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자유무역 죽었다"…TSMC 셀프 경고에 4%↓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인 대만 TSMC 창업자 장중머우(모리스 창)가 “반도체 자유무역은 죽었다”고 발언하자 미국 증시에 상장된 TSMC 주가가 4% 넘게 급락했다. 미국과 중국이 최첨단 반도체를 두고 패권 경쟁을 이어가는 상황에 대한 경고 발언이 투자자의 불안감을 증폭시킨 것으로 풀이된다.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TSMC 주가는 전장보다 4.31% 하락한 194.68달러에 마감했다. 4%대 하락폭은 약 한 달 만이다. 다만 이날 시가총액 1조달러는 지켰다.장중머우 창업자는 지난 26일 대만 신주현에서 열린 TSMC 연례 체육대회에서 “최신 반도체 부문 자유무역이 사라진 환경에서 어떻게 계속 성장세를 유지할지가 우리의 도전”이라며 “가장 심각한 도전을 앞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미국 상무부가 화웨이용 인공지능(AI)·스마트폰 칩 제조에 TSMC가 관여했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도 이날 TSMC 주가에 찬물을 끼얹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6일 공개된 조 로건 팟캐스트에서 미국 반도체법을 비판하며 재집권 시 관세 정책을 강화해 보조금 지원 없이 해외 기업을 미국에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TSMC를 겨냥해 “그들은 우리 사업의 95%를 훔쳤고, 그게 지금 대만에 있다”며 “TSMC가 돈을 미국에서 쓰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TSMC는 핵심 반도체 제조사로 AI 열풍 혜택을 봤지만 미·중 간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며 역풍을 맞고 있다.김세민 기자
-
'美 경기 동향 풍향계' UPS…실적 부진에 역대 최대 급락
‘경기 동향 풍향계’로 불리는 미국 물류업체 UPS 주가가 역대 최대 폭으로 급락했다. 부진한 올 2분기 ‘성적표’가 공개된 데다 연간 실적 전망치마저 하향 조정돼서다. UPS가 자사주 매입과 인수합병(M&A) 효과까지 강조하고 나섰지만 얼어붙은 투자심리는 여전한 모습이다.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UPS 주가는 전 거래일에 비해 12.05% 급락한 127.68달러에 장을 마쳤다. 지난해 7월 기록한 연중 최고치(192.98달러)와 비교하면 약 35% 주저앉았다. 이날 UPS 주가의 일일 하락 폭은 2006년 7월 기록한 -10.3%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낙폭을 보였다. 마켓워치는 “4년 내 최저치로 급락해 S&P500지수까지 끌어내릴 정도였다”고 전했다.이날 발표된 UPS의 2분기 실적이 주가 급락의 배경이 됐다. 2분기 UPS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 감소한 218억2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221억7000만달러)를 밑돌았다. 또 순이익은 14억1000만달러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20억8000만달러)보다 줄었다. 조정 후 주당순이익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2.54달러에서 29.5% 급감한 1.79달러로 나타났다.특히 미국 내 소포 배송 부문 매출이 투자자들의 실망감을 키웠다. UPS의 미국 내 소포 배송 부문 매출은 141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44억달러)에 비해 1.9% 줄었고, 품목당 수익률 역시 2.6% 쪼그라들었다.UPS는 비용 관리 등을 통해 성장세로 돌아서겠다는 목표를 밝혔지만 시장 반응은 미지근하다.UPS는 “연내 5억달러어치 자사주를 매입할 방침”이라며 “멕시코 배송 업체 에스타페타를 인수해 올 3분기 영업이익을 두 자릿수대로 늘릴 것”이라고 했다.이와 관련해 브랜던 오글렌스키 바클레이즈 애널리
-
주식 파는 2차전지社 임원들
에코프로비엠과 금양 등 올 들어 주가가 급등한 2차전지 관련 기업 임원들이 최근 들어 보유하고 있는 회사 주식을 내다팔고 있다.에코프로비엠은 자사 임원 4명이 지난달 27~28일(결제일 기준) 자사주 5790주를 장내 매도했다고 지난달 31일 공시했다. 임원 4명이 처분한 주식은 총 26억원어치다. 주식 매도 결제가 매매 체결 이틀 후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주가 매도 시점은 이 회사 주식이 급등하던 지난달 25~26일로 추정된다. 에코프로비엠 경영진은 지난달에도 자사주를 팔았다.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사장은 지난달 13일 2800주(약 7억8380만원어치)를 매도했다. 에코프로비엠 관계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김병훈 대표도 지난달 26일 에코프로비엠 주식 2만5000주를 장내 매도했다. 주당 처분단가는 49만6200원으로 약 126억원어치다. 에코프로비엠 관계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보유 자산을 현금화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작년 말 9만2100원에서 1일 40만8500원으로 4배 넘게 올랐다.올 들어 주가가 급등한 다른 2차전지 기업에서도 회사 임원들이 주식을 파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금양의 허재훈 상무는 지난달 25일(체결일 기준) 보유 주식 8만 주 가운데 4만 주를 장내 매도했다. 처분단가는 주당 15만1615원으로 약 60억6400만원어치다. 금양 주가는 올 들어 6배 넘게 올랐다.최근 들어 2차전지 관련주로 급부상한 LS그룹에서도 일부 회사 경영진과 특수관계인이 회사 주식을 매도했다. 구자은 그룹 회장의 5촌 조카인 구본혁 예스코홀딩스 사장이 지난달 24~26일 LS 주식 5000주, 약 5억3000만원어치를 장내에서 매도했다.증권가에서 고위 임원들의 주식 매도는 ‘매도 신호&rsqu
-
[단독] 에코프로비엠·금양 피크 쳤나…자사주 파는 임원들 잇따라
에코프로비엠과 금양 고위임원들이 지난달 27일 주가 급락 직전 자사주들을 잇달아 장내매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2차전지주 과열 우려가 불거진 가운데 주요 관계자들이 자사주를 급히 처분하면서 주가가 고점에 달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의 임원 4명은 지난달 27~28일(결제일 기준) 사이 자사주 5790주를 장내매도했다고 공시했다. 임원 4명이 처분한 주식은 약 26억원어치다. 결제일과 매매 체결일이 2거래일 차이나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가장 주가가 급등하던 25~26일에 주식을 팔아치운 셈이다.연구자원담당인 서준원 전무는 보유 중인 6000주 중 4000주(18억원 어치)를 지난 25일 장내 매도했다. 김홍관 전무도 같은 날 1000주(4억5425만원 어치)를 처분했다. 박지영 상무와 이경섭 상무는 다음날인 26일 각각 700주(3억6400만원 어치), 90주(4959만원 어치)를 장내매도했다.박 상무는 지난달 17~18일에도 이틀에 걸쳐 1000주(2억8000만원 어치) 가량을 매도한 바 있다. 이 상무 역시 11~12일에 걸쳐 1000주를 매도해 2억9000만원가량을 현금화했다.에코프로비엠의 관계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김병훈 대표도 지난 26일 에코프로비엠 2만5000주를 장내매도했다. 주당 처분단가는 49만6200원으로 약 126억원어치다. 다른 에코프로비엠 임원들도 지난달 11~18일까지 자사주를 잇달아 대량으로 처분한 바 있다.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사장은 지난달 13일 2800주(약 7억8380만원 어치)를 장내매도했다. 방정식 에코프로비엠 부사장도 지난달 11일과 18일에 나눠 각각 900주, 1200주를 현금화했다. 처분 금액은 총 6억2000만원 어치다.에코프로비엠 관계자는 “최근 주식을 판 임원들의 경우
-
[마켓인사이트]김한석 KMW 부사장, "주가 급락 과도... 유상증자 우려 등은 우려일뿐"
≪이 기사는 11월11일(09: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케이엠더블유(KMW)가 유상증자에 나설 거란 루머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삼성전자의 28㎓ 투자나 SA표준 도입 등도 KMW의 사업에 악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10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난 김한석 KMW 부사장(사진)은 최근 KMW의 주가하락을 두고 주식시장에서 돌고 있는 다양한 소문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잘못된 소문 때문에 회사와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것 같아 갑갑하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노키아, ZTE에 안테나 등 통신관련 부품을 공급하는 KMW는 코스닥 5G 대장주로 통한다. 5G 테마주의 인기로 연초 1만원대던 주가가 지난 9월엔 8만100원(9월 24일 종가 기준)까지 급등해 한때 코스닥 시가총액 4위의 자리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3분기 영업이익이 578억원으로 컨센서스 640억원 대비 하회하면서 주가가 하락 곡선을 탔다. 26%(2분기)에서 22%(3분기)로 4%포인트 감소한 영업이익률 또한 주가 하락을 부추겼다. 주가가 떨어지자 루머도 잇따랐다. 회사가 유상증자를 계획 중이란 얘기가 돌았다. 유상증자는 권리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흔히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떨어뜨리는 악재로 통한다. 삼성전자가 최근 투자계획을 밝힌 28㎓ 사업계획에 대응하는 포트폴리오가 KMW에 없다는 점이 향후 사업실적에 악영향을 줄 거란 소문도 있었다. 지난 8일 KMW는 주당 4만875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유상증자 루머에 대해 김 부사장은 “고려 대상이 아니며 만약 운전자금이 부족할 경우 금융시장에서 대출이나 회사채로 조달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운전자
-
[마켓인사이트]코스닥 새내기주 코윈테크, 하한가로 첫날 장 마쳐
2차전지 자동화설비 제조업체인 코윈테크가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첫날 하한가까지 밀린 주가로 장을 마쳤다. 5일 코스닥에 신규 상장한 코윈테크는 시초가 3만1050원으로 출발, 이보다 9300원(29.95%) 하락한 2만1750원(-29.95%)으로 장을 마쳤다. 코윈테크의 공모가는 3만4500원으로, 일반 청약에 참여했던 투자자들에게는 이날 종가 기준 평가손실이 발생했다. 증권가에서는 일본 수출 규제로 증시에서 2차전지 관련주의 주가가 힘을 못 쓰면서 새내기주인 코윈테크 또한 주가가 부진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코윈테크가 일본 수출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건 아닌 걸로 안다”며 “하필 상장 첫날 코스닥이 6% 넘게 급락하면서 최악으로 치닫는 유통시장 분위기에 휩쓸린 결과”라고 말했다. 이 회사가 증권신고서를 처음 제출한 6월에만 해도 2차 전지 사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은 나쁘지 않았다. 비슷한 시기에 기업공개(IPO)를 노리는 다른 회사들도 2차 전지 관련 사업을 들고 나왔다. 하지만 일본 수출 규제 문제가 불거지면서 투자 심리도 돌아섰다.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이 2차전지 업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냉각된 시장 분위기 탓에 코윈테크는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과 일반청약에서도 흥행하지 못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444개 기관이 참여해 163.5대 1, 일반청약 경쟁률은 0.49대 1에 그쳤다. 실권주는 상장주관사인 미래에셋대우가 떠안았다. 코윈테크는 1998년 설립된 물류자동화기기 설계 및 제조회사다. 2차전지를 만드는 국내 대기업은 물론 해외 유명 제조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