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이지엔터, 자회사 와이지플러스 지분 늘렸다
와이지엔터테인먼트가 자회사 와이지플러스의 주식 270만주를 181억7100만원에 취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로써 와이지플러스 지분율은 30.22%(1917만124주)가 됐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와이지플러스 보유 지분율은 25.98%였다.와이지엔터테인먼트측은 "종속회사 지배력 강화를 통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주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구주를 현금으로 취득했고 이사회 결의일과 취득일 모두 30일이다. 와이지플러스는 광고대행 및 음반유통업을 하고 있다.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액은 2552억원, 영업이익은 107억원이었다. 올 상반기엔 매출액 1806억원, 영업이익 199억원을 올렸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코아시아옵틱스, 코아시아CM비나 최대주주에 올라
카메라모듈 및 렌즈업체 코아시아옵틱스가 베트남 업체 코아시아CM비나의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찾는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다.코아시아옵틱스는 23일 코아시아CM비나의 주식 796만4684주(18%)를 350만달러(약 41억원)에 추가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획득으로, 증자가 마무리되면 코아시아옵틱스는 코아시아CM비나 지분 46.47%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된다. 지난 7월 인수한 지분까지 포함하면 총 지분율은 56.74%다.코아시아CM비나는 원래 코아시아그룹 소속이던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의 베트남 생산법인이다. 코아시아그룹이 에이치엔티일렉트로닉스를 매각했지만 코아시아옵틱스가 지난 7월 코아시아CM비나의 지분을 인수한 것이다.회사측은 "최대주주 지위 확보를 통한 카메라 모듈 사업 수직계열화 구조를 확립하는 것은 물론, 고화소 고성능 카메라 모듈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투자"라며 "후면카메라 모듈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코아시아CM비나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용 카메라에 모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다. 코아시아그룹은 코아시아옵틱스를 주축으로 광학렌즈와 카메라모듈을 함께 제조하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된다. 코아시아CM비나는 베트남에서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코아시아CM비나의 실적은 오는 4분기부터 코아시아옵틱스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코아시아CM비나는 지난해 매출액 3038억원을 기록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코스닥 상장하는 핑거, '핑거 패밀리' 마이앨리 지분 취득 나서
≪이 기사는 01월15일(14: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이달 코스닥에 상장하는 핀테크 업체 핑거가 마이앨리 지분을 43%가량 취득한다. 향후 경영권 취득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앨리는 핑거 출신이 세운 회사다. 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핑거는 25억원 투자해 마이앨리 지분 43%가량을 취득할 예정이다. 마이앨리는 소상공인이 매출을 미리 정산하고, 매출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을 서비스하는 업체다. 지난해 7월 설립됐지만 그해 9월 신한은행 및 로지올(배달 대행 서비스 ‘생각대로’ 운영사)과 제휴를 맺는 등 빠르게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마이앨리의 ‘퀵 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대 7일까지 걸리던 매출 정산 시점을 매출 발생 다음 날로 줄일 수 있다. 신생 업체인 마이앨리가 대형은행인 신한은행과 바로 제휴를 맺을 수 있던 배경에는 핑거의 도움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핑거는 은행의 모바일 앱을 개발해주는 등 각종 금융 솔루션을 개발해 공급하는 업체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과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핑거가 마이앨리 창업 초기부터 협업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핑거와 마이앨리의 연결고리는 김우식 마이앨리 대표다. 김 대표는 2011~2014년 핑거에서 컨버젼스본부장을 지냈다. 이후 핑거가 사내 벤처로 세운 ㈜핀테크 대표와 마이크레딧체인 대표를 거쳐 마이앨리를 창업했다. 마이앨리 최대 주주는 김 대표이며, 자본금은 3억원이다. 핑거는 ‘F1팀’이라는 사내 벤처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신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핑거 자회사들인 ㈜핀테크, 머니텍, 핑
-
[마켓인사이트]반도그룹, 한진칼 지분 5.06% '깜짝 취득'
부산 기반의 중견 건설사인 반도그룹이 계열사들을 동원해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의 지분 5.06%를 취득했다. 반도그룹은 ‘단순 투자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한진칼 2대 주주인 행동주의 펀드 KCGI와의 연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대호개발과 한영개발, 반도개발은 8일 한진칼 지분 총 5.06%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대호개발이 2.46%, 한영개발과 반도개발이 각각 1.75%, 0.85% 지분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반도그룹 계열사인 이들 3곳은 지난달 30일 기준 한진칼 주식 총 295만5000주(4.99%)를 보유하고 있다가 한영개발이 지난 1일 4만주(0.07%)를 장내매수하면서 지분 5% 이상 보고 의무가 발생했다. 한진칼 지분 취득 배경은 경영참가를 염두에 두지 않은 “단순 취득”이라고 공시했다.대호개발과 한영개발은 반도종합건설의 100% 자회사다. 반도종합건설은 그룹 주력회사인 반도건설과 함께 지주회사 반도홀딩스의 지배를 받고 있다. 반도개발의 경우 권홍사 반도그룹 회장의 아들 권재현 씨가 최대주주인 골프장 운영업체다. 일각에선 반도그룹이 한진칼의 2대주주인 KCGI와 연대해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을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반도그룹이 KCGI와 사전 협의를 거쳐 매입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일명 ‘강성부 펀드’로 불리는 행동주의 사모펀드인 KCGI는 한진그룹에 재무구조 개선 등을 요구하며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KCGI의 한진칼 지분율은 최근 공시 기준 15.98%다. 반도그룹은 한진칼 지분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는 자금여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유보라’ 브랜드로 알려진 반도건설
-
[마켓인사이트]美 델타항공, 한진칼 지분 5%대로 늘려
≪이 기사는 08월01일(10: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국 델타항공이 한진칼 지분을 5%대로 확대했다.델타항공(Delta Air Lines)은 1일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 5.13%를 확보했다고 공시했다. 지난달 30일 13만5000주를 장내 추가매수해 현재 모두 303만800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당 취득 단가는 2만6100원이다. 델타항공은 “단순 지분 취득”이라고 밝히면서 “경영권에 영향을 주기 위한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경영참가목적 없음’ 확인서를 함께 제출했다. 앞서 델타항공은 지난 6월21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한진칼 지분 4.3%를 매입했다고 전격 발표했다. 사모펀드(PEF) KCGI(일명 강성부 펀드)가 한진칼 지분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오너 일가의 ‘백기사’ 역할을 자처해 큰 관심을 모았다. 규제 당국의 허가를 받아 지분율을 10%까지 확대할 것이란 계획도 함께 알렸다.델타항공은 지분투자 배경을 알려달라는 KCGI의 요구에 지난 9일 답변서를 보내고 “한진칼 투자는 사업상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고 심화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기업의 미래와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장기 투자자로서 참여했다”고 밝혔다.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