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게임즈, 이르면 다음달 초 증권신고서 제출
≪이 기사는 07월24일(17:0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3일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한 카카오게임즈가 이르면 다음달 초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나선다. 수요예측과 일반청약이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9월 중 코스닥시장에 입성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23일 카카오게임즈의 상장을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우량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신속 처리 제도(패스트트랙)를 적용해 청구서 접수 후 30일(영업일 기준) 만에 결과를 내놓았다.공동대표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은 올 상반기 검토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상장 계획을 수립해 다음달 초 중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카카오게임즈가 상장심사 당시 거래소에 제출한 공모주당 희망가격범위는 2만~2만4000원(액면가 100원)이다. 하지만 시장의 상황 등에 따라 희망가격범위는 변동될 수 있다. 공모주식수는 1600만주로 희망가격범위를 기준으로 한 예상 공모 규모는 3200억~3840억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1조4640억~1조7569억원이다.카카오게임즈는 2018년 코스닥시장 상장을 한 차례 시도했다가 자진철회한 사례가 있다. 카카오게임즈가 투자한 게임회사 크래프톤의 성적 부진과 각종 감리 문제가 당시 발목을 잡았다.투자은행(IB) 업계는 카카오게임즈가 무리한 밸류에이션으로 몸값을 높이진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장외시장에서 카카오게임즈의 주식이 주당 6만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지만 카카오게임즈는 카카오의 첫 기업공개(IPO) 주자"라며 "(지나친 고평가로) 상장 후 주가 흐
-
엔에프씨, 수요예측 경쟁률 119.4대 1… 공모가 최하단으로 확정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둔 엔에프씨가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에서 약 12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7일 화장품 원료제조업체 엔에프씨는 지난 12~13일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119.4 대 1의 경쟁률을 냈다고 발표했다. 엔에프씨의 수요예측에는 기관투자가 523곳이 참여했다. 엔에프씨는 희망가격 범위(1만200~1만3400원) 중 최하단인 1만2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엔에프씨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안 심리를 감안하면서도 상장 이후 기업 가치 상승에 주안점을 두고 공모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엔에프씨는 화장품의 기초가 되는 원료를 만드는 업체다. 2012년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하며 출발했다. 회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매출 239억원에 영업이익 50억원, 순이익 49억원을 냈다.엔에프씨는 18~19일 일반 청약을 받은 후 오는 26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IPO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제이앤티씨, 일반청약 경쟁률 3.5대 1
스마트폰 강화유리를 제조하는 제이앤티씨가 4대 1을 밑도는 저조한 일반청약 경쟁률을 냈다.25일 제이앤티씨의 기업공개(IPO) 주관사인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한 일반청약 경쟁률은 3.5대 1로 집계됐다. 신청금액의 절반인 청약증거금으론 4214억원이 몰렸다.기대치를 밑돈 일반 청약 결과와는 달리 이 회사는 공모가를 확정하기 위한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에서 1077.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냈다. 희망공모가격(8500~1만500원)을 초과하는 1만10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하기도 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주식 시장 전반에 악재로 작용한 코로나19와 희망가격보다 높아진 공모가가 이 회사의 일반청약에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봤다.제이앤티씨는 스마트폰 부품인 3차원 커버글라스와 커넥터를 제조하는 회사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코스닥시장 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4일이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코스닥 상장 앞둔 엔바이오니아 “영업이익률 20%가 넘는 소재회사”
“높은 영업이익률과 성장성을 자랑하는 글로벌 복합소재 기업이 목표입니다.”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는 엔바이오니아의 한정철 대표이사(사진)는 8일 서울 여의도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소재 생산으로 영업이익률이 20%가 넘는다”며 “상장 이후 고객사가 늘어 매출 규모가 더 커지면 ‘규모의 경제’ 효과로 영업이익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오는 2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엔바이오니아는 2001년 한 대표가 설립한 복합소재 기업이다. 복합소재를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습식공정에 대한 노하우를 인정받아 기술특례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상장한다. 한 대표는 “다른 업종(바이오 등)과는 다르게 기술을 상용화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은 물론 사용처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엔바이오니아의 주력 상품은 직수형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와 자동차 경량화 소재다. 이 회사가 만드는 직수형 정수기용 필터는 양극(+) 극성을 띠어, 음극(-) 극성인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끌어당기는 원리를 활용한다. 지난 2월 쿠쿠홈시스와의 독점 계약이 종료돼, 다른 잠재 고객사와도 계약을 조율하고 있다. 최근 깨끗한 식수에 대한 관심이 커진 중국 시장으로 진출을 준비 중에 있다. 이 회사가 만드는 자동차 경량화 소재 또한 사용처가 최근 늘어났다. 기존에는 철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던 ‘엔진 언더커버’를 복합소재로 만들어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크게 줄였다. 엔바이오니아 관계자는 “초등학생이 가볍게 들어 올릴 만큼 가벼워져서 기존 소재로 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