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하나은행, 4억달러 글로벌본드 발행 성공
글로벌본드 발행에 나선 하나은행이 모집액의 10배에 가까운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글로벌본드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동시 발행돼 유통되는 채권이다. 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3년 만기 글로벌본드 3억5000만달러(약 4200억원)어치 발행을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 결과 해외 125개 기관투자가가 총 34억달러의 매수주문을 넣었다. 전체 금액의 68%가 아시아에서 들어왔으며 나머지 32%는 미국(28%)과 유럽중동아프리카(4%)에서 들어왔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 HSBC, UBS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하나은행은 대규모 투자수요가 모이자 발행금액을 4억달러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자금 조달비용도 당초 예상보다 절감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글로벌본드 발행금리는 3개월 리보(Libor 런던 은행간 대출)보다 0.7%포인트 높은 연 2.81% 수준으로 결정됐다. 희망금리 대비 0.3%포인트 낮은수준이다. 이 은행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다섯 번째로 높은 ‘A+’(S&P 기준)다. 하나은행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다음달 만기 도래 예정인 3억5000만달러 해외 채권 상환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국내 대표 시중은행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이 해외 기관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분석이다. 하나은행은 2017년(2조6755억원)과 지난해(2조8709억원) 2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올해 상반기에도 1조440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탄탄한 현금창출능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6월 말 총자산 규모는 356조6450억원으로 2015년 외환은행과의 합병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SK하이닉스, 12년만의 해외채권 발행 ‘흥행’…한일 무역갈등 우려 극복
12년 만에 해외 채권 발행에 나선 SK하이닉스가 모집액의 11배가 넘는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반도체업황 부진과 한·일 무역갈등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를 딛고 흥행에 성공했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5년 만기 해외 채권 3억달러(약 35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해외 196개 기관투자가가 35억달러(약 4조17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올해 한국기업이 해외에서 발행한 외화채권 중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트스위스, BNP파리바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SK하이닉스는 폭발적인 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5억달러(약 5900억원)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자금 조달비용도 기대 이상으로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채권 발행금리는 미국 5년 만기 국채금리(연 1.532%)에 1.625%포인트를 더한 연 3.157%로 결정됐다. 희망금리보다 0.27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 회사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무디스 기준으로는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9번째로 높은 Baa2(부정적), S&P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투자적격등급인 BBB-(안정적)다.한국 반도체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두터운 신뢰를 확인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반도체 가격하락,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으로 올해 들어 실적이 크게 꺾였다. 이 회사의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은 2조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줄었다. 하반기 들어선 한·일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영업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강화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잇따랐다.그럼에도 글로벌 2위 메모리반도체업체로 매년
-
[마켓인사이트]산은 보증받은 대한항공, 3억달러 해외채권 발행 성공
3억달러(약 3600억원)어치 해외채권 발행에 나선 대한항공이 모집액의 세 배가 넘는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산업은행의 지급보증을 받아 채권 신용도를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한한공이 3년 만기 보증채권 3억달러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아시아 및 유럽 투자자들을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1억달러(약 1조33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산업은행, 크레디트스위스, UBS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산은의 보증에 힘입어 채권 신용등급을 끌어올린 덕분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이번 채권의 신용등급을 산은과 같은 ‘AA’로 매겼다.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등급으로 한국 정부 신용도와도 같다. 가파른 금리 하락세 속에서도 글로벌시장에서 한국 우량등급 채권은 여전히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신흥국 채권과 비교해 신용도는 우량하면서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채권보다는 금리가 높아서다. 대한항공은 해외 투자자들이 매수경쟁을 벌인 데 힘입어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번 보증채권의 금리는 3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에 0.7%포인트를 가산한 연 2.124%로 결정됐다. 이 회사가 지난달 말 국내에서 발행한 같은 만기의 무보증채권의 금리는 연 3.233%였다. 대한항공은 채권금리가 가파르게 떨어지자 하반기 들어 더욱 공격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달 말 원화채권을 발행해 2500억원을 조달했고 다음달에는 항공권 판매대금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50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증권(ABS)를 발행할 예정이다. 이번 해외채권까지 합치면
-
[마켓인사이트]수은, 공적수출신용기관 최초 멕시코서 채권 발행 성공
수출입은행이 전세계 공적수출신용기관 중 최초로 멕시코시장에서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수출입은행은 2일 멕시코 현지에서 7년 만기 70억 페소(약 4400억원) 규모 채권 발행을 성사시켰다고 발표했다. 모건스탠리와 HSBC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 멕시코에서 외국 공적수출신용기관이 현지 통화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멕시코 금융당국은 그동안 외국 중앙정부나 국제개발은행에만 채권 발행을 허용했다.현지 기관투자가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주문을 낸 덕분에 수은은 당초 예상보다 자금 조달비용을 절감하는데도 성공했다. 이번 채권 금리는 수은이 투자자들에 처음 제시했던 수준보다 0.1%포인트 이상 낮은 연 7.93%로 결정됐다. 수은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번째로 높은 'AA'다.수은은 멕시코에서 채권 발행에 성공하면서 자금 조달처를 한층 더 넓혔다는 평가다. 이 은행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첨단소재, ICT융합 등 혁신 성장사업에 투자 중인 기업들의 해외 진출 지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수은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확실한 가운데서도 틈새시장인 중남미 지역에서 대규모 투자수요를 모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멕시코 정부보다 신용도가 우량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금리를 받는 채권이란 점에 매력을 느낀 현지 기관들이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포스코인터내셔널, 기준금리보다 낮은 이자로 채권 발행
≪이 기사는 07월04일(16: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이 넉넉한 투자수요에 힘입어 기준금리보다 낮은 이자로 채권을 발행했다. 처음으로 찍는 7년물 금리도 기대 이상으로 낮췄다는 평가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4일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모든 만기구간에서 연 1%대 금리로 발행했다. 3년물(700억원)은 연 1.676%, 5년물(800억원) 연 1.729%에 발행하면서 기준금리(연 1.75%)보다도 싼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설립 이후 처음으로 발행하는 7년물(500억원) 금리는 연 1.954%로 결정됐다. 이 회사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다. 기관투자가들의 적극적인 매수세에 힘입어 이자비용을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이번 회사채 발행을 위해 지난달 26일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들어온 매수주문 물량은 총 7900억원으로 모집액(1500억원)의 다섯 배가 넘었다.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세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낸 ‘흥행비결’로 꼽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1분기 매출 6조1751억원, 영업이익 1644억원을 거두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투자실탄 끌어모으는 미래에셋대우, 또 다시 해외채권 발행 나선다
≪이 기사는 04월17일(09: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래에셋대우가 6개월 만에 다시 해외 채권 발행에 나선다. 최근 신용공여 및 직접투자를 늘리면서 사업에 필요한 실탄을 적극적으로 조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다음달 초 해외 투자자들을 상대로 5억달러(약 5700억원) 이상의 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3년과 5년으로 나누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 회사는 다음주 투자설명회(NDR:Non-deal Roadshow)를 거쳐 이달 말 해외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하기로 했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 HSBC, 산업은행 등이 발행 주관을 맡고 있다.최근 자금조달 규모가 부쩍 늘고 있다는 평가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해 11월 국내 증권사 최초로 해외에서 3억달러(약 34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했다. 그 해 국내에선 유상증자로 7000억원, 채권 발행(후순위채 5000억원 포함)으로 1조원을 조달했다. 올해 들어서도 1분기에만 1조원어치 채권을 발행하는 등 대규모 자금조달을 이어가고 있다. 투자실탄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본시장을 드나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해 영국 코스모폴리탄 호텔, 영국 캐논브릿지 빌딩, 홍콩 더센터 빌딩 등 대규모 해외 부동산투자에 참여했다. ADT캡스(리파이낸싱)과 코웨이 등 인수금융 주선도 빠르게 늘리고 있다. 이 증권사의 지난해 4분기 직접투자 규모는 5조8000억원으로 세 분기 연속 5조원을 웃돌고 있다. 다만 큰 폭의 투자확대로 자본적정성이 악화하고 있는 것은 부담으로 꼽힌다. 미래에셋대우의 지난해 말 기준
-
[마켓인사이트]한숨 돌린 광물자원공사, 멕시코 자회사 해외채권 발행 성공
광물자원공사의 멕시코 자회사인 MMB의 해외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당장 만기가 눈앞인 차입금 상환재원을 확보하게 되면서 한숨 돌리게 됐다는 평가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MMB가 4억달러(약 4500억원) 규모 채권 발행을 위해 전날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45개 해외 기관투자가가 총 28억5000만달러(약 )의 매수주문을 냈다. 전체 주문의 88%가 아시아에서, 나머지 12%는 유럽에서 들어왔다.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아그리콜, HSBC, JP모간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한국 정부의 공기업 지원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은 것이 흥행 비결로 꼽힌다. 광물자원공사는 이번 채권에 MMB가 상환을 못하게 되면 대신 갚겠다는 지급보증을 섰다. 해외 투자자들은 광물자원공사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는 상태임에도 한국 정부의 지원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원리금을 제 때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아래 공기업 대부분에 정부와 같은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다만 광물자원공사의 경우 재무구조가 상당히 악화된 것이 반영돼 한국 정부(S&P 기준 AA)보다 2~3단계 낮은 등급을 받았다. 무디스는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다섯 번재인 ‘A1’, S&P는 여섯 번째인 ‘A’로 매기고 있다. 넉넉한 투자수요가 모인 덕분에 MMB는 당초 예상보다 자금조달 비용도 절감하게 됐다. 이번 채권의 발행금리는 당초 희망금리 대비 0.18%포인트가량 낮은 연 3.293%로 결정됐다. MMB는 채권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다음달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4억6000만달러)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다. 5조원이 넘는 부채를
-
[마켓인사이트]역대급 주문 쏟아진 LG화학 글로벌본드…한국 민간기업 사상 최대기록 경신
LG화학이 폭발적인 투자수요가 몰린데 힘입어 한국 민간기업 사상 최대인 15억달러(약 1조7000억원)어치 글로벌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글로벌본드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채권이다. LG화학은 해외에서도 널리 알려진 한국 대표 화학회사라는 점과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배터리사업의 성장세를 앞세워 해외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평가다.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15억달러 규모 글로벌본드 발행을 위해 지난 8일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해외 기관투자가 580여곳이 100억달러(11조4500억원) 이상의 매수주문을 냈다. 유로화로 발행되는 4년물(5억유로)에 약 240개 기관, 달러화로 발행되는 5년6개월물과 10년물(각각 5억달러)에 약 340개 기관이 매수의향을 보였다. 투자자 수와 매수주문 금액 모두 한국기업 사상 최대기록을 달성했다.이 회사는 이번 글로벌본드는 전액 그린본드 형태로 발행한다는 점에서 이 시장에서도 새 역사를 쓴다. 그린본드는 발행목적이 친환경 투자로만 한정된 채권이다. LG화학은 전 세계 화학회사 중 최초로 그린본드를 발행했다는 기록과 함께 한국기업 사상 최대 그린본드 발행금액을 경신한다. 지금까지 한국기업의 최대 그린본드 발행금액은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의 6억달러(약 6800억원)였다. 이 회사는 이번 채권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전기차 배터리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탄탄한 재무상태를 가진 국내 대표 우량 화학회사라는 점이 해외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LG화학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A-’(S&P 기준)로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일곱
-
[마켓인사이트]수출입은행, 사상 최저금리로 유로화채권 발행
≪이 기사는 03월19일(09: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수출입은행이 사상 최저금리로 해외시장에서 유로화 채권을 발행한다. 신용도가 우량한 국책은행이란 점을 눈여겨본 해외 투자자들이 경쟁적으로 매수에 뛰어든 것이 흥행 비결로 꼽힌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이 5년 만기 유로화채권 7억5000만유로(약 96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20개 해외 기관투자가가 총 19억유로(약 2조44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전체 주문 중 유럽과 중동지역이 각각 46%를 차지했고 나머지 8%가 아시아에서 들어왔다. 소시에테제네럴 스탠더드차타드증권 JP모간 UBS가 주관을 맡았다.수출입은행은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낮은 금리로 매수주문을 낸 덕분에 당초 예상보다 이자비용을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이번 유로화본드는 유로화 미드스와프 대비 0.32%포인트 높은 연 0.375%로 발행될 예정이다. 국내 기업이 발행하는 유로화 채권 중 가장 낮은 금리다. 한국에서 가장 신용도가 우량한 국책은행이란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수출입은행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다. 한국 정부의 신용도와 같다. IB업계 관계자는 “적정금리가 연 0.43% 수준으로 평가받았던 것을 고려하면 조달비용이 꽤 저렴하게 결정된 것”이라며 “글로벌시장에서 한국 채권 수요가 여전히 풍부하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