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메리츠제1호스팩, 상장예심 재청구…주주 바꿔 재도전

    메리츠제1호스팩, 상장예심 재청구…주주 바꿔 재도전

    메리츠증권의 첫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인 메리츠제1호스팩가 상장 예비 심사를 다시 청구했다. 지난 7월 심사를 청구했다가 이달 초 자진 철회한 지 불과 며칠 만이다. 최대주주가 변경된 점이 이번 재청구의 핵심 변화로 꼽힌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제1호스팩은 이날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했다.지난 7월 30일 처음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했으나 이달 초 거래소 심사 도중 철회했다. 거래소는 통상 일반 IPO 기업과 달리 재무 안정성보다는 스팩의 주주 구성과 지배구조 등을 주요 심사 항목으로 본다.스팩은 기업 인수합병(M&A)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 명목상 회사다. 증권사가 설립하지만 증권사는 스팩 전환사채(CB)만 보유하고, 나머지 발기인들이 재무적 투자자(FI)으로 참여해 최대주주에 오르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증권사가 스팩 지분의 5% 이상을 직접 보유하면 금산분리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이번 재청구 과정에서는 주요 발기인이자 최대주주 구성이 바뀌었다. 앞서 메리츠제1호스팩의 최대주주는 네오영이었다. 네오영은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의 아들 최인국 씨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다.새로 제출된 예비심사서류에는 최대주주가 유한회사 그린노아로 변경됐다. 김태엽 어펄마캐피탈 대표가 대표를 맡고 있는 곳이다.IB 업계에서는 스팩 주주 구성이 상장 적격성 판단의 주요 요건 중 하나인 만큼, 거래소의 상장 심사 진행 중 의견을 반영해 주주 구성을 정비한 것으로 보고 있다.최근 들어 스팩이 거래소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23년까지만 해도 스팩 예비심사 철회는 연간 1건 수준에 그쳤지만, 2024년에는 2건, 올해

  • UCK-MBK컨소시엄, 오스템임플란트 인수 성공.. 자진 상폐 추진할 듯

    UCK-MBK컨소시엄, 오스템임플란트 인수 성공.. 자진 상폐 추진할 듯

    사모펀드(PEF) 운용사 UCK파트너스-MBK파트너스 컨소시엄이 주식 공개매수를 통해 국내 1위 임플란트 제조사 오스템임플란트 인수에 성공했다. 그간 최대주주에게만 돌아갔던 경영권 프리미엄을 소액주주와도 공유하는 이례적인 인수합병(M&A) 사례다. 내년도 의무공개매수제도를 앞두고 공개매수를 통한 경영권 인수가 트렌드로 자리잡을지 주목된다.UCK컨소시엄은 24일 특수목적법인(SPC)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지난달 24일부터 한 달간 진행해 온 오스템임플란트 주식 공개매수를 종료했다. 공개매수로 확보한 지분은 최대 목표치로 제시했던 잠재발행주식총수의 71.8%에 인접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주당 인수가격은 19만원이다. UCK컨소시엄이 최종 확보하게 되는 우호 지분은 최규옥 회장 및 특수관계인 지분 18.9%를 포함해 90% 안팎까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는 오는 28일 UCK컨소시엄이 대금을 지급하는대로 최종 마무리된다.최 회장은 9.6%를 보유한 2대 주주로 남게될 예정이다. 최 회장은 앞서 보유 지분 18.9% 중 9.3%를 컨소시엄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거래에 관여한 관계자는 “공개매수 막바지에 기관은 물론 소액 주주의 참여 열기가 높아지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며 “정확한 수치를 집계해봐야겠지만 UCK컨소시엄이 안정적인 지분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공개매수는 초반부터 흥행이 예고됐다. 올해 초 주당 13만원 안팎 수준이었던 주가는 공개매수 첫날부터 공개매수 가격과 비슷한 18만6300원까지 치솟았다. 전날보다 14.65% 올랐다. 이후에도 19만원을 넘지 않은 채로 18만원 안팎 수준을 오갔다. 마감날인 이날은 전일 대비 2.48% 빠진 17만630

  • '괴짜' 경영인 최규옥 회장이 PEF에 매각 결단한 이유는[김채연의 딜 막전막후]

    '괴짜' 경영인 최규옥 회장이 PEF에 매각 결단한 이유는[김채연의 딜 막전막후]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은 ‘괴짜’ 경영인으로 유명하다. 외환위기 시절이었던 1997년 개인 치과병원 원장을 하다가 갑자기 진료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뛰어든 것만 봐도 그렇다. 행정 시스템이 개선되면 진료 효율성을 높일텐데라는 아쉬움을 직접 해결하려 나섰다.그렇게 사업가로 변신한 최 회장은 더 원대한 꿈을 꾸었다. 2000년대 초반 임플란트 불모지였던 한국 시장을 개척하는 것. 이를 통해 오스템임플란트를 최고의 회사로 키우겠다는 일념이었다. 최 회장이 지난 20여년간 임플란트 분야에 전폭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지속한 결과 국내 1위로 키워냈다.위기는 갑자기 찾아왔다. 2021년 말 2215억원에 이르는 최악의 횡령 사건이 터지면서다. 최 회장이 회사를 매각할 것이란 예상은 이 때부터 있었다. 하지만 쉽지 않았다. 최 회장을 만나 매각을 논의했던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은 하나 같이 혀를 내눌렀다. "말도 안되는 프리미엄을 부른다" "주변에서 들은 것보다 더 괴팍하다" "괜히 떠보는 거지 실제로는 팔려는 마음이 없는거 같다" 등등 소문이 많았다. 지난달 매각 발표에 깜짝 놀라는 이들이 많았다. 최 회장은 돌연 경영권 매각을, 그것도 MBK파트너스-유니슨캐피탈코리아(UCK) 컨소시엄에 판 배경은 무엇일까.    김수민 대표, 30여번의 만남 끝에서울대 치과대학 출신의 최 회장은 자수성가한 경영인이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전신은 최 회장이 1997년 세운 치과용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디앤디시스템이다. 이후 2000년 우연한 계기에 토종 임플란트 회사를 인수하면서 임플란트 사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기존의 보철 치료 방식인 틀니, 브릿지 방

  •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단독범행' 자백했지만…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단독범행' 자백했지만…

    회삿돈 2215억원을 횡령한 오스템임플란트 직원 이모씨(45·사진)가 검찰에 구속 송치됐다. 이씨는 경찰 수사 과정에서 “윗선 개입 없이 단독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그런 만큼 아직까지는 단독 범행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시가총액 2조원을 웃도는 코스닥시장 20위권 기업에서 직원 한 명이 거액을 빼돌렸다는 점에서 경찰은 이씨의 진술과 관계없이 윗선 지시와 회사 내 공범 여부에 대해 수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경찰, 일단 단독 범행에 수사 초점서울 강서경찰서는 14일 이씨에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업무상 횡령) 혐의를 적용해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넘겼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는 최근 경찰 조사에서 “개인적으로 금품을 취득하기 위해 단독으로 저지른 범행”이라고 진술했다. 앞서 이씨 측은 “사내 윗선이 범행을 지시해 횡령금으로 산 금괴 절반을 건넸다”고 주장했으나 검찰 송치를 앞두고 입장을 번복했다.이씨는 오스템임플란트 재무관리 직원으로 일하며 회삿돈 총 2215억원을 빼돌려 개인 주식 투자 등에 쓴 혐의를 받고 있다. 주식 투자에서 손실을 본 이씨는 1㎏짜리 금괴 851개(680억원 상당)를 매입해 가족 주거지에 숨겼다. 75억원가량의 부동산을 부인과 처제 명의로 사들이기도 했다.경찰은 이씨의 단독 범행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추가 수사를 통해 윗선 지시, 공범 여부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최규옥 회장과 엄태관 대표는 횡령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강서경찰서에 고발된 상태다.이씨는 작년 10월 미수거래로 동진쎄미켐 주식 391만7431주를 사들인 뒤 회사에서 빼돌린 돈 1430억원으로 대금을 냈다. 매입한 지분은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