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포드, 리비안 지분 대거 처분…18억달러 벌었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 포드가 보유하던 전기차 기업 리비안 주식 일부를 지난해 매각해 18억달러(약 2조2500억원)의 차익을 챙겼다는 보도가 나왔다.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포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한 연례 재무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리비안 보유 주식 1억190만 주 중 9100만 주를 매도했다고 밝혔다.이 공시에 따르면 포드는 지난해 2분기 리비안 주식 2520만 주를 매도해 7억달러, 3분기 5190만 주를 팔아 약 18억달러를 챙겼다. 이외 추가 매도를 거쳐 포드가 보유한 리비안 주식은 1100만 주 정도로 감소했다. CNBC는 “포드가 잇단 주식 매도로 총 30억달러를 확보했다”며 “리비안에 12억달러를 투자한 뒤 18억달러 상당의 차익을 거둔 것”이라고 분석했다.포드가 리비안에 처음 투자한 때는 2019년이다. 리비안이 상장하기 전으로, 당시 포드는 리비안과 합작해 전기차를 만들 계획을 세웠다. 2021년 11월 리비안은 기업공개(IPO)에서 큰 흥행을 일으키며 뉴욕증시에 상장했다. 당시 포드는 지분 12%를 보유한 최대주주였다.상장 직후 180달러까지 올랐던 리비안 주가는 지난해 뉴욕증시 부진에 전기차 생산 차질 등이 겹치며 고꾸라졌다. 포드와의 협력도 최종적으로는 무산됐다. 현재 리비안 주가는 19.9달러다. 주가가 부진을 벗지 못하는 데다 전기차 생산 협력안도 백지가 되자 포드가 주식 처분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여전히 포드는 리비안의 대주주다. 포드는 남은 지분을 계속 보유할지 여부에 대해선 답하지 않았다고 CNBC는 보도했다.앞서 지난 2일 작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은 리비안 보유 지분으로 인한 투자 손실이 반영돼 순이익이 급감했다. 지난해 아마존

  • [마켓인사이트]주식 팔고 채권 쓸어담는 외국인, 보유금액 사상 최대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주식을 대거 파고 채권을 공격적으로 쓸어담고 있다. 채권 보유금액이 어느덧 119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기록을 갈아치웠다.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외국인의 한국 상장채권 보유금액은 119조2020억원으로 월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종전 최대기록은 지난해 8월 114조2820억원이다. 외국인은 지난 2월부터 4개월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며 적극적으로 한국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달 순매수 규모는 9조7400억원에 달했다. 외국인은 장외 채권시장에서도 공격적인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10조5784억원어치 채권을 순매수해 월별 기준 사상 최대금액을 새로 썼다. 외국인 순매수 규모가 10조원이 넘은 것은 2007년 11월(10조4850억원), 2009년 6월(10조3714억원)과 10월(10조572억원) 등 손에 꼽는다.한국 주식을 내다팔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외국인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식 2조917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지난해 10월(4조638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많은 규모를 팔아치웠다. 외국인은 금리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란 판단 아래 한국 채권을 쓸어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용·소비·수출·투자 등 주요 경기지표가 눈에 띄게 악화되는 가운데 최근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마저 다시 불붙고 있다. 국내외 기관들이 잇달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등 비관적인 경기전망이 증폭되면서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한층 강해졌다.  지난달 31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기준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오면서 채권금리 하락(채권가격 상승)을 기대한 투자자들의 매수세에 한층 탄력이 붙었다는 평가다.

  • [마켓인사이트]SK 오너 일가, 지분 팔아 436억원 현금화… 증여세 납부 목적 추정

     ≪이 기사는 04월15일(18: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그룹 오너 일가가 SK 주식 16만여주를 팔아 436억여원을 현금화했다. 증권가에서는 증여세를 납부하기 위한 매도라는 추정을 내놓고 있다. 15일 SK그룹에 따르면 오너 일가 14명은 지난 1일 SK 주식 16만5936주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처분했다. 한 주당 매각가격은 26만2963원으로, 이들의 매각가 총합은 436억여원이다. 한 사람당 6억~28억여원을 현금화했고, 마약 투약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SK가의 장손 최영근씨가 176억여원을 손에 쥐었다. 블록딜 상대방이 어디인지는 공시하지 않았다. 증권가에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이 지난 2018년 증여한 주식에 대한 증여세를 납부하려는 목적이 크다는 분석이다. 최 회장과 그의 여동생인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은 과거 그룹 승계과정과 관련한 보상을 이행하려는 목적으로 친족들에게 주식을 증여했다. 당시 증여 규모는 342만여주였다. 그러나 거액의 증여세 부담이 발생하면서 이들은 주식 매도를 택하게 됐다. 지난 1~2월에도 일부 친족들은 SK 주식을 장내매도해 왔다. 한편 이번 블록딜로 고(故) 최윤원 전 SK케미칼 회장의 부인인 김채헌씨 등 일부 친족들은 SK 지분을 한 주도 보유하지 않게 됐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