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후년 실적 따라 경영권 결정…AI 마인드웨어웍스에 900억 베팅한 크레센도사모펀드(PEF)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마인드웨어웍스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한다. 기업가치를 미리 확정하지 않고, 향후 실적에 따라 전환가격과 지분율이 달라지는 이례적인 성과 연동형 투자 구조다.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는 총 900억원을 전환우선주(CPS) 형태로 마인드웨어웍스에 투자한다. 우선 300억원을 납입한 뒤, 나머지 600억원을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에는 구주 인수 없이 100% 유상증자 방식으로만 투자한다. 마인드웨어웍스의 투자 전 지분 100% 기준 가치는 800억~900억원 수준이다. 크레센도는 이와 맞먹는 자금을 투입하지만, 당장 경영권을 확보하지는 않는다. 기업가치를 정하지 않고 미래 실적에 따라 전환가를 조정하는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창업자인 이재인 대표가 경영권을 유지한 채 핵심 기술 개발과 글로벌 사업 확장에 참여할 예정이다. 2027년 영업이익 실적을 기준으로 크레센도가 인수한 CPS의 최종 전환가격과 지분율이 결정된다. 회사가 목표 실적을 달성하면 창업자가 경영권을 유지하지만, 실적이 목표치보다 부진할 경우 전환가가 하향 조정(리픽싱)돼 크레센도의 지분율이 과반 이상으로 높아지며 경영권이 크레센도로 이전된다. 목표 실적 이상을 달성하면 전환가격은 조정되지 않고 창업자의 지분율과 경영권이 유지된다. 크레센도는 기업가치 상승으로 평가이익이 커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과감한 투자 구조를 설계한 배경에는 마인드웨어웍스의 성장성에 확신이 있어서다. 크레센도는 반도체 장비기업 HPSP에 투자해 기술 상용화와 글로벌 고객사 확보를 이끌며, 투자초기 200억원대였던 기업가 
- 
					   
					
					테크 전문가들이 메디포스트 키우는 법 [PEF 밸류업 사례탐구]3년 전 사모펀드(PEF)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와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손잡고 바이오기업 메디포스트 경영권을 인수했을 때 시장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두 곳 모두 반도체 등 IT에 주로 투자하는 테크 전문 PEF이기 때문이다. 바이오 기업은 임상만 수년이 걸리는데다 성공 여부도 불투명한큼 정해진 기간 안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PEF가 달려들기 쉽지 않은 영역이다. 테크 전문 PE가 바이오에 배팅한 이유그럼에도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가 바이오 기업에 베팅한 건 이유가 있었다. 메디포스트는 일반 바이오기업과는 달랐다. 메디포스트는 제대혈은행 시장 점유율 70%를 점유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메디포스트의 줄기세포 기반의 무릎 연골 치료제 '카티스템'의 글로벌 확장성에 주목했다.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췄다고 본 셈이다. PEF는 미국·일본 등 해외에는 카티스템과 같은 치료제가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글로벌 임상에 성공해 시판 허가를 받으면 국내와는 비교할 수 없는 시장이 열린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제약 시장 규모는 일본이 한국의 3~4배, 미국은 10배 이상 크다. 메디포스트는 글로벌 무대에 도전하려면 든든한 지원군이 필요했다. 해외 임상비용만 수천억원에 달하고, 각국의 규제 대응과 함께 네트워크 구축까지 가야할 길이 멀었다. 메디포스트 창업자 양윤선 전 대표(현 고문)의 고민이 깊어졌던 시기에 스카이레이크의 민현기 대표가 해외 진출 파트너를 제안했고, 같은 시기 크레센도의 이기두 대표도 투자 검토에 뛰어들었다. 두 운용사는 평소 인연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공동 인수로 뜻을 모았다.두 PEF 
- 
					   
					
					메디포스트, 2500억 조달 추진…스카이레이크·크레센도 참여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코스닥 상장사 메디포스트가 최대 25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추진한다. 3년여 전 메디포스트 경영권을 인수한 사모펀드(PEF)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스카이레이크PE)와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크레센도PE)는 각각 500억원을 추가 투자할 예정이다.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디포스트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2000억~25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현재 투자자들과 규모와 자금조달 방식 등 세부 조건을 협의하는 단계로 전해진다. 이 가운데 메디포스트 최대주주 스카이레이크PE(21.4%)와 크레센도PE(20.1%)가 각각 500억원가량을 메디포스트에 추가 투입할 것으로 보인다.메디포스트가 대규모 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이유는 대표 상품 '카티스템'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임상 3상 준비 차원이다. 카티스템은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으로,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 필요한 무릎 연골결손 치료제다. 국내에선 품목 허가를 받아 판매 중이지만 미국에선 임상 3상을 준비하고 있다.스카이레이크PE와 크레센도PE는 2022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1600억원에 메디포스트 경영권을 인수했다. '1세대 바이오벤처' 메디포스트는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출신 양윤선 전 대표가 설립한 회사다.송은경 기자 norae@hankyung.com 
- 
					   
					
					코스닥 시총 10위 HPSP, 매물로 나왔다반도체 전공정 선두기업 HPSP가 매물로 나왔다. 경영권을 포함한 HPSP 지분 약 40%의 몸값은 최대 2조원대까지 거론된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사모펀드(PEF) 운용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는 HPSP 지분 40.9% 매각에 나섰다. 매각 주관사는 UBS다. 전날 티저레터를 배포하며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HPSP의 시가총액은 2조8115억원이다.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 10위다. 지분 40%의 가치는 시가로만 약 1조1200억원이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 30~40%를 더하면 크레센도가 보유한 경영권 지분의 매각가는 1조원대 중후반에서 최대 2조원까지 거론된다. 복수의 재무적투자자(FI)와 전략적투자자(SI)가 이미 인수에 관심이 있다고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HPSP는 반도체 전 공정에 필요한 열처리 공정 장비를 제조·공급하는 회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반도체 분야 알짜 소부장 업체로 꼽히는 HPSP는 네덜란드 ASML에 빗대 '한국판 ASML'로 불리기도 한다. HPSP는 지난해 179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1593억원) 대비 1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52억원으로 2022년(852억원)과 비교해 11.7% 늘었다. HSPS의 영업이익률은 53.2%에 달한다. HPSP 모태는 풍산의 자회사 풍산마이크로텍(PSMC)의 장비사업팀이다. 크레센도가 풍산그룹으로부터 2017년 약 100억원에 인수했다. 크레센도는 반도체 등 신성장 테크 섹터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PEF다. 크레센도가 HPSP를 인수한 다음해인 2018년 HPSP의 매출은 24억원에 불과했다.인수 7년여 만에 매출이 약 76배 급증했다.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 
					   
					
					크레센도는 어떻게 ‘GP 성장률 1위’ 올랐나 [PEF 업계는 지금]‘크레센도, 메디포스트 공동 최대주주로서 경영 참여’(6월 24일 메디포스트 발표)‘크레센도 보유 반도체 장비업체 HPSP, 기업공개(IPO) 기관 수요예측서 1115 대 1 경쟁률 기록’(7월 5일 주관 증권사 공개)사모펀드(PEF) 운용사(GP)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국내 자본시장 입지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 작년 말 출자약정액은 단숨에 업계 13위로 33계단 뛰어올랐다. MIT 재료공학박사 출신 이기두 대표가 주로 ‘기술 기반 미드캡(중형주)’ 시장에서 보여준 전문성과 신뢰가 신규 약정액 급증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11일 금융감독원 기관전용 PEF 현황 업무자료에 따르면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의 약정액은 작년 말 현재 1조6832억원을 나타냈다. 2020년 말 대비 202% 증가했다. 2020년과 2021년 모두 약정액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린 GP 중 가장 빠른 성장률이다.투자 대상은 주로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부품소재 등 주요 성장산업에서 선두업체 혹은 큰 잠재력을 지닌 기업이다. 지분 매입 이후엔 해외시장 진출, 사업영역 확장,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해 수익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2012년 설립 이후 투자실적을 기반으로 확보한 기관투자가(LP)의 신뢰가 최근 약정액 급증의 배경으로 꼽힌다. 설립 당해 설정한 블라인드펀드 금액은 740억원에 불과했으나 2018년 2호 4500억원에 이어 작년 3호는 1조1000억원으로 급성장했다. 금감원 공시 기준 작년 신설펀드는 다섯 개로 각각 △크레센도제3의디호(966억원) △크레센도제3호정책형뉴딜(6150억원) △크레센도2021(2041억원) △크레센도제3의씨호(1636억원) △프레스토제10호(530억원)이다. PEF 업계 관계자는 &ldq 
- 
					   
					
					[단독] '1세대 바이오' 메디포스트, 스카이레이크에 팔린다▶마켓인사이트 3월 16일 오후 4시50분1세대 바이오벤처기업인 메디포스트가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 컨소시엄에 팔린다. 이들 PEF를 대상으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하는 방식이다. 메디포스트는 신규로 들어오는 자금을 해외 진출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메디포스트는 16일 이사회를 열어 스카이레이크 컨소시엄에 경영권을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스카이레이크 컨소시엄은 1600억원가량을 투자해 지분 약 30%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된다.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가 지분을 절반씩 보유할 예정이다.회사 창업자이자 기존 최대주주인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는 2대 주주로 남는다. 현재 6.16%인 지분율은 증자 후 5% 미만으로 줄어든다. 양 대표는 대표직을 유지하면서 경영에 계속 참여할 예정이다.메디포스트는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출신인 양 대표가 2000년 설립한 1세대 바이오벤처기업이다. 제대혈은행 부문 국내 1위로, 2010년대 들어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면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대표 제품은 2012년 출시한 무릎 퇴행성 골관절염 치료제인 카티스템으로 세계 줄기세포 치료제 중 누적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 거스 히딩크 전 한국 축구국가대표 감독이 이 치료제 시술을 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IB업계 관계자는 “양 대표가 메디포스트를 줄기세포 치료제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결단으로 최대주주 자리를 내놓은 것”이라며 “메디포스트는 최근 재무적 어려움을 겪어왔는데 이번 자금 유입으로 이를 상당 부분 해소하고 해외 진출에도 탄력이 붙게 
- 
					
					국민연금, 사모대체 위탁운용사에 케이스톤 크레센도 등 6곳 선정≪이 기사는 06월30일(20: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이 올해 사모대체 부문 위탁운용사 6곳을 선정했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총 6000억 원을 맡기는 사모대체 위탁 운용사로 △케이스톤파트너스 △E&F프라이빗에쿼티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 △이음프라이빗에쿼티가 각각 선정됐다. 6000억원이 배정된 코인베스트먼트(공동투자) 펀드 운용사에는 △KB자산운용 △SKS PE가 선정됐다.국민연금은 사모대체 분야에서 케이스톤과 크레센도 펀드에는 각각 2000억원, E&F PE와 이음 PE 펀드에는 각각 1200억원과 800억원을 출자했다. 코인베스트먼트 펀드를 맡은 2개 운용사에는 각각 3000억원씩이 배정됐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테크 전문가들이 메디포스트 키우는 법 [PEF 밸류업 사례탐구]](https://img.hankyung.com/photo/202509/01.41727153.3.jpg)


![크레센도는 어떻게 ‘GP 성장률 1위’ 올랐나 [PEF 업계는 지금]](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569674.3.gif)
![[단독] '1세대 바이오' 메디포스트, 스카이레이크에 팔린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2.29279619.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