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미용 강자 클래시스, 이루다와 합병 추진
피부미용 의료기기 전문기업 클래시스와 이루다가 합병에 나선다. 피부미용 의료기기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합병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겠다는 게 이들의 구상이다.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클래시스는 이루다를 흡수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클래시스의 최대주주는 지분 61.57%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이다. 2022년 클래시스 지분을 인수한 베인캐피털은 지난해 클래시스를 통해 이루다 지분 18%(400억원)를 확보하기도 했다. 이번 합병으로 클래시스의 최대주주 지분은 61.57%에서 59.32%로 변동될 전망이다. 합병 후 이루다는 클래시스에 흡수합병돼 해산된다.합병비율은 1 대 0.1405237이다. 합병 신주는 보통주 243만35주다. 합병기일은 오는 10월 1일이다. 신주상장예정일은 10월 22일이다. 합병 반대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기간은 오는 8월 13일부터 9월 2일까지다.‘K뷰티’ 바람이 미용 의료기기 산업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과 발맞춰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게 이번 합병을 추진하는 주요 배경이다. 클래시스는 국내 미용 의료기기 선두 업체로 꼽힌다. 초음파(하이푸) '슈링크 유니버스', 고주파 '볼뉴머' 등 피부미용 의료기기를 판매한다. 마이크로니들 고주파(RF)와 레이저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력을 확보한 이루다와 합병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클래시스는 남미와 아시아 시장에, 이루다는 미국과 유럽 시장에 강점을 갖춘 만큼 해외 시장 공략도 가속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
"여보, 마스크 당당히 벗어"…감춰왔던 얼굴 노출에 웃는 회사들 [박병준의 기승쩐주(株)]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졌습니다. 27개월 만의 일입니다. 대중교통, 병원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하면 백화점, 공항, 헬스장, 수영장 등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중국 등 해외에서의 확산세가 여전히 우려스럽지만, 겨울철 재유행이 정점을 지났다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일상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거죠.마스크를 본격적으로 벗게 되자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년간 감춰왔던 얼굴을 갑자기 노출해야 하는 상황이 찾아왔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삼성카드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20∼50대 회원의 피부과 이용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 늘었습니다. 특히 20대의 경우 피부과 이용액 증가율이 43%로 가장 높았습니다. 분석 시점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지난해 9월이니, 지금 다시 조사한다면 수치가 더 증가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리서치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팬데믹 초기와 비교해 미용 시술 관심이 증가했다'는 항목에 동의한 비율이 50%에 달했습니다. '미용 시술받는 횟수가 증가했다'는 항목에도 35%가 고개를 끄덕였죠.피부미용 기기 업체들은 활짝 웃고 있습니다. 피부 시술·기기 사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가 기대되는 점도 호재로 꼽힙니다. 증권업계에서는 경기침체 우려에도 미용 업종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입을 모읍니다. 허리를 졸라매도 피부에는 지갑을 연다는 거죠. DS투자증권은 글로벌 피부미용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10%씩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피부미용 '대장주'는 시가총액 1조2000억원 규모의 클래시
-
피부미용 의료기기 기업 제이시스메디칼, 스팩합병 예심 승인... 상장 초읽기
≪이 기사는 12월28일(06: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피부미용 의료기기 회사 제이시스메디칼이 코스닥 상장을 눈앞에 뒀다. 유안타제3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내년 3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제이시스메디칼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유안타제3호스팩과의 합병 비율은 1대 11.4895다.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은 내년 2월 10일부터 3월 2일까지다. 합병 기일은 3월 16일이며 신주의 상장예정일은 3월 29일이다. 2004년 설립된 제이시스메디칼은 피부미용 의료기기가 주력 사업이다. 고주파(RF)나 초음파(HIFU), 아이피엘(IPL) 레이저 등을 통해 여드름, 색소침착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제이시스메디칼이 내놓은 고주파 의료기기 '포텐자'는 피부 진피층에 미세 바늘(마이크로니들)을 넣어 순간적인 고주파를 발생시켜 피부 손상을 완화해준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그밖에 한곳으로 모은 초음파를 이용해 피부조직을 응고시켜 눈썹을 리프팅해주는 의료기기도 개발했다. 합병 전 최대주주는 강동환 대표로 지분 28%를 들고 있다. 그밖에 유안타인베스트먼트, 동양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등 다수의 재무적투자자(FI)를 유치했다. FI의 지분율은 20%를 넘는다.회사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68억원, 영업이익 2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9% 올랐다. 상장 이후 피부 미용 의료기기를 넘어 화장품 사업에도 진출해 종합 미용 회사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