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빙 '욘더' 앞세워 '비욘드 코리아' 속도낸다
한국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오리지널 콘텐츠가 사상 처음으로 해외 시청자들을 만난다. 미국의 OTT 파라마운트플러스를 통해서다. 지금까지 한국 콘텐츠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의 자금력을 기반으로 전 세계로 파고들었다. 넷플릭스나 애플TV플러스가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는 식이었다. 한국 콘텐츠 제작사들의 판권을 구입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국내 OTT가 만든 작품은 지구촌에 유통되지 못했다. 오리지널 콘텐츠로 미국 등 주요국 시장을 공략한 첫 번째 국내 OTT는 CJ ENM의 티빙이다.21일 OTT업계에 따르면 티빙은 현재 방영 중인 SF 드라마 ‘욘더’를 이르면 내년 상반기 북미와 영국 이탈리아 호주 등에 선보인다. 티빙 관계자는 “파라마운트플러스가 프랑스와 독일 등에 진출하면 욘더를 볼 수 있는 나라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며 “욘더를 포함해 모두 7편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파라마운트플러스를 통해 국제적으로 유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욘더는 영화 ‘왕의 남자’ ‘자산어보’ 등을 만든 이준익 감독의 첫 드라마로 배우 신하균과 한지민이 출연한다. 티빙은 욘더 제작을 주도했으며 파라마운트플러스가 관심을 갖고 투자에 동참했다.티빙은 오는 12월 공개하는 오리지널 시리즈 ‘아일랜드’도 글로벌 OTT 아마존프라임비디오를 통해 해외 주요 지역에 공개한다. 아일랜드는 영화 ‘웰컴 투 동막골’ ‘조작된 도시’ 등을 만든 배종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 김남길 이다희 차은우 등이 출연한다.티빙은 콘텐츠를 해외에서 방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글로벌 시장을 노릴 계획이다. 당장 내년부터 일본과 대만에서, 2024년부
-
'우영우' 제작사 KT스튜디오지니, 2000억 투자 유치 나섰다
KT그룹이 미디어 콘텐츠 사업을 키우기 위해 KT스튜디오지니 투자금 유치에 나섰다. KT스튜디오지니는 최근 전세계적인 인기를 끈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의 제작사다. 이번에 신주를 발행해 2000억원을 확보,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 등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T스튜디오지니는 KB증권을 자문사로 선정해 2000억원 규모 투자 유치를 진행하기로 했다. 신규 투자자가 KT스튜디오지니가 실시하는 제3자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를 취득하는 구조다. 거래에 앞서 회사의 기업가치는 1조원 중반대로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KT스튜디오지니는 KT가 지난해 3월 미디어 콘텐츠 시장 진출을 알리며 설립한 회사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우영우'의 제작사가 KT스튜디오지니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시장을 놀라게 했다. '우영우'가 방영된 KT의 자체 케이블채널 ENA의 인지도도 급상승했다.KT는 KT스튜디오지니를 구심점으로 삼아 미디어 콘텐츠 사업을 키우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KT가 국내 최대 유료방송 사업자인 만큼 자체 콘텐츠를 제작해 자체 플랫폼에 유통하면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향후 3년간 5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지난해 3조6000억원 수준이었던 미디어 콘텐츠 부문 매출액을 2025년까지 5조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이를 위해 KT스튜디오지니를 중간지주사로 두고 산하에 원천 지식재산권(IP)를 확보하는 스토리위즈와 음원 플랫폼 운영업체 지니뮤직, 모바일 독서 플랫폼 밀리의서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인 스카이TV와 미디어지니 등을 배치했다. 원천 IP부터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유통까지 KT
-
OTT 티빙·시즌 합병…CJ·KT, 이사회 열고 안건 결의
CJ ENM과 KT 계열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인 티빙과 시즌이 통합한다., 티빙과 KT스튜디오지니는 14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안을 결의했다. 티빙이 시즌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이며, 합병 비율은 티빙과 시즌이 1 대 1.5737519다. 합병 기일은 오는 12월 1일로 예정됐다.티빙과 KT스튜디오지니가 각각 모기업에서 독립 출범한 후 처음으로 나온 인수합병(M&A)이다. 티빙은 CJ ENM에서 2020년 10월 분사한 OTT회사로 CJ ENM이 지분 약 57%를 갖고 있다. 시즌은 작년 3월 KT가 미디어콘텐츠 사업 본격화를 위해 출범시킨 KT스튜디오지니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KT스튜디오지니는 합병 법인 지분을 취득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콘텐츠 제작과 유통, 시청 품질 서비스 고도화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두 서비스가 합쳐지면 이용자가 560만 명에 이르는 국내 최대 OTT가 탄생한다. OTT업계에선 티빙의 콘텐츠 협상력이 크게 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선한결 기자
-
티빙·시즌 통합…국내 1위 OTT 나온다
CJ ENM과 KT가 각사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인 티빙과 시즌 통합을 공식화했다. 양사는 14일 티빙과 KT스튜디오지니가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안을 결의했다고 이날 밝혔다. 티빙이 시즌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합병 비율은 티빙 대 시즌이 1대 1.5737519다. 합병 기일은 오는 12월1일로 예정됐다.희석주 기준 새 합병법인의 1대 주주는 CJ ENM, 2대 주주는 스튜디오룰루랄라(옛 JTBC스튜디오), 공동 3대 주주는 KT스튜디오지니와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의 투자목적회사인 ‘미디어그로쓰캐피탈 제1호’가 된다. 4위는 네이버다. 이는 티빙과 KT스튜디오지니가 각각 모기업에서 독립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나온 인수합병(M&A)건이다.티빙은 CJ ENM에서 2020년 10월 분사한 OTT 서비스 회사로 CJ ENM이 지분 약 57%를 갖고 있다. 시즌은 작년 3월 KT가 미디어콘텐츠 사업 본격화를 위해 출범시킨 KT스튜디오지니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KT스튜디오지니는 합병법인의 지분을 취득할 예정이다. 양사는 콘텐츠 제작·유통, 시청 품질 서비스 고도화 등을 함께 할 계획이다.두 서비스가 합쳐지면 단순 합산 기준 월간활성이용자(MAU)가 560만 명에 이르는 국내 최대 OTT 서비스가 나온다. 기존 국내 1위 OTT인 웨이브(424만 명)를 가볍게 추월한다. 웨이브는 SK텔레콤이 지상파 3사와 연합해 설립했다.OTT 업계에선 이를 통해 티빙의 콘텐츠 협상력이 크게 뛸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국내 기업들과의 콘텐츠 공급 협상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이 가입자 수라서다. CJ ENM과 KT는 올초부터 각사 주요 임원이 참여하는 사업협력위원회를 구성해 OTT 및 콘텐츠와 관련한 전방
-
KT, CJ ENM서 1000억 유치 '콘텐츠 동맹'
KT가 CJ ENM과 콘텐츠 분야 전방위 협력에 나선다. CJ ENM이 KT스튜디오지니에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콘텐츠 개발·제작·유통·활용 등을 함께한다. 스튜디오지니는 KT그룹의 미디어콘텐츠 회사들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자회사다. KT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지니뮤직의 최대 주주다. 웹소설·웹툰 기반 콘텐츠기업 스토리위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즌, 케이블채널 기업 미디어지니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콘텐츠 공급·유통망 확대 ‘윈윈’21일 KT는 CJ ENM과 서울 KT 광화문빌딩 이스트 사옥에서 콘텐츠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CJ ENM은 KT스튜디오지니에 약 1000억원을 투자한다. KT스튜디오지니의 유상증자를 통해 CJ ENM이 KT스튜디오지니 보통주를 취득하는 안이 유력하다. CJ ENM은 MOU 체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KT스튜디오지니 주식을 취득할 예정이다.CJ ENM이 새로 얻게 될 지분율은 정해지지 않았다. 양사 간 KT스튜디오지니의 기업 가치 평가 합의 절차 등이 남아 있어서다. KT스튜디오지니가 외부 투자를 유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T는 KT스튜디오지니의 기업 가치를 1조원대로 추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토대로 역산하면 CJ ENM이 KT스튜디오지니의 지분 10% 안팎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KT스튜디오지니는 이번 협력으로 콘텐츠 판매망을 확 넓히게 됐다. KT스튜디오지니의 오리지널 콘텐츠 중 일부를 CJ ENM 산하 TV 채널 tvN, OTT 플랫폼 티빙 등에 편성할 계획이다. 기존 KT스튜디오지니 콘텐츠는 대부분이 올레tv와 OTT 플랫폼 시즌, sky TV 채널 등 KT 계열 내부망을 통해 유통됐다. KT스튜디오지니는 유치한 투자금을 원천 IP 확보와 유망 제작
-
티빙 4000억 투자유치 본입찰, 복수 국내외 PEF 참여
국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 '티빙' 투자유치 본입찰에 복수의 국내외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뛰어들었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날 마감한 티빙 투자유치를 위한 본입찰에 미래에셋캐피탈-자산운용 컨소시엄, 우리프라이빗에쿼티(PE) 등 복수의 재무적투자자(FI)들이 참여했다. 지난달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로 선정된 골드만PIA는 공식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투자 의사는 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티빙은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최대 40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기업가치로 약 1조5000억원~2조원 이상을 희망하고 있다. 티빙은 올해 7월 네이버로부터 400억원을 투자유치하며 2대주주로 확보했다. 당시 기업가치는 약 260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후 10월엔 기존 주주인 CJ ENM, 네이버, JTBC스튜디오가 3자배정 유상증자로 총 1500억원을 투입하며 기업가치를 1조원으로 책정됐다.CJ ENM 내 사업부였던 티빙은 지난해 10월 독립법인으로 출범했다. 월간 이용자 수(MAU)는 300만명이 넘는다. 유료 가입자 수는 약 150만명 수준이다. 한국 가입자 380만명을 확보한 넷플릭스와 유료 가입자 200만명을 돌파한 웨이브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올해 '환승연애' '술꾼도시여자들' 등 오리지널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가입자 수를 늘리고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연내에만 세 차례 투자 유치를 단행하면서 기업가치도 널뛰다보니 일부 투자자사이에선 몸값이 다소 고평가됐다는 분위기도 있었다"라며 "하지만 국내에서 손꼽히는 OTT서비스에 발을 들일 수 있는 기회다보니 흥행에 실패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준호 /
-
OTT 서비스 '티빙' 투자유치에 골드만PIA, 우리PE 등 복수 PEF 참전
CJ그룹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티빙(TVING) 투자유치에 복수 사모펀드(PEF)운용사들이 뛰어들었다.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티빙과 매각주관사 노무라증권은 최근 CVC캐피탈, 골드만삭스PIA, 우리프라이빗에쿼티(PE), 미래에셋캐피탈-미래에셋자산운용 컨소시엄 등 복수의 재무적투자자(FI)들을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로 선정했다.거래 규모는 약 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빙이 발행한 신주를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인수하는 방식이다. 티빙 측은 이르면 내달께 본입찰이 진행할 예정이다.티빙 측은 기업가치로 약 1조5000억원 수준을 희망하고 있지만 이를 투자자들이 받아들일 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현재 티빙의 최대주주는 CJ ENM으로 티빙 지분 67.6%를 보유하고 있고, 이어 네이버가 15.4%로 2대주주, JTBC스튜디오가 14.1%로 3대주주로 구성돼 있다.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
티빙, CJ 네이버 JTBC 등으로부터 자금 수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이 CJ ENM, 네이버, JTBC 등을 대상으로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해 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티빙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발행 주식은 33만9272주로 발행가액은 44만2123원이다. 납입일은 오는 14일이다.이번 증자를 통해 최대주주인 CJ ENM이 795억원을 출자한다. 티빙의 주요주주인 JTBC스튜디오와 네이버도 각각 530억원과 173억원을 추가 투자한다.티빙은 2010년 CJ헬로비전이 내놓은 OTT 회사다. 이후 CJ ENM 계열로 편입된 후 tvN, 엠넷, 온스타일, 올리브 등 CJ ENM 채널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다가 지난해 10월 분사해 올해 6월 네이버가 400억 원 규모를 투자하며 지분 15.4%를 확보했다. 2대주주 네이버에 이어 JTBC스튜디오가 3대주주(지분율 14.1%)다.티빙이 유상증자를 하는 건 세계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가 성공을 잇따라 거두자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오징어 게임'을 비롯해 'D.P.' '기생충'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선 자금이 필요하다.이에 따라 티빙은 유상증자는 물론 상장전 30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프리IPO)도 진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재무적 투자자(FI)를 유치하려고 한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오징어게임 열풍 덕? 국내 OTT 티빙, 투자 유치 나섰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10월06일(15: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회사인 티빙이 투자 유치에 나선다. 기업가치로는 최대 2조원이 거론된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티빙은 노무라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자본확충을 받기 위해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다. 국내외 복수의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대상으로 투자 의사를 묻는 단계다. 투자 후 기업가치(Post-Value)는 1조5000억원에서 최대 2조원까지 인정받을 것으로 보인다.티빙은 CJ ENM 계열의 OTT다. 지난해 10월 독립법인으로 출범했다. 월간 이용자 수(MAU)는 300만 명이 넘는다. 유료 가입자 수는 약 150만 명 수준이다. 한국 가입자 380만 명을 확보한 넷플릭스와 유료 가입자 200만 명을 돌파한 웨이브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여고추리반’을 시작으로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며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2023년까지 100여 편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고 800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지난 6월에는 네이버로부터 4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당시 투자를 통해 네이버는 지분 약 15%를 확보, 2대주주에 올랐다. 티빙은 네이버를 우군으로 들이면서 네이버의 콘텐츠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이 수월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최대주주는 지분 70.5%를 보유한 CJ ENM이다. 3대주주는 JTBC스튜디오다. 최근 넷플릭스의 '오징어 게임'이나 'D.P.' 같은 한국 콘텐츠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국내 OTT에 대한 관심도 커진 점이 투자 유치 작업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오징어 게임' 효과 덕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