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B 전문회사 티엘비, 예상시가총액 1633억 제시
코스닥 상장을 앞둔 인쇄회로기판(PCB) 전문회사 티엘비가 예상시가총액 1633억원을 제시했다. 이 회사는 지난 9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고 오는 30일 기관 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받는다. 희망공모가격은 3만3200~3만8000원, 공모금액은 332억~380억원이다. 총 100만주를 공모한다. 이 중 구주매출 11만주가 포함돼 있다. 최대주주인 백성현 대표와 가족이 11만주의 내놓아 공모가 하단 기준 36억5200만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상장예정주식수 492만주 중 보호예수 및 의무예탁 수량을 제외한 24.11%(118만6000주)가 상장 직후 시장에 나올 수 있다. 티엘비는 적정기업가치를 2397억원로 산정했다. 여기에 할인율 22.06~31.85%를 적용해 상장 직후 예상시가총액 1633억~1870억원을 제시했다.주가수익비율(PER) 16.43배를 적용해 공모가를 계산했다. PCB가 주력 사업인 코리아써키트·심텍·타이거일렉 등 3사를 비교기업으로 선정해 2020년 3분기 당기순이익을 연환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PER 평균치를 정했다. 티엘비는 이번 공모로 조달한 자금을 3D프린팅, 5G, 반도체 테스트 등 신규사업을 위한 라인 구축에 투입할 계획이다.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491억원, 영업이익 111억원, 당기순이익 9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2%,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4%, 193% 급증했다.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올해 3분기까지의 매출은 1425억원으로 작년 전체 매출에 근접했다. 영업이익(134억원)과 당기순이익(109억원)은 이미 지난해를 넘어섰다.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1일 양일간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내달 3~4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예정 시기
-
PCB 전문기업 티엘비, 코스닥 상장 증권신고서 제출
≪이 기사는 11월09일(17:4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PCB 제조 전문기업 티엘비가 9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티엘비는 2011년 설립된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전문기업이다. PCB는 모든 전자제품에 탑재되는 기판으로, 각종 전자 부품들을 설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기계적으로 부품들을 고정 및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회사의 주요 제품은 메모리 모듈 PCB와 SSD 모듈 PCB, 반도체테스터 PCB 등이다. 특히 지난 2011년 국내 최초로 SSD PCB의 양산 체계를 구축해 SSD 시장을 선도하는 국내외 대형 반도체 기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이 회사는 2015년 신공장을 설립해 품질을 안정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2016년 ‘제53회 무역의 날 1억 불 수출탑 수상’, 2018년 국내 PCB 기업 최초 ‘월드 클래스 300 기업’ 선정,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전문기업 인증’ 등을 통해 강소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백성현 티엘비 대표이사는 “당사의 본격적인 성장기에 접어든 현재 시점이 상장의 최적기라 판단했다”며, “공모 자금은 DDR5 메모리 모듈 PCB와 기업형 SSD 모듈 PCB, 3D 프린팅을 이용한 PCB 전용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공모주식 수는 100만주, 희망공모가격은 3만3200~3만8000원이다. 오는 11월 30일~12월 1일 양일간 수요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12월 3~4일 이틀 동안 일반공모 청약을 실시할 계획이다. 상장 예정 시기는 오는 12월 중이며 대표 주관사는 DB금융투자다.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지놈앤컴퍼니, 증권신고서 제출... 연내 상장 예정
면역항암제 개발사 지놈앤컴퍼니는 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들어갔다. 지놈앤컴퍼니는 신속 이전상장제도(패스트트랙)를 적용받는다. 패스트트랙은 일정 조건을 갖춘 코넥스 시장 우량 기업에 대해 코스닥 예비심사 기간을 45영업일에서 30영업일로 줄여주는 제도다.이번 상장을 위해 공모하는 주식수는 200만주로, 희망 공모가 밴드는 3만6000~4만원이다. 공모 예정 금액은 720억원~800억원이다. 오는 30일과 내달 1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내달 7일~8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연내 상장이 목표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지놈앤컴퍼니는 2015년 설립됐다. 항체연구와 유전체기술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바이옴(장내미생물)을 활용한 의약품을 개발하는 것이 주력 사업이다. 주요 제품 중 하나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GEN-001'은 지난해 8월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같은해 1월에는 LG화학과 손잡고 동아시아(한국·중국·일본) 지역 기술 이전 라이선스 계약을 맺기도 했다.지난 8월에는 미국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사인 '싸이오토 바이오사이언스(Scioto Biosciences)'를 인수해 자폐증 등 뇌질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SB-121'를 확보했다. 내년 상반기 임상 1상을 진행할 예정이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카카오게임즈, 이르면 다음달 초 증권신고서 제출
≪이 기사는 07월24일(17:0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3일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한 카카오게임즈가 이르면 다음달 초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나선다. 수요예측과 일반청약이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9월 중 코스닥시장에 입성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23일 카카오게임즈의 상장을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우량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신속 처리 제도(패스트트랙)를 적용해 청구서 접수 후 30일(영업일 기준) 만에 결과를 내놓았다.공동대표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은 올 상반기 검토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상장 계획을 수립해 다음달 초 중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카카오게임즈가 상장심사 당시 거래소에 제출한 공모주당 희망가격범위는 2만~2만4000원(액면가 100원)이다. 하지만 시장의 상황 등에 따라 희망가격범위는 변동될 수 있다. 공모주식수는 1600만주로 희망가격범위를 기준으로 한 예상 공모 규모는 3200억~3840억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1조4640억~1조7569억원이다.카카오게임즈는 2018년 코스닥시장 상장을 한 차례 시도했다가 자진철회한 사례가 있다. 카카오게임즈가 투자한 게임회사 크래프톤의 성적 부진과 각종 감리 문제가 당시 발목을 잡았다.투자은행(IB) 업계는 카카오게임즈가 무리한 밸류에이션으로 몸값을 높이진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장외시장에서 카카오게임즈의 주식이 주당 6만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지만 카카오게임즈는 카카오의 첫 기업공개(IPO) 주자"라며 "(지나친 고평가로) 상장 후 주가 흐
-
미디어커머스1호 IPO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코스닥 상장 승인
요가복 및 남성복, 생활용품업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미디어커머스기업 제1호로 코스닥에 상장한다.3일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의 상장예비심사를 지난 2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달 중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빠른 시일 내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2017년 설립된 스포츠의류·코스메틱 제조판매 기업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유튜브 등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고속 성장했다. 이 회사의 요가복 브랜드 젝시믹스는 뮬라웨어, 안다르 등과 함께 국내 ‘톱3’로 통한다. 최근엔 여성 활동복 브랜드 ‘믹스투믹스’, 남성복브랜드 ‘마르시오디에고’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위생습관 브랜드 '휘아'와 가정간편식(HMR) 브랜드 '쓰리케어'도 내놓았다.이 회사 관계자는 “온라인과 소비자를 잇는 직접 판매(D2C) 방식으로 자사몰 구매를 유도하고 재구매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이익을 극대화하고 있다”며 “자회사인 온라인마케팅 전문광고대행사 이루다마케팅과도 시너지가 커지는 중”이라고 말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조달한 공모자금을 활용해 젝시믹스를 포함한 주요 브랜드 해외 진출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지난해 이 회사는 매출 641억원, 영업이익 99억원, 순이익 76억원을 냈다. 2018년과 비교해 매출은 424억원(195.3%) 늘고 영업이익은 54억원(118.1%), 순이익은 41억원(113.5%) 각각 증가했다.삼성증권과 대신증권이 IPO 공동대표주관사를 맡았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초전도선재 제조업체 서남, 증권신고서 제출
초전도선재 제조업체 서남이 다음달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서남은 8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다음달 중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과 일반청약을 거쳐 2월 중 코스닥에 입성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2014년 설립된 서남은 LS전선과 한국전기연구원 등 국내 업체와 글로벌 전력기기 업체에 초전도선재를 공급하고 있다. 초전도선재란 전기 저항이 없는 초전도 성질을 띠는 전선소재다. 전기 저항이 없다보니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전기를 공급하려할 때 전력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지난해 11월 흥덕-신갈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초전도 케이블 사업에 서남이 공급한 초전도선재가 쓰였다. 서남은 한전에서 추진 중인 역곡~옥수간 송전 케이블사업과 문산~선유간 케이블 사업에도 초전도선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서남은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하는 자금을 신규 건물 증축과 설비 도입에 투자할 예정이다. 생산능력(케파)을 키워 신규 수주 물량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문승현 서남 대표는 “이번 기업공개(IPO)를 디딤돌로 향후 초전도 전력케이블, 전기 관련 안전장비인 한류기 등 대규모 수요가 예상되는 분야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서남은 35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주당 희망가격은 2700~3100원이다. 다음달 4~5일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한 뒤 10~11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기술특례상장 추진 레몬,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통과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시장 기업공개(IPO)를 시도하고 있는 나노소재기업 레몬이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27일 레몬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레몬은 다음달 중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과 일반 청약을 거쳐 코스닥에 입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다. 2012년 설립된 레몬은 나노기술을 이용한 전자방해잡음(EMI) 차폐 및 방열 시트, 나노 멤브레인(박막) 등을 만든다. EMI 차폐 시트는 스마트폰에 불필요한 외부 전자파나 자기장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레몬은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S시리즈와 노트시리즈 등에 이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엔 5G용 부품으로도 사업영역을 넓혔다. 이 회사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전문 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레몬은 각종 전자부품 외에도 자체 브랜드 ‘에어퀸’을 통해 여성 생리대, 미세먼지 마스크 등도 판매하고 있다. 레몬은 올 3분기까지 매출 375억원, 영업적자 66억원, 순손실 71억원을 냈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OLED 장비기업 힘스 증권신고서 제출... 7월 코스닥 상장
이 기사는 06월12일(14:3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제조기업인 힘스가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힘스는 지난 9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내고 공모일정 및 규모를 확정했다. 힘스의 희망 공모가 범위는 1만5500~1만8800원으로 예상 공모규모는 124억~150억4000만원이다. 신주 80만주를 발행하며 구주매출은 없다. 7월4~5일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며 7월11~12일 청약을 받아 7월중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1999년 설립된 힘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과정에서 유기물 증착 공정에 필요한 메탈 마스크 연관 장비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삼성디스플레이에 마스크 인장기를 독점 납품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509억원, 영업이익 66억원을 냈다. 올 1분기 매출은 작년 매출의 절반 수준에 가까운 226억원, 영업이익은 작년의 75% 수준인 50억원을 올렸다. 대표주관사는 KB증권과 SK증권이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