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 재건 수혜"…통신장비주 빛난다
통신장비 기업이 상승세다.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 사업 확장 기회가 커질 것이라는 기대가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8일 한울소재과학은 21.56% 상승한 609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업은 광전송장비 등 통신장비를 생산한다. 유·무선 공유기와 광케이블 제조업체인 머큐리는 15.40%, 이동통신 기지국용 트랜지스터 기업 RFHIC는 5.6% 올랐다. 쏠리드(4.82%), 우리로(3.70%), 에치에프알(3.31%), 케이엠더블유(2.55%) 등도 일제히 상승했다.‘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AI)산업 육성, 우크라이나 재건, 글로벌 방산 투자 확대 등이 주요 투자 키워드로 거론된다. 통신은 AI 서비스, 도시 인프라, 방산 기술 등에 필수 뼈대 격으로 쓰인다. 각국이 국가 안보 등을 이유로 외국 통신 서비스 기업의 진출을 막아둔 사례가 많지만 통신장비 기업은 아니다. 국내 통신장비 기업이 외국 현지 통신 서비스사, 군수기업 등에 수출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우크라이나 전쟁 초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통신망을 무력화하기 위해 주요 통신시설을 집중 공격했다. 통신망 복구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방산 분야에선 양자암호 등 신기술을 적용한 통신장비 수요가 늘고 있다.대선을 마친 미국이 통신 주파수 신규 할당 논의에 본격 나설 것이란 점도 호재다. AI 서비스가 늘어나면 통신망의 트래픽(데이터 송수신량) 부담이 커진다. AI 모델 학습·추론 등에 많은 데이터가 필요해서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통신사들이 AI 활성화 등을 이유로 주파수 추가 할당을 요구하는 만큼 네트워크 설비 투자가 늘 수 있다”고 말했다.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 중국과
-
"우리도 美IRA 수혜주"…달아오른 통신장비株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 등 통신장비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19일 케이엠더블유는 상한가(29.97%)로 거래를 마쳤다. 에이스테크도 가격제한폭(29.91%)까지 치솟았다. 쏠리드(18.66%), 오이솔루션(16.2%), RFHIC(8.72%)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기관과 개인 투자자가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통신장비주는 2020년 고점을 찍은 이후 최근까지 3년간 조정받았다. 5세대(5G) 이동통신 투자 사이클이 끝난 이후 실적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주가가 반등한 것은 미국 IRA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이날 상한가를 기록한 에이스테크는 미국에 수출할 기지국 안테나를 생산한다고 최근 밝혔다.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초고속 인터넷 설치에 400억달러(약 53조원)를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 펀드매니저는 “미국 수출길이 열리는 업종이 돌아가면서 급등하고 있다”며 “2차전지, 전력기기, 농기계 등에 이어 통신장비도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고 말했다.차세대 이동통신 장비 투자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도 호재로 작용했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다수 국가가 5G 단독망이 아니라 4G 연동 비단독망을 사용하고 있다”며 “내년 말부터 차세대 5G 장비인 ‘6G 레디(ready)’ 투자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하나증권은 쏠리드와 이노와이어리스를 최선호주로 꼽았다. 주가가 급등한 에이스테크와 케이엠더블유는 주가가 조정받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박의명 기자
-
주가 80% 폭락하자 '반등 서막?'…개미들 벌떼처럼 몰렸다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 등 통신장비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며 차세대 장비 투자 기대감이 커졌다. 19일 케이엠더블유는 전일 대비 상한가(29.97%)로 거래를 마쳤다. 에이스테크도 가격제한폭(29.91%)까지 치솟았다. 쏠리드(18.66%), 오이솔루션(16.2%), RFHIC(8.72%)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주로 기관과 개인 투자자가 이들 종목을 순매수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통신장비주는 지난 2020년 고점을 찍은 이후 최근까지 3년간 조정을 받았다. 최고점 대비 60~80% 가량 하락했다. 5세대(5G) 이동통신 투자 사이클이 끝난 이후 실적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 주가가 반등한 것은 미국 IRA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가 확산하면서다. 이날 상한가를 기록한 에이스테크는 미국에 수출할 기지국 안테나를 생산한다고 최근 밝혔다.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초고속 인터넷 설치에 400억달러(53조원)를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한 펀드매니저는 “미국 수출길이 열리는 업종이 돌아가면서 급등하고 있다”라며 “2차전지, 전력기기, 농기계 등에 이어 통신장비도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고 말했다.차세대 이동통신 장비에 대한 투자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도 호재로 작용했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다수의 국가가 5G 단독망이 아닌 4G 연동 비단독망을 사용하고 있다”라며 “내년 말부터 차세대 5G 장비인 ‘6G Ready’ 투자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하나증권은 쏠리드와 이노와이어리스를 최선호주로 꼽았다. 주가가 급등한 에이스테크와 케이엠더블유는 주가가 조정받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
-
[마켓인사이트]김한석 KMW 부사장, "주가 급락 과도... 유상증자 우려 등은 우려일뿐"
≪이 기사는 11월11일(09: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케이엠더블유(KMW)가 유상증자에 나설 거란 루머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삼성전자의 28㎓ 투자나 SA표준 도입 등도 KMW의 사업에 악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10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김한석 KMW 부사장(사진)은 최근 KMW의 주가하락을 두고 주식시장에서 돌고 있는 다양한 소문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잘못된 소문 때문에 회사와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것 같아 갑갑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노키아, ZTE에 안테나 등 통신관련 부품을 공급하는 KMW는 코스닥 5G 대장주로 통한다. 5G 테마주의 인기로 연초 1만원대던 주가가 지난 9월엔 8만100원(9월 24일 종가 기준)까지 급등해 한때 코스닥 시가총액 4위의 자리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3분기 영업이익이 578억원으로 컨센서스 640억원 대비 하회하면서 주가가 하락 곡선을 탔다. 26%(2분기)에서 22%(3분기)로 4%포인트 감소한 영업이익률 또한 주가 하락을 부추겼다. 주가가 떨어지자 루머도 잇따랐다. 회사가 유상증자를 계획 중이란 얘기가 돌았다. 유상증자는 권리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흔히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떨어뜨리는 악재로 통한다. 삼성전자가 최근 투자계획을 밝힌 28㎓ 사업계획에 대응하는 포트폴리오가 KMW에 없다는 점이 향후 사업실적에 악영향을 줄 거란 소문도 있었다. 지난 8일 KMW는 주당 4만875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유상증자 루머에 대해 김 부사장은 “고려 대상이 아니며 만약 운전자금이 부족할 경우 금융시장에서 대출이나 회사채로 조달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운전자
-
[마켓인사이트]식지 않는 5G 열기…부품주 CB 투자자들까지 ‘방긋’
≪이 기사는 10월22일(11: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5세대(5G) 이동통신 관련 부품주들의 고공행진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5G 네트워크 설비투자 확대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강하게 밀어올리고 있다. 기업가치가 껑충 뛰면서 이들 회사가 과거 발행했던 전환사채(CB)를 사들인 투자자들도 웃음 짓고 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시기에 맞춰 주가가 오르면서 높은 수익률을 내며 줄줄이 원리금을 회수하고 있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통신장비 회사인 케이엠더블유는 CB 투자자들의 전환청구권 행사로 이달 이들에게 총 4만8926주를 새로 발행했다. 투자자들이 보유하던 약 5억5000만원 규모 CB는 주당 1만1359원에 케이엠더블유 신주로 바뀌어 지난 21일 상장됐다. 투자자가 이날 종가 수준으로 주식을 팔았으면 494%의 수익률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회사 CB 투자자들은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5월 말부터 잇달아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지난해 5월 발행했던 250억원 규모 CB 중 245억원어치가 주식으로 바뀌었다. 케이엠더블유는 올 들어서만 206% 뛰어 코스닥 시가총액 5위로 급부상했다. 안테나, 필터 등 기자국에서 사용하는 통신장비를 제조하는 이 회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 수주물량이 급증하자 연간 필터 생산목표를 2000만대에서 1억대로 늘렸다. RFHIC도 180억원어치 CB를 발행한 지 1년 만에 전액 주식으로 전환했다. 투자자들이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4월9일 일제히 해당 CB에 대한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신주 상장예정일인 4월23일 이 회사 주가는 2만8150원
-
[마켓인사이트]‘5G 장비 대장주’ 케이엠더블유, 회사채시장 데뷔
코스닥 시가총액 5위인 통신장비업체 케이엠더블유가 회사채시장에 데뷔한다. 세계 5세대(5G) 네트워크 투자 증가로 수주물량이 늘자 생산에 필요한 ‘실탄’ 조달에 나섰다는 평가다.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케이엠더블유는 이날 1년 만기 회사채 440억원을 사모 방식으로 발행했다. 금리는 연 4.8%로 결정됐다. 같은 만기의 ‘BBB-’등급 회사채 평균금리(시가평가 기준 연 5.091%)보다 0.291%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대신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케이엠더블유는 1991년 설립된 통신장비 회사로 안테나, 필터 등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통신부품을 만들고 있다.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최근 글로벌 5G 네트워크 투자가 본격화된 데 힘입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 상반기 매출은 33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803억원으로 6년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주식시장에서도 5G 이동통신 시대의 수혜주로 주목받으면서 장기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케이엠더블유는 23일 코스닥시장에서 1800원(3.19%) 오른 5만83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올 들어 164% 뛰었다. 지난해 말 4147억원이던 시가총액이 2조2676억원까지 증가하며 시가총액 5위까지 비상했다. 케이엠더블유는 이번 채권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통신장비 수주물량이 대폭 늘어나자 연간 필터 생산목표를 2000만 대에서 1억 대로 지난달 늘려 잡았다. 생산물량 증가가 이어지면 원자재 조달 등에 필요한 자금도 늘어나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탄 확보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선 케이엠더블유가 회사채 발행
-
[마켓인사이트]케이엠더블유, 노키아와 글로벌 5G 통신장비 사업 협력
통신장비 전문 코스닥 상장사 케이엠더블유가 노키아와 손잡고 5세대(5G) 이동통신장비 시장을 공략한다. 케이엠더블유는 11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노키아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고 밝혔다. 김덕용 케이엠더블유 회장과 리스토 실라스마 노키아 이사회 의장이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두 회사는 이번 MOU를 계기로 5G 기술 개발에서 협력하고 해외 시장도 함께 개척하기로 했다. 김덕용 케이엠더블유 회장은 “국내 중견기업이 세계적인 통신장비기업 노키아와 통신장비 생태계 발전 및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앞서 두 회사는 5G 핵심 장비부품인 대용량 ‘다중입출력장치’를 개발했다. 전파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신호의 세기를 강화해주는 5G 장비용 핵심 부품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2016년 개발을 시작해 2년 만인 지난해 상용화에 성공하고 올해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에 나선 국내 이동통신 3사에 이 부품을 공급했다. 케이엠더블유는 앞으로 글로벌 5G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낼 계획이다. 노키아가 이미 공급 계약을 체결한 지역은 물론, 현재 5G 상용화를 준비 중인 국가들에 다중입출력장치를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김 회장은 “우리나라 5G 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케이엠더블유, 中 5G 통신장비시장 공략 본격화
≪이 기사는 04월02일(16:4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시장에 상자된 통신장비·부품업체 케이엠더블유가 중국 5세대(5G) 이동통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케이엠더블유는 중국 2위 통신장비업체 ZTE와 267억원 규모의 5G용 통신장비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말 32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도 맺어 최근 1개월 간 확보한 공급 물량은 총 약 300억원에 달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부품은 5G 통신장비에 걸맞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용량을 확보해주는 필터(MBF)다. 5G는 4G 대비 데이터 용량은 약 1000배 많고 속도는 200배 빠른 이동통신이다. 케이엠더블유가 공급하는 부품은 중국 내 5G 시범망 구축에 사용된다.중국 공업신식화부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5G 산업은 올해부터 2016년까지 약 200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7년간 세워야 하는 기지국 수도 1425만 개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으로 급증한 데이터를 제대로 소화하려면 인프라 확대가 선결돼야 해서다. 케이엠더블유는 이번에 공급하는 통신장비 부품이 지난 1월 ZTE로부터 ‘최고기술혁신상’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ZTE가 인텔과 퀄컴을 비롯한 글로벌 협력사 110곳을 초청해 지난해 사업성과를 소개하고 올해 사업계획을 밝히는 자리에서다.케이엠더블유 관계자는 “ZTE의 기술적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8개 협력사를 선정해 주는 상”이라며 “ZTE의 10개 필터 공급사 가운데 이 상을 받은 건 케이엠더블유가 유일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막 열리고 있는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5G 시장을 적극
-
[마켓인사이트] 기관이 통신장비사 케이엠더블유에 꽂힌 까닭
▶마켓인사이트 12월6일 오후 3시45분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시장 통신장비 업체 케이엠더블유의 유상증자 신주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대주주로부터 사들였다. 5세대(5G) 통신 출범을 맞아 이 회사의 성장성을 높이 평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케이엠더블유 창업자이자 최대 주주인 김덕용 대표이사 회장은 신주인수권 77만6347주 가운데 46만5808주를 지난달 29일 주당 2040원에 매각했다. 김 회장 부인인 김찬경 씨도 11만424주 중 6만6254주를 팔았다.약 10억원을 들여 이들의 신주인수원을 사들인 주체는 기관투자가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케이엠더블유는 시설 및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494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하고 있다. 이날 우리사주조합 청약을 시작했고, 7일 기존 주주 청약을 받는다. 주당 발행가액은 1만8250원이며 대신증권이 대표주관사다.IB업계 관계자는 “기관투자가 몇 곳에서 신주인수권을 입도선매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기존 주주 유상증자 청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케이엠더블유는 조달 자금의 상당 부분을 5G 시설투자에 쓸 계획이다. 안테나를 사용해 다양한 경로로 신호를 주고받게 해주는 ‘다중입출력장치’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5G는 4G 대비 데이터 용량은 약 1000배 많고. 속도는 200배 빠른 이동통신이다. 5G 전파는 지난 1일 처음 송출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통신사들의 인프라 확장 경쟁이 내년 초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김 회장은 “통신사들이 공격적인 인프라 확장에 나서면서 통신장비 시장 규모가 크게 커질 것”이라며 “내년 1
-
케이엠더블유, 7%대 금리로 사모채 100억 발행
≪이 기사는 02월23일(08:5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통신장비업체인 케이엠더블유가 연 7%대 금리로 사모 회사채를 발행했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케이엠더블유는 이날 1년 만기 회사채 10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연 7.5%로 확정됐다.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낮은 ‘BBB-’등급 회사채 평균금리(연 6.0%)보다도 1.5%포인트 높다.케이엠더블유는 1988년 세워진 통신장비업체로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통신장비 및 부품 등을 제조하고 있다. 스포츠 경기장 등에 쓰이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기기도 함께 만들고 있다. 지난해 1~3분기 매출은 16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7억원으로 4년만에 흑자전환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케이엠더블유, LED 조명 사업 분할
이 기사는 05월19일(16: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통신장비 전문기업 케이엠더블유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사업을 분할한다.케이엠더블유는 LED 사업부문을 분할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공시했다. 분할되는 회사가 분할 신설되는 회사(사명 '기가테라')의 발행주식 총수를 취득하는 물적분할 방식이다. 분할기일은 오는 7월1일.회사 관계자는 "LED 사업부문의 독립법인화를 통해 독립 및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회사 전반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분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