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단독] 우리금융, 우리카드 우리종금 자회사 편입 승인‥ 9월 지주사 체제 완성
≪이 기사는 06월21일(16:0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우리금융지주가 계열사인 우리카드와 우리종금을 1조 6000억원에 사들여 오는 9월까지 자회사로 편입한다. 지난 1월 지주사 체제로 출범한지 8개월만에 완전한 금융지주 체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자회사 전환으로 우리은행이 보유하게 될 지주 주식은 ‘클럽딜’(소수의 기관을 모집해 시간외 또는 장외 통매각하는 방식) 등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매각키로 했다. 그동안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걷히면서 우하향했던 우리금융 주가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리카드·우리종금 자회사 편입 이사회 의결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은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계열사인 우리카드와 우리종금을 우리금융의 자회사로 전환하는 안을 의결했다. 우리은행이 보유한 우리카드 지분 100%와 우리종금 지분 59.8%를 지주가 약 1조6000억원에 모두 인수한다. 우리카드는 지주가 보유한 현금 5983억원과 자사주 신주 약 5.83%(4210만주,약 6000억원)을 더한 약 1조2000억원에, 우리종금은 현금 3927억원에 사들인다. 자회사 편입 목표시점은 오는 8~9월로 잡았다. 우리금융은 올 초부터 우리카드와 우리종금을 자회사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왔다. 그러나 정확한 방식이나 시점을 정하지 않아 일부는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 앞서 우리금융은 올 1월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6개 계열사를 자회사로 편입했다. 그러나 재원 마련 과정에서 ‘오버행’(주식 물량 대량 출회 가능성) 리스크가 생길 수 있는 우리카드와 우리종금은 우리은행의 자회사로 남겨뒀
-
[마켓인사이트]SKC, 세계 1위 자동차 전지용 동박업체 KCFT 인수
≪이 기사는 06월12일(17:2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그룹의 화학 계열사인 SKC가 글로벌 사모펀드(PEF)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로부터 세계 1위 자동차 전지용 동박업체 케이씨에프티테크놀로지(KCFT)를 인수한다. 1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SKC는 KKR이 보유한 KCTF 지분 100%를 인수키로 했다. 거래금액은 1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C는 자체 보유 현금과 회사채 발행 등으로 5000억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7000억원 가량을 시중 은행이나 증권사 등 금융사들로부터 인수금융 형태로 지원 받을 예정이다. KCFT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 이온전지용 동박을 생산하는 업체로 지난해 기준으로 전세계 동박 시장 점유율 15%를 차지하며 글로벌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초 KKR이 LS그룹으로부터 LS오토모티브 지분 47%를 사들일 때 함께 인수했다. KKR은 최근까지 기업공개(IPO)를 통한 자금 회수도 검토했지만 SKC가 지분 전체를 사들이기로 하면서 경영권 매각으로 선회했다. SKC는 KCFT 인수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주력 사업인 필름사업, 화학사업과 성장 사업으로 분류되는 반도체소재, 뷰티헬스케어(BHC)에 이어 사업군을 다양화하게 됐다는 평가다. 필름사업의 부진한 수익을 만회하는 한 편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 장기적으로는 화학사업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적인 인수합병(M&A)이라는 평가다. ○미래 먹거리 획득…그룹 차원서 자동차 투자 늘려 SKC는 폴리우레탄의 원료를 생산하는 화학사업와 산업용 폴리에스터를 제조하는 필름사업, 반도체소재나 뷰티헬스케어(BHC) 등 성장사업 등으로 나뉘어져있다. 필름사
-
[마켓인사이트]SK이노, ADNOC 지분 인수전 자문사에 씨티
≪이 기사는 03월04일(08:3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이노베이션은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ADNOC) 지분 인수전의 자문사로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을 선정했다.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ADNOC는 정유사업을 하는 자회사 ADNOC 리파이닝의 지분 매각을 통해 아시아에서 전략적 파트너를 찾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이탈리아 에너지 회사 ENI와 오스트리아 에너지 회사 OMV에 20%, 15%씩 총 35%의 지분을 팔기로 결정했다. 아시아 에너지 회사로부터도 투자를 받기로 하고 입찰을 진행 중이다. 매각 대상은 ADNOC 리파이닝 지분 약 10%다. SK도 입찰 참여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씨티를 인수자문사로 선정했다. ADNOC는 상반기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전망이다.ADNOC 리파이닝은 아부다비 인근에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정유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하루에 92만2000배럴을 생산한다. 이 회사는 투자받은 돈으로 공장을 증설해 2025년까지 정유 제품 생산량은 두 배, 화학 제품 생산량은 세 배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지로 수출도 늘리기로 했다. 이 같은 사업 확장을 위해 유럽과 아시아의 전략적 투자자를 찾아 나섰다. 지분 10%를 인수하면 이사회 의석도 확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SK이노베이션이 아시아의 다른 경쟁사들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ENI와 OMV는 ADNOC 리파이닝 지분 35%를 58억달러(약 6조5000억원)에 사들였다. 이보다 낮은 가격에 인수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10% 지분 가치가 최소 1조9000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SK는 이 가격이 다소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
SK가 인수하려던 중국 상하이세코 지분, 시노펙이 인수
이 기사는 04월28일(18: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SK종합화학이 영국 BP가 보유하고 있는 중국 석유화학 업체 상하이세코 지분 50%를 인수하려던 계획이 무산됐다. 영국 BP는 28일 시노펙이 BP 보유 지분 50%에 대한 우선매수 청구권을 행사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도 이날 자회사인 SK종합화학이 상하이세코 지분 인수를 추진했지만 최종적으로 인수자로 선정되지 못했다고 공시했다.상하이세코는 영국 BP와 중국 국영 석유화학회사 시노펙, 중국 상하이석유화학공사가 각각 50%, 30%, 20%씩 출자해 설립한 종합 석유화학회사다. 상하이 산업단지 내 8개 공장에서 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부타디엔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BP는 유가 급락으로 재무상태가 악화되자 지난해 상하이세코 지분을 시장에 내놓았다.이 지분에 대한 우선매수권은 시노펙이 보유하고 있었다. SK를 포함한 인수 후보들이 제시하는 인수 희망가격을 살펴본 후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지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SK종합화학은 이 지분을 인수하면 시노펙과 합작 파트너 관계를 맺고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인수를 추진해왔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