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S 조기상환 '3분의 1 토막'…원금 까먹은 상품 속출
국내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특정 주가지수와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의 손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주식의 주가가 작년 대비 크게 떨어지면서 원금 손실이 확정된 ELS도 속출하고 있다. ◆조기 상환 규모 ‘뚝’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24일까지 일정 조건을 충족해 조기 상환된 ELS는 4907억원으로 집계됐다. ELS 조기상환액은 1월 1조5333억원, 2월 1조5544억원, 3월 9713억원, 4월 1조7891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국내외 증시 약세로 지난달 6880억원으로 줄어든 뒤, 이달 들어 감소폭이 더 커졌다.ELS는 특정 지수나 종목이 일정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비교적 고금리 이자를 주는 파생상품이다. 최종 만기 이전에도 중간 평가를 거쳐 별도로 설정한 기준가격을 넘기면 조기 상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조기상환액이 급감한 것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진 ELS가 그만큼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기까지 정해진 기준을 넘기지 못하거나, 만기 전이라도 녹인배리어(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주가 기준)에 진입하면 원금이 손실될 수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2021년 7월 1일~12월 31일) 발행된 ELS 가운데 66개가 녹인배리어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1월부터 글로벌 증시가 떨어졌고 기초자산이 되는 지수·주가가 낮아져 조만간 조기상환 금액이 다시 늘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하락에 원금 손실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AMD, 메타플랫폼 등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은 ELS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종목형 ELS는 만기 때 가격
-
HMM, 영구CB 6000억 조기상환한다
해운사 HMM이 4년 전 발행한 6000억원 규모 영구 전환사채(CB)를 조기상환한다. 영구 CB는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 연장이 가능하면서 일정기간 후에는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다.HMM은 22일 영구 CB 6000억원어치에 붙은 조기상환 청구권을 행사한다고 공시했다. CB 상환은 오는 12월9일 이뤄질 예정이다. 해당 CB는 2017년 3월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상대로 발행됐다. 만기는 30년이지만 HMM의 의사에 따라 추가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리는 연 3%다. HMM이 조기상환 청구권을 행사했지만 상환 예정일 이전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전환청구권을 행사하면 해당 CB는 HMM 신주로 전환된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언제든 이 CB를 주당 7498원에 HMM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 지난 21일 HMM 주가(2만9400원)의 4분의1 수준이다. CB를 주식으로 전환해 얻을 수 있는 시세차익만 약 1조7000억원에 달한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전자부품업체 심텍, 회사채시장 ‘데뷔’
코스닥 전자부품업체인 심텍이 회사채 발행시장에 데뷔한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심텍은 오는 16일 1년2개월 만기 회사채 30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금리는 연 5% 수준으로 결정됐다. 1년 만기 ‘BBB’등급 회사채 평균금리(연 4.663%)보다 0.34%포인트가량 높은 수준이다. 이 회사가 발행일부터 채권을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도 함께 붙일 예정이다.심텍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쓰이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1조75억원, 영업이익 30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2015년 지주회사로 전환하기 위해 투자회사인 심텍홀딩스와 사업회사인 심텍으로 인적분할했다. 이를 통해 심텍홀딩스가 지주회사가 돼 심텍을 포함한 12개 계열사를 거느리는 식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한국콜마, 1년만에 CJ헬스케어 리파이낸싱 돌입
≪이 기사는 03월13일(17:5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콜마가 CJ헬스케어의 경영권을 사들인지 1년만에 인수 당시 조달했던 인수금융을 리파이낸싱하기로 결정했다.1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는 KB증권을 인수금융 단독 주관사로 선정해 CJ헬스케어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에 돌입했다. 인수금융 금액은 5400억원으로 인수 당시 조달했던 6000억원에 비해 600억원 줄였다. 한국콜마는 배당을 통해 인수금융 600억원을 조기상환했다.한국콜마는 CJ헬스케어의 대주단의 수를 줄이고 금리 인하를 위해 리파이낸싱을 실시키로 했다. 인수 당시 한국콜마는 대주단 20여곳을 통해 6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번 리파이낸싱을 통해 대주단 수를 줄인다는 방침이다. 금리는 4% 중반대로 조금 낮아졌다. 인수 후 회사 경영이 안정화됐고 인수금융 총액도 줄었기 때문이다.한국콜마는 CJ헬스케어 인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지난해 한국콜마의 매출은 1조3578억원으로 전년대비 65.3% 불어났다. 영업이익도 899억원으로 34.3% 증가했다. 한국콜마는 앞으로 연구소 설립 등 연구개발(R&D) 투자비를 늘려 CJ헬스케어를 더욱 키울 것으로 알려졌다.한국콜마는 지난해 4월&n
-
한컴시큐어, 50억원 교환사채 조기상환
한컴시큐어가 1년6개월 전 발행했던 교환사채(EB) 전액을 조기상환했다.한컴시큐어는 1일 5년 만기 EB 50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공시했다. 이 회사는 2017년 8월 연 0% 금리로 해당 EB를 발행했다. E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가 보유한 특정주식과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이 EB의 교환대상은 한글과컴퓨터 주식으로 투자자가 작년 9월부터 한 주당 2만1000원에 교환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한컴시큐어는 한글과컴퓨터 지분 13.63%를 들고 있다.증권업계에선 교환대상인 한글과컴퓨터 주가가 EB 발행 이후 줄곧 교환가격을 밑돌자 투자자가 원금 회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컴시큐어의 EB 발행 당시 1만6000원이었던 한글과컴퓨터 주가는 작년 1분기 한 때 2만원대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계속 내리막을 타며 지난달 30일 1만3500원까지 주저앉았다.한컴시큐어 측은 “투자자의 조기상환 청구권(풋옵션) 행사로 이른 시기에 EB를 갚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수성, 투자자 풋옵션 행사로 CB 5억원 조기상환
코스닥 상장기업인 수성이 작년 발행한 3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중 일부금액을 1년 만에 조기상환했다.수성은 지난달 31일 CB 5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1일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이 CB는 수성이 작년 2월 총 30억원어치로 발행한 것으로 만기는 3년이다. 표면금리는 연 5%, 만기 수익률은 연 11%다. 올해 2월1일부터 한 주당 5152원으로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데 지속적인 전환가격 조정으로 현재는 전환가격은 4520원까지 하락했다. 수성 측 관계자는 “기한이익상실(즉시 상환) 사유 발생으로 투자자가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해 CB를 상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이전 조기상환 물량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총 10억원어치 CB를 조기에 갚았다. 1년 전 발행금액의 3분의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상상인, 콜옵션 달린 회사채 220억원어치 발행
컴퓨터시스템 설계업체인 상상인이 조기상환 조건이 달린 회사채를 발행해 220억원을 조달했다.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상상인은 이날 1년 만기 회사채 22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했다. 채권 금리는 연 5.5%로 결정됐다. 해당 채권에는 상상인이 내년 4월부터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있다. 미래에셋대우가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상상인은 1989년 청원전자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컴퓨터시스템 설계업체로 200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2004년 텍셀네트컴으로 사명을 바꿔 영업하다가 올 3월 상상인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올 1~3분기 매출은 35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 영업이익은 1333억원으로 60.6% 증가했다.이 회사는 최근 지속적으로 금융회사 인수합병(M&A)을 시도하고 있다. 상상인은 2012년 세종저축은행(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을 인수하며 금융업에 발을 들였고 2016년에는 공평저축은행(상상인저축은행)의 경영권도 확보했다. 올 들어선 골든브릿지증권 인수에 나섰지만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으로 사실상 인수가 무산된 상태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장기자금 조달 나선 롯데쇼핑, 사상 첫 20년물 발행
≪이 기사는 08월29일(08:5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롯데쇼핑이 설립 이후 처음으로 20년 만기 회사채를 발행했다. 최근 15년물과 20년물을 잇달아 찍는 등 장기자금 조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이날 20년 만기 회사채 300억원어치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했다. 채권 금리는 연 3.4%로 결정됐다.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시가평가한 금리(연 3.388%)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 회사가 20년물을 찍는 것은 1970년 설립 이후 처음이다.롯데쇼핑은 앞서 지난 7일에는 사모로 15년물을 찍어 700억원을 조달했다. 15년물 발행 역시 이번이 최초다. 이 회사는 그동안 10년물은 여러 차례 발행했지만 그 이상의 만기로 채권을 찍은 적은 없었다. 최근 채권 금리 하락세를 이자비용 절감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8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연 2.354%로 최근 3개월간 0.372%포인트 떨어졌다. 20년물 금리는 연 2.325%로 비슷한 하락 폭을 보이고 있다. 둘 다 지난해 9월 이후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새로 쓰는 등 하락세가 뚜렷하다. 롯데쇼핑 20년물 금리(시가평가 기준)도 지난 3개월간 0.382%포인트 내려갔다. 고용지표 악화 등으로 경기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주요 채권금리가 일제히 떨어지고 있다.투자수요가 풍부한 것도 이 회사가 장기자금 조달에 나선 배경으로 꼽힌다. 2021년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 중인 보험사들이 적극적으로 장기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 아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장기 채권 비중을 늘려 자산과 부채 만기를 최대한 일치시키려는 것이다. 이같은 수급
-
신동빈 회장 구속여파? 호텔롯데, 조기상환 조건 달린 장기 사모채 발행
≪이 기사는 02월14일(15:1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호텔롯데가 조기상환 조건을 달린 회사채를 사모로 발행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실형을 선고 받은 데 따른 타격이 클 것이란 우려가 나오자 조달방식에 변화를 줬다는 분석이다.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호텔롯데는 이날 15년 만기 회사채 40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연 4.23%로 결정됐다. NH투자증권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 이번에 발행한 회사채에는 국내 3개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이라도 호텔롯데의 신용등급을 ‘A+’로 떨어뜨리면 이 회사가 채권을 곧바로 상환해야 한다는 조건이 달려있다. 현재 호텔롯데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다. 호텔롯데가 신용등급 변동과 관련해 조기상환 조건을 걸어 채권을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 회장의 구속수감이 결정되면서 회사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이같은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13일 뇌물공여죄로 신 회장에 징역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시장에선 신 회장의 공백으로 호텔롯데를 상장해 지주회사 체제에 편입하겠다는 롯데그룹의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불안감이 조성됐다. 주력인 면세사업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세청이 신 회장이 유죄 판결을 받으면 롯데면세점의 잠실점 특허를 박탈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어서다. 호텔롯데는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역풍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면세‧호텔사업 실적이 대거 악화됐다. 이 회사는 지난해 1~3분기 65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