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SK증권 추락에 자금회수 '골머리'…PEF 인수금융 만기 6개월 연장

    SK증권 추락에 자금회수 '골머리'…PEF 인수금융 만기 6개월 연장

    사모펀드(PEF) 제이앤더블유파트너스가 SK증권 인수를 위해 산업은행 등 대주단에서 조달한 대출금을 약정 기한 내에 상환하지 못했다. 담보로 제공한 SK증권 주식의 가치도 40% 가까이 급락해 담보권 실행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자금 회수에 차질이 불가피해지자 대주단은 대출 조건 변경 없이 6개월 대출기한 연장이라는 임시방편을 택했다.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SK증권의 최대주주인 제이앤더블유파트너스가 지난달 말 산업은행을 비롯한 5개 기관 대주단과의 주식 담보대출 계약을 6개월 연장했다고 공시했다. 제이앤더블유는 오는 9월까지 대출금을 상환해야한다.제이앤더블유는 2018년 SK증권을 515억원에 인수한 이후 같은 해 유상증자를 단행해 지분 9.09%를 추가로 매수했다. 유상증자를 할 때는 산업은행 등으로부터 299억원을 차입했다. 이후 수 차례의 지분 매입과 매도를 거쳐 현재 지분 19.91%를 보유중이다. 2023년 대출을 재계약했고, 대출금과 이자율이 늘어 현재 대출금은 612억원이다. 산업은행 등 4개 대주단이 SK증권 지분 19.6%을 담보로 잡고 빌려줬다. 최대주주 지분의 대부분이 담보로 잡혀있는 셈이다. 대출계약상 담보유지비율은 111%로 설정돼 있어 담보 주식의 시가총액이 최소 679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기준 담보 주식의 총가치는 400억 원대에 불과하다. 2023년 3월 재계약 당시 700원대였던 SK증권 주가는 현재 450원선까지 하락했다. 이미 기한이익상실(EOD) 선언 시점을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주요 대주단인 산업은행 등 대주단이 코너에 몰렸다고 보고 있다. EOD를 선언하더라도, 대출금을 온전히 회수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주가가 더 떨어져 손실이 커

  • 반대매매 공포까지 덮쳤다…'빚투 개미' 안절부절

    반대매매 공포까지 덮쳤다…'빚투 개미' 안절부절

    국내 주식 투자자 사이에서 반대매매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번 급락 장세가 단기간에 진정되지 않으면 개인 ‘빚투’ 계좌에서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에 따른 일괄 강제매도 물량이 쏟아질 것이란 경고가 나온다.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미국발(發) 관세 우려로 증시가 출렁인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 금액은 약 39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31일과 다음 날인 이달 1일 반대매매 물량이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기간 반대매매 규모는 254억원에 달했다. 증시가 흔들리기 시작한 지난달 27일 여러 종목 주가가 무더기로 담보유지비율 밑으로 떨어진 데 따른 영향이다.반대매매는 신용을 활용해 매수한 주식의 가치가 단기간 급락하며 담보유지비율(보통 140%) 아래로 밀릴 때 발생한다. 추가 담보금을 넣지 않으면 증권사가 2거래일 뒤 시세보다 싼 가격에 강제 처분하는 방식이다.신용거래 융자액이 지나치게 많은 점도 문제다. 신용거래 융자액은 지난 3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9조7859억원, 코스닥시장 7조1861억원으로 총 16조9720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 15조8170억원 대비 7.3% 늘어난 수치다.금융투자업계에선 신용거래 잔액 비중이 높은 종목엔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단기간 주가가 뛴 만큼 시장 분위기에 따라 언제든 반대매매 물량이 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용거래 잔액 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대호에이엘로 9.04%다. 올 들어 이날까지 주가가 23% 넘게 올랐다.인공지능(AI) 붐을 타며 올해 주가가 급등한 액침냉각 기술 업체 삼성공조 역시 신용거래 잔액률 8.49%를 기록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선 정치 테마주 에이

  • ‘6000억원 배상 위기’ 이오플로우…회사도 대표도 급전 조달

    ‘6000억원 배상 위기’ 이오플로우…회사도 대표도 급전 조달

    미국 특허소송 패소 위기에 놓인 코스닥 상장사 이오플로우의 김재진 대표가 보유 주식을 담보로 80억원을 조달했다. 담보권이 전부 실행되면 최대주주가 김 대표에서 아이피브이로 변경된다. 아이피브이는 이오플로우의 유휴자산을 80억원에 조건부로 사들이는 계약도 맺었다. 아이피브이가 어떤 회사인지는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있다. 이오플로우는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담보제공계약이 체결됐다고 31일 공시했다. 8.89% 지분을 갖고 있는 김재진 대표가 보유주식 243만5000개를 담보로 아이피브이에 80억원을 차입한다. 담보권이 전부 실행되면 김 대표의 지분율은 0.89%로 떨어진다.이오플로우는 지난 24일 80억원 규모의 유휴자산을 아이피브이에 환매수 조건부로 매각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이오플로우가 2026년 4월까지 총 260억원을 아이피브이에 지급하면 해당 유휴자산을 다시 사들일 수 있는 조건이 붙였다. 구체적으로 어떤 유휴자산인지, 환매수 조건은 어떤지, 아이피브이가 어떤 회사인지 등은 공시되지 않았다. 인슐린펌프 개발기업인 이오플로우는 미국 경쟁기업 인슐렛과의 특허 소송전으로 자금난에 처한 상황이다. 지난 12월 미국 매사추세츠 지방법원 배심원들은 이오플로우가 4억5200만달러(약 6569억원)를 인슐렛에 배상해야 한다고 평결했다. 이오플로우 자기자본(723억원)의 877%에 달하는 금액이다. 1심 최종 판결은 올해 3월께 나올 전망이다.이오플로우는 소송전 과정에서 대표 가족·임원의 ‘사전매매’ 논란도 겪은 바 있다. 작년 12월 4일 배심원 평결 공시로 주가가 급락하는 와중 대표 가족들과 임원들이 보유 주식 매도에 나선 것이다. 대표의 아내인 김 안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