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KT CS, 작년 매출 5900억 역대 최대

    KT의 고객 서비스 업체 kt cs는 지난해 매출(별도 기준)이 5916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8% 늘어난 금액이다. 영업이익은 162억원으로 6.5% 증가했다.kt cs는 과거 114 번호 안내, 우선번호 안내(동일업종 내 우선번호 안내서비스 가입 업체부터 안내) 등을 주력으로 하던 회사다. 그러나 스마트폰 검색이 늘어나면서 지금은 관련 매출 비중이 각각 1.69%, 2.01%(작년 3분기 기준)로 급감했다.지금 이 회사의 주요 사업영역은 KT고객센터 및 외부업체 콜센터(컨택센터) 아웃소싱 운영이다. 두 개 분야를 합한 매출의 비중이 전체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콜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회사가 많았지만 지금은 아웃소싱이 늘고 있다. kt cs는 콜센터 운영에 필요한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구축·운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지난해 실적이 좋았던 데는 “인공지능(AI) 중심의 고객 서비스를 확장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 회사는 2021년 AI 전문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뒤 AI컨택센터(AICC)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컨택센터 사업 매출은 1405억원으로 전년(1030억원)보다 36% 늘었다.이상은 기자

  • KT CS, 역대 최대 매출 '5916억원'…"AI 서비스 통했다"

    KT CS, 역대 최대 매출 '5916억원'…"AI 서비스 통했다"

    KT의 고객 서비스 업체 kt cs는 지난해 매출액(별도 기준)이 5916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년 대비 7.8% 늘어난 금액이다. 영업이익은 162억원으로 6.5% 증가했다.kt cs는 과거 114 번호안내, 우선번호 안내(동일업종 내 우선번호 안내서비스 가입 업체부터 안내) 등을 주력으로 했던 회사다. 그러나 스마트폰 검색이 늘어나면서 지금은 관련 매출 비중이 각각 1.69%, 2.01%(작년 3분기 기준)로 미미한 수준이다. 지금 이 회사의 주요 사업영역은 KT고객센터 운영 및 외부업체 콜센터(컨택센터) 아웃소싱 운영이다. 두 분야를 합한 매출 비중이 전체의 3분의 1 가량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콜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회사가 많았지만, 지금은 아웃소싱이 갈수록 늘고 있다. kt cs는 콜센터 운영에 필요한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분야에서 적잖은 돈을 벌고 있다.특히 지난해 실적이 좋았던 데는 "AI 중심의 고객 서비스를 확장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 회사는 2021년 AI 전문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뒤 AI 컨택센터(AICC)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컨택센터 사업 매출은 1405억원으로 전년(1030억원)보다 36% 늘었다.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메타넷엠씨씨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 앵커PE 엑시트 시동

    콜센터 등 컨택센터 아웃소싱 회사인 메타넷엠씨씨(메타넷MCC)가 코스닥시장 상장 준비에 들어갔다. 메타넷엠씨씨에 투자한 사모펀드(PEF) 운용사 앵커프라이빗에쿼티(PE)는 메타넷엠씨씨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계기로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나설 예정이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메타넷엠씨씨는 빠르면 올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지난 9일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 메타넷엠씨씨 기업공개(IPO)의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가 맡았다. 메타넷엠씨씨는 콜센터를 비롯한 기업의 고객 컨택센터를 위탁운영하는 회사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효성그룹 계열의 효성ITX 등과 함께 컨택센터 아웃소싱 분야의 상위권 기업으로 꼽힌다. 금융권에서 계좌 개설 등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고, 배달·숙박 등 여러 분야에서 O2O(온·오프라인 연계)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가 컨택센터 수요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을 공모 과정에서 내세우게 될 전망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 정보 분석 및 대응 솔루션 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 계획이 향후 회사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시장의 관심사다. 회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매출 3247억원에 영업이익 173억원, 순이익 127억원을 냈다. 최대주주는 최영상 회장(지난해 말 기준 지분율 53.5%)이고 앵커PE가 2대 주주다. 최 회장과 앵커PE는 지난해 보유 지분 매각을 추진하다 중단하고, IPO로 방향을 틀었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