빅테크 플랫폼과 제휴를 넓혀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혁신으로 그룹 경쟁력 확대하겠다”10일 열린 행사에서는 그룹의 3대 경영 과제 중 하나인 디지털 혁신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함 회장
-
정부 '론스타 배상' 불복소송 나선다
한국 정부가 외환은행 매각을 두고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론스타와 진행했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ISDS)에서 나온 배상금액이 기존보다 6억원가량 줄었다. 정부는 사전작업인 배상금액 정정이 마무리되면서 본게임인 판정 불복 절차에 들어갈 방침이다.9일 법무부에 따르면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중재판정부는 이날 한국 정부의 손해배상금 정정 신청을 받아들이겠다고 통지했다. 이에 따라 배상 규모는 2억1650만달러(약 2857억원)에서 2억1601만달러(약 2851억원)로 조정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2011년 12월 3일~2013년 9월 30일 지연 이자액이 배상원금에 포함됐음에도 이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라고 했고, 손해가 발생하기 이전의 이자도 배상원금에 포함됐다”며 배상금액 정정을 신청했다.배상금액 조정이 완료되면서 한국 정부는 신속하게 판정 불복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ICSID 규정상 판정 취소신청은 선고 후 120일 안에 해야 한다. 다만 판정내용 정정을 신청하면 이에 관한 결론이 나온 날을 기준으로 신청 기한을 잡는다.법무부는 지난해 10월 국제중재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판정 취소 신청 및 집행정지를 할 수 있는 요건에 부합한다”는 답변을 받는 등 불복 절차 준비를 해왔다. ICSID의 중재 규칙에 따르면 △중재판정부의 권한 이탈 △절차 규칙 미준수 △판정 이유 미게재 △부적절한 판정부 구성 △판정부의 부패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판정 취소 신청을 할 수 있다. 법무부 관계자는 “국민 세금이 단 한 푼도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불복 절차에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권용훈/김진성 기자
-
론스타 ISDS 배상액 6억 감액…취소소송 곧 시작되나
한국 정부가 외환은행 매각을 두고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론스타와 10년에 걸쳐 진행했던 투자자-국가 간 소송(ISDS)에서 나온 배상금액이 2억1650만달러(약 2857억원·원달러 환율 1320원 기준)에서 2억1601만달러(약 2851억원)로 변경됐다. 중재 판정부가 한국 정부의 주장을 받아들여 기존보다 배상액이 다소 줄어들었다. 배상금액이 정정되면서 정부가 다음 단계인 판정 취소소송에 돌입할 전망이다.9일 법무부에 따르면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중재판정부는 이날 오전 1시30분께 한국 정부의 손해배상금 정정신청을 받아들이겠다고 통지했다. 이로써 배상금액은 기존보다 약 48만달러(약 6억원)가 줄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배상금액 2억1650만달러에는 2011년 5월 24일부터 그해 12월 2일까지 이자액 20만1229달러(약 2억9000만원)와 12월 3일부터 2013년 9월 30일까지의 이자액 28만89달러(약 4억원)가 이미 포함돼있기 때문에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정정 신청서를 판정부에 제출했다. 배상금액 정정신청에 대한 결론이 나면서 한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판정 불복절차를 밟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법조계에선 지난해 8월 31일 판정이 나온 뒤 정부가 신속하게 취소소송 등을 제기할 것으로 봤지만, 배상액 정정절차가 길어지면서 지연됐다. ICSID 규정상 판정 취소소송은 이날로부터 120일 안에 해야 한다.법무부는 지난해 10월 국제중재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 판정의 취소 신청 및 집행정지를 할 수 있는 요건에 부합한다”는 답변을 받는 등 물밑에서 불복절차 준비를 해왔다. ICSID의 중재 규칙에 따르면 △중재판정부의 권한 이탈 △절차 규칙 미준
-
하나금융, 2022년 3분기 당기순이익 '1조1219억원'…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분기 1조12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9287억원) 대비 20.8% 증가한 수치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8494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2조6816억원)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 증가가 실적 호조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나금융의 3분기 이자이익(6조4872억원)과 수수료이익(1조3691억원)을 합한 누적 핵심이익은 7조856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6조8742억원)과 비교해 9822억원 늘었다.건전성 관리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과 리스크 대응체계로 안정적인 자산건전성 지표 유지에 힘썼다는 것이 그룹 측 설명이다. 하나금융의 3분기 고정이하여신(NPL)비율(연체 기간 3개월 이상의 부실채권)은 0.02%포인트 내린 0.35%, 누적 대손비용률은 전 분기 대비 0.01%포인트 하락한 0.21%를 기록했다. 대손비용률이 낮을수록 손실흡수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정이하여신 잔액 대비 충당금 수준을 보여주는 NPL 커버리지 비율은 직전 분기 대비 11.3%포인트 증가한 175.7%로 나타났다.자기자본이이익률(ROE)는 10.9%, 총자산이익률(ROA)는 0.71%로 집계됐다.핵심 계열사인 하나은행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8702억원을 기록했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2조243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9470억원) 대비 15.2% 증가했다.3분기 누적 이자이익(5조5006억원)과 수수료이익(5950억원)을 합한 핵심이익은 같은 기간(6조266억원)보다 21.3% 증가한 6조956억원이었다.하나금융은 3高(고금리‧고물가‧고환율) 현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맞춤형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주주 가치 향상을 위한
-
하나금융, 2022년 상반기 연결 당기순이익 1조7274억원
하나금융그룹이 상반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 1조7274억원을, 2022년 2분기 당기순이익은 8251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254억원), 10%(924억원) 줄었다.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과 1분기 중 실시한 특별퇴직 등 일회성 요인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순이익이 소폭 줄었다는 게 그룹 측 설명이다. 이자이익(4조1906억원)과 수수료이익(9404억원)을 합한 핵심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6%(6159억원) 증가한 5조1310억원을 시현했다.그룹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상반기 누적 1846억원의 선제적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선제적 대손충당금을 포함한 충당금 등 전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5.6%(2168억원) 증가한 4222억원이다. 그룹 관계자는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면서도 대손비용률은 0.23%로 양호한 자산 건전성을 유지 중”이라고 설명했다.한편 은행 별도기준으로는 올해 2분기 7065억원을 포함해 상반기 누적 연결당기순이익 1조373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9.6%(1206억원) 증가한 수치다.상반기 이자이익(3조5247억원)과 수수료이익(4023억원)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2%(6338억원) 증가한 3조9270억원에 달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자산을 늘리고, 핵심 저금리성 예금의 평균 잔액이 늘어난 결과”라고 밝혔다.비은행 자회사에서는 올 상반기 △하나증권 1391억원 △하나캐피탈 1631억원 △하나카드 1187억원 △하나자산신탁 501억원 △하나저축은행 145억원 △하나은행 10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
함영주 "비은행 M&A 추진…亞 최고 금융그룹 도약할 것"
함영주 신임 하나금융그룹 회장(사진)이 하나금융을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으로 키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자산관리·기업금융 업무를 강화하고 비은행 부문 인수합병(M&A)에도 나서기로 했다. 아시아 금융사 M&A와 지분 투자를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디지털 체질 개선에 힘쓰겠다는 방침도 밝혔다.함 회장은 27일 취임 인사를 통해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높이고, 투명하고 공정하며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통해 하나금융그룹을 진정한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으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헌신하겠다”고 밝혔다.함 회장은 지난 25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김정태 회장의 뒤를 이어 신임 회장으로 선임됐다. 임기는 3년이다. 그는 ‘옛 것을 물들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는 뜻의 염구작신(染舊作新)을 제시하며 “임직원이 함께 이뤄낸 과거 성과와 현재의 노력이 모여야 진정한 하나금융그룹의 새로운 미래가 열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함 회장은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3대 전략으로 △강점 극대화 및 비은행 사업 재편 △글로벌 리딩 금융그룹 위상 강화 △디지털 금융 혁신을 제시했다.우선 전통 금융회사가 지닌 대면 채널의 장점과 비대면 채널을 결합해 자산관리·기업금융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그룹사 간 협업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비은행 부문 M&A도 검토하기로 했다. 글로벌 사업에서는 아시아 지역 M&A와 지분 투자를 통해 비은행 부문 진출을 확대하고, 선진 시장 투자은행(IB)·기업금융 사업을 강화한다. 디지털 인재 육성과 투자도 적극 확대해 금융플랫폼회사
-
한국성장금융, 하나금융그룹 출자 뉴딜 펀드 조성 착수
≪이 기사는 06월18일(18: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한국성장금융)이 하나금융그룹과 함께 조성하는 하나뉴딜국가대표성장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에 나섰다.한국성장금융은 18일 하나뉴딜국가대표성장펀드 위탁운용사 선정계획을 공고했다. 이 펀드는 모펀드(Fund of Funds) 방식으로 운용된다. 5년 간 총 1000억원을 정책형 뉴딜펀드가 선정한 위탁운용사에 매칭 출자한다.이 펀드는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지원하고 뉴딜분야 혁신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하나금융그룹이 1000억원을 출자해 조성한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월 4일 산업계, 금융계, 뉴딜펀드 운용기관과 '미래차‧산업디지털 분야 산업-금융 뉴딜투자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이번 펀드는 정책형 뉴딜펀드의 조성 스케줄(2021~2025년)에 맞춰 블라인드펀드와 프로젝트펀드로 나눠 출자가 이뤄진다. 블라인드 펀드에 100억원, 프로젝트 펀드에 100억원 등 총 200억원씩 5년 간 출자가 이뤄질 계획이다.한국성장금융 관계자는 “향후에도 정책형 뉴딜펀드의 성공적 조성과 풍부한 민간자금 공급을 위해 금융권 자금 유치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하나금융-中 국부펀드, 1兆 산업협력펀드 조성
▶마켓인사이트 7월 16일 오후 4시15분하나금융그룹이 중국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CIC)와 손잡고 1조원 이상의 ‘한중(韓中) 산업협력펀드’를 설립한다. 국내 금융그룹이 해외 국부펀드와 공동으로 투자펀드를 조성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과 CIC는 중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하기로 하고 세부 사항을 조율하고 있다. CIC는 운용자산이 9414억달러(약 1109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 중 하나다.IB업계 관계자는 “CIC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에서도 각국 대표 금융사들과 산업협력펀드를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나금융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CIC의 한국 파트너가 되기 위해 공을 들였다”고 했다.CIC 고위 관계자는 최근 서울을 방문해 MBK파트너스, IMM프라이빗에쿼티, 블루런벤처스 등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을 만났다. 펀드의 공동 운용사로 국내 대형 PEF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연기금 공제회 보험사 등 국내 기관투자가들도 펀드 출자자로 유치할 계획이다.김정태의 글로벌 성과…"韓·中기업에 1조 투자"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과 지성규 KEB하나은행장은 지난달 초 1주일간 중국 쿤밍을 방문했다.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이 동시에 중국의 지방 도시로 장기 출장을 간 것을 두고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당시 두 사람이 쿤밍을 찾은 건 북경랑자하나자산관리유한공사가 주최한 연례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이 회사는 하나금융그룹이 2017년 중국 랑자고분유한공사와 세운 합작사다.하나금융은 이 자리에 중국
-
하나에프앤아이 회사채 청약경쟁률 4.9대1
≪이 기사는 07월17일(17: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하나금융그룹의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하나에프앤아이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보다 다섯 배 많은 투자수요가 모였다. 최근 실적 개선를 눈여겨본 기관투자가들이 대거 투자에 나섰다.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에프앤아이가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588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400억원을 모집한 1년6개월물에 1600억원, 800억원을 모집한 2년물에 4280억원이 들어왔다. 유안타증권과 IBK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실적 개선과 함께 재무구조가 안정화된 것이 기관들 사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하나에프앤아이는 2016년 2억원에 그쳤던 영업이익을 지난해 103억원으로 늘렸다. 올 1분기에도 29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신전문사업 관련 투자손실을 줄이면서 NPL사업에서 꾸준히 이익을 쌓은 덕분이다. 이익을 늘리는 가운데 지속적인 유동성 확보를 통해 차입부담도 줄였다. 이 회사는 2016년 300억원어치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 지난해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2015년 말 496억원이었던 자기자본을 지난 1분기 말 1146억원으로 늘렸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970.2%에서 457.6%로 떨어졌다.하나에프앤아이는 풍부한 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1500억원으로 늘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발행금리도 기대했던 것보다 낮게 결정될 전망이다. 1년6개월물은 희망금리 대비 0.1%포인트 낮은 2.6%, 2년물은 0.2%포인트 낮은 2.7% 수준의 금리로 발행될 예정이다. 이 회사의 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