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중소형 화장품株 호실적…주가도 예쁘네

    중소형 화장품株 호실적…주가도 예쁘네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등 중소형 화장품주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소비자들이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찾으면서 한국 중저가 화장품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고가 제품을 판매해온 대형 업체들이 ‘어닝쇼크’를 내면서 주가가 미끄러지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화장품 주류가 달라졌다 브이티는 16일 5.42% 오른 2만1400원에 마감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코스메카코리아는 2.39% 오른 3만8850원에 마감하며 이달 8일 기록한 신고가(4만1100원) 경신을 재시도하고 있다. 씨앤씨인터내셔널(9.34%), 아이패밀리에스씨(5.1%), 실리콘투(5.88%)도 강세를 보였다.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실리콘투는 올 들어 주가가 네 배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씨앤씨인터내셔널(69%), 아이패밀리에스씨(106%), 클리오(90%), 잉글우드랩(175%)도 큰 폭으로 올랐다. 이들 종목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주가를 끌어올렸다. 주가가 오르는 이유는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한국 중저가 화장품 구매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K팝, K드라마 등의 인기로 한국 문화에 관심이 커진 가운데 경기가 침체하면서 한국의 가성비 높은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은 15%에 이른다. 일본에서는 한국 화장품이 점유율 1위에 올라섰다. 동남아에서도 한국산 점유율이 20%에 달한다. 하누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화장품의 주력 판매처가 중국에서 미국·일본·동남아로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 화장품사는 줄줄이 고전중소형 업체는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 상승세에 불이 붙었다. 신제품 ‘리

  • "올해만 주가 4배 '껑충' 뛰었다"…큰손들 폭풍 매수한 종목

    "올해만 주가 4배 '껑충' 뛰었다"…큰손들 폭풍 매수한 종목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등 중소형 화장품주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소비자들이 가성비 제품을 찾으면서 한국 중저가 화장품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고가 제품을 판매해온 대형 업체들이 ‘어닝쇼크’를 내면서 주가가 미끄러지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외국인 기관 동반 매수 20일 오후 2시 기준 브이티는 3.94% 오른 2만1100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코스메카코리아는 3.05% 오른 3만8850원에 거래되며 신고가 경신을 앞두고 있다. 씨앤씨인터내셔널(8.07%), 아이패밀리에스씨(3.06%), 실리콘투(4.05%)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실리콘투 등은 올 들어 주가가 4배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씨앤씨인터내셔널(66%), 아이패밀리에스씨(103%), 클리오(90%), 잉글우드랩(175%)도 큰 폭으로 올랐다. 이들 종목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주가가 오르는 이유는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한국 중저가 화장품 구매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K팝, K드라마 등의 인기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경기가 침체하면서 한국 가성비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은 15%에 이른다. 일본에서는 한국 화장품이 점유율 1위에 올라섰다. 동남아에서도 한국산 점유율이 20%에 달한다. ◆잇달아 어닝서프라이즈 중소형 업체들은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상승세에 불이 붙었다. 신제품 ‘리들샷’으로 일본 시장에서 판매가 급증한 브이티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3% 증가했다. 증권사 평균 예상치(99

  • 힘 못 쓰는 화장품株

    힘 못 쓰는 화장품株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 귀환 기대가 컸던 화장품 관련주가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도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일본과 미국 등에서 선전하는 중소형 화장품주는 주가 조정기를 매수 타이밍으로 삼아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화장품 투톱인 LG생활건강은 1.21% 내린 44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8월 고점 대비 각각 9.94%, 8.51% 하락했다. 중소형 화장품주인 브이티(-2.37%), 마녀공장(-5.83%), 클리오(-1.40%) 등도 이날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화장품주는 중국 정부의 관광 한한령 해제 이후 주가가 잠시 반등하기도 했으나 추세적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중국 이외의 시장 공략에 성공한 중소형 화장품주는 선전하고 있다. 브이티는 올해 1월 일본에서 출시한 신제품 라인업 ‘리들샷’이 인기를 끌면서 주목받고 있다. 9월 들어서만 주가가 37.28% 올랐다. 클리오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810억원)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과 동남아시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4%, 42% 증가하면서 실적을 주도했다. 클리오의 9월 주가 상승률도 30%가 넘는다. 중소형 브랜드의 입지가 확대되면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제조업자개발생산(ODM) 기업의 수혜도 예상된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 깜짝 실적에 예뻐진 화장품株

    깜짝 실적에 예뻐진 화장품株

    화장품 관련주가 10일 일제히 급등했다. 기업들이 1분기 잇따라 ‘깜짝 실적’을 발표하면서 업종 전반에 실적 개선 기대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날 상한가(29.99%)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메카코리아 자회사인 잉글우드랩도 가격제한폭(29.81%)까지 치솟았다. 코스맥스(8.09%) 실리콘투(17.9%) 에이블씨엔씨(11.2%) 토니모리(12.74%) 등도 큰 폭의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전날 코스메카코리아는 1분기 영업이익이 92억54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0% 급증했다고 공시했다. 중국 법인은 적자(3억원 영업손실)를 이어갔지만, 미국 법인의 영업이익(56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500% 이상 늘어났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코스메카코리아의 실적 발표를 계기로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은 일본 화장품 전체 수입액에서 23.4%를 차지했다. 전통 화장품 강국인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미국 프랑스 캐나다에서도 자국 화장품 수입액 국가 톱3에 들었다. 차별화된 브랜드 콘셉트를 내세우는 ‘인디브랜드’가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서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업체들이 주목받는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작년 10월부터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는 코스맥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메카코리아는 모두 ODM 업체다. 반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사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외출이 늘어나면서 2분기에도 호실적이 전망된다. 코스맥스는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전망치 평균)가 전년 동기 대비 84% 늘어난 317억원으로 집계됐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의 2분

  • "K뷰티 미국·일본서도 통한다"…화장품주 줄줄이 급등

    "K뷰티 미국·일본서도 통한다"…화장품주 줄줄이 급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이 잇따라 ‘어닝서프라이즈’를 내면서 업종 전반에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10일 코스메카코리아는 상한가(29.99%)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메카코리아 자회사인 잉글우드랩도 가격제한폭(29.81%)까지 치솟았다. 코스맥스(8.09%), 실리콘투(17.9%), 에이블씨엔씨(11.2%), 토니모리(12.74%) 등도 큰 폭의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전날 코스메카코리아는 1분기 영업이익이 92억54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0% 급증했다고 공시했다. 중국 법인은 적자(3억원 영업손실)를 이어갔지만 미국 법인의 영업이익(56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500% 이상 늘어나면서 호실적을 달성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코스메카코리아의 실적 발표를 계기로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은 일본 화장품 전체 수입액에서 23.4%를 차지했다. 전통 화장품 강국인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미국, 프랑스, 캐나다에서도 자국 화장품 수입액 국가 ‘탑 3’에 들었다. 차별화된 브랜드 콘셉트를 내세우는 ‘인디브랜드’가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서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업체들이 주목을 받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작년 10월부터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는 코스맥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메카코리아는 모두 ODM 업체다. 반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사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외출이 늘어나면서 2분기에도 호실적이 전망된다. 코스맥스는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전망치 평균)가 전년 동기 대비 84% 늘

  • 대중교통 마스크 벗자…코스맥스·아모레G 3%↑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대중교통 등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자 투자심리가 살아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20일 LG생활건강은 0.88% 오른 57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맥스(3.54%) 아모레G(3.29%) 토니모리(2.16%) 클리오(1.74%) 아모레퍼시픽(1.11%) 등이 모두 강세를 보였다.이날부터 대중교통과 마트·역사 내 약국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게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 대중교통 이용 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없어진 것은 2020년 10월 이후 약 2년5개월 만이다. 전문가들은 주가가 추세적으로 상승하기 위해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출 증가가 뒤따라야 한다고 분석했다.서형교 기자

  •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 해제에 화장품株 '방긋'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 해제에 화장품株 '방긋'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대중교통 등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자 투자 심리가 살아난 영향으로 풀이된다.20일 LG생활건강은 0.88% 오른 57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맥스(3.54%), 아모레G(3.29%), 토니모리(2.16%), 클리오(1.74%), 아모레퍼시픽(1.11%) 등이 모두 강세를 보였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화되면서 화장품 업체들이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대중교통과 마트·역사 내 약국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다. 대중교통 이용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없어진 것은 2020년 10월 이후 약 2년 5개월 만이다.전문가들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가 화장품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간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주가가 추세적으로 상승하기 위해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출 증가가 뒤따라야한다는 분석이다.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올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보다 부진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중국 화장품 수요가 회복되면서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코스맥스의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 K팝·K드라마 효과에…화장품株 잘나가네

    코스맥스와 아모레퍼시픽 등 화장품 관련주가 급등세를 지속하고 있다. 항공, 여행, 카지노 등 다른 코로나19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관련주가 조정받는 것과 대비된다.2일 코스맥스는 전 거래일 대비 11% 오른 8만5800원에 마감했다. 같은 기간 씨앤씨인터내셔널(5.6%), 토니모리(5.12%), 아모레퍼시픽(4.48%)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코스맥스는 작년 10월 13일 저점 대비 10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씨앤씨인터내셔널, 에이블씨엔씨 등도 60~80% 올랐다.항공과 면세는 지난 1월부터 조정받고 있다. 항공주는 고환율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와 티켓 공급 확대가 발목을 잡고 있다. 면세는 중국 보따리상 방문 감소가 부담으로 꼽힌다.화장품주는 국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와 중국 리오프닝으로 국내외 수요가 모두 회복되고 있다. K팝과 한국 드라마 인기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도 호재다.박의명 기자

  • "미국·동남아서 고성장"…클리오 두 달 새 29% 쑥

    "미국·동남아서 고성장"…클리오 두 달 새 29% 쑥

    중소형 화장품주 클리오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높은 매출 증가세를 기록한 덕분이다. 주가도 작년 11월 저점을 찍은 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4일 클리오 주가는 전일 대비 2.47% 오른 1만66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해 11월 초 저점을 찍고 두 달 새 29%가량 상승했다. 국내외 실적이 모두 뛰면서 주가도 상승 국면을 맞이했다는 분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클리오의 매출은 2021년(2327억원)보다 15% 넘게 증가한 269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미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인 게 주효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미국과 동남아시아 합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할 전망”이라며 “중국과 일본 시장 불황에도 4분기 해외 매출은 7%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최세영 기자

  • 미국·동남아에서 잘나가는 화장품株…클리오, 주가도 '꿈틀'

    미국·동남아에서 잘나가는 화장품株…클리오, 주가도 '꿈틀'

    중소형 화장품주 클리오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높은 매출 증가세를 기록한 덕분이다. 주가도 작년 11월 저점을 찍은 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4일 클리오 주가는 전일 대비 2.47% 오른 1만66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해 11월 초 저점을 찍고 2개월 새 29% 가량 상승했다. 해외와 국내 실적이 모두 성장하면서 주가도 상승 국면을 맞이했다는 분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클리오의 매출액은 2021년(2327억원)보다 15% 넘게 증가한 269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미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높은 성장세를 이룩한 게 주효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미국과 동남아시아 합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할 전망”이라며 “중국과 일본 시장 불황에도 4분기 해외 매출은 7% 가량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 화장품 기업의 지난해 매출 예상치가 중국 제로코로나 정책 영향으로 역성장한 것과 대비된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까지 반영되면 클리오는 올해도 실적 성장세를 이어나갈 전망이다. 박 연구원은 “방한 중국인 수가 본격적으로 늘어나고, 일본에서 신규 제품을 출시하면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할 것”으로 내다봤다.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

  • STOCK

    "클리오, 견조한 실적 성장세 기대"

    메리츠증권은 15일 클리오에 대해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기대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적정주가 1만8000원을 유지했다.3분기 매출액은 작년 동기대비 14.5% 증가한 679억원, 영업이익은 12% 늘어난 46억원으로 모두 시장 추정치를 웃돌았다. 국내는 주력 채널(H&B·온라인), 해외는 비주력 지역(미국·동남아)이 선전했다.하누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국내 매출은 27% 급증한 426억원으로, H&B과 온라인부문이 각각 30.5%와 44.3%의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다”며 “신제품 론칭과 입점 확대를 기반으로 브랜드 파워가 강화됐다”고 평가했다.다만 해외 매출은 4.7% 감소한 253억원으로 부진했다. 일본 시장은 경쟁 심화로, 중국 사업은 수요 악화로 판매가 크게 줄었다. 반면 미국은 아마존을 통한 인기 제품 선전, 기타 지역은 채널 확장 효과로 각각 157%, 129%의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하 연구원은 “저변 확장을 통한 외형 성장이 기대된다”며 “국내는 브랜드 다각화(기초 화장품, 바디제품, 건기식 등), 해외는 신규지역 발굴(러시아, 유럽 등)에 힘을 쏟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수한 성장성과 재무 건전성을 감안하면 매수 접근이 유효하다”고 덧붙였다.장관진 기자 jkjin@hankyung.com

  • 색조화장품 업체 씨앤씨인터내셔널, 상장 예비심사 청구

    색조화장품 업체 씨앤씨인터내셔널, 상장 예비심사 청구

    ≪이 기사는 12월09일(19: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아모레퍼시픽과 로레알 등을 고객사로 둔 색조 화장품 업체 씨앤씨인터내셔널이 9일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를 통과하면 내년 상반기 중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1997년 설립해 2013년 법인으로 전환한 씨앤씨인터내셔널은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회사다. 포인트 메이크업이란 눈과 입술, 볼 등 얼굴 특정 부분에 하는 화장을 뜻한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이 위탁 생산하는 화장품도 립글로스, 립스틱, 립라이너, 아이라이너, 아이섀 등이다. 아모레퍼시픽, 클리오, 스타일난다, 로레알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피부에 잘 그려지면서, 쉽게 지워지거나 번지지 않고, 세안 때는 간단히 씻을 수 있는 기술이 강점이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은 꾸준히 좋은 실적을 내고 있다. 지난해 연결 매출이 816억원으로 전년보다 17.5% 늘었다. 영업이익은 98억원으로 같은 기간 16.8% 증가했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이 8.4%다. 매출에서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80.2%에 이르며, 판매·관리비는 7.8%에 그친다. 지난해 말 기준 지분 100%를 배은철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했다. 공모 과정에서 91만6653주는 신주 발행, 56만3347주는 구주 매출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은 NH투자증권이 맡았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화장품업체 클리오, 200억원 규모 CB 발행

    화장품업체 클리오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200억원을 조달한다.클리오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오는 28일 피에스에이-신한투자조합1호를 상대로 5년 만기 CB 200억원어치를 발행한다고 25일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 후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이번 CB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발행된다. 투자자인 피에스에이-신한투자조합1호는 내년 2월 말부터 한 주당 1만6466원에 CB를 클리오의 신주로 전환할 수 있다. 같은 날부터 클리오에 CB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도 행사할 수 있다.클리오는 1997년 설립된 화장품업체로 서울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코스닥시장에는 2016년에 상장했다. 한현옥 대표이사가 최대주주로 지분 56.04%를 들고 있다.최근 실적은 좋지 않다. 클리오는 지난해 7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매출(1873억원)도 전년 대비 3.3% 줄었다. 중국 오프라인시장 성장이 정체된 여파가 컸다는 분석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