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때아닌 우리투자증권 이직설…정영채 "전혀 사실 아냐"

    때아닌 우리투자증권 이직설…정영채 "전혀 사실 아냐"

    정영채 메리츠증권 상임고문(사진)이 우리투자증권으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문이 증권업계에서 돌았지만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정 고문이 우리투자증권으로 이적한다는 이야기가 여의도에 나돌았다. 이와 관련해 정 고문은 “우리투자증권에서 그런 제안을 받은 바도 없다”며 “설마 제안이 오더라도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정 고문은 올해 2월 메리츠증권 IB 담당 상임고문으로 합류했다. 지난해 NH투자증권 대표를 그만둔 뒤 정 고문의 거취를 놓고 각종 소문이 돌기도 했다. 메리츠증권 합류 이후에도 부회장 승진설이 나도는 등 정 고문의 거취와 관련된 소문은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메리츠증권은 부동산금융에 편중됐던 사업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부채자본시장(DCM), ECM 등 정통 IB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정 고문을 영입했다. 정 고문은 대기업 네트워크와 경험을 살려 메리츠증권의 전통 기업금융 확대에 직접적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업계에서는 이런 소문의 배경에 메리츠증권이 외부에서 IB맨들을 영입하는 과정에서 생긴 불만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메리츠증권은 IB 사업 관련 임원급 인력을 구성한 뒤 팀장급 이하 실무 인력을 채용하는 방식으로 인력을 확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력이 빠져나간 일부 증권사에서 불편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 고문이 영입을 추천한 주식발행시장(ECM) 인력 일부가 우리투자증권으로 옮긴 일이 있어 뜬금 없는 소문이 나온 것 같다”고 했다.메리츠증권의 내부 갈등에서 소문의 진원지를 찾는 이들도 있다. 기존에 메리츠증권에

  • 메리츠증권, 각자대표 체제로

    메리츠증권, 각자대표 체제로

    메리츠증권이 두 명의 대표가 각각 기업금융(IB)과 세일즈·트레이딩(S&T) 분야를 나눠 맡는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한다.22일 메리츠증권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김종민 메리츠금융지주 그룹운용부문 부사장을 메리츠증권 기업금융·관리 부문 대표로 신규 선임했다고 밝혔다. 기존 장원재 대표는 S&T와 리테일 부문을 맡는다. 장 대표는 금융공학, 상품 기획, 리스크 관리 등에 강점이 있는 만큼 리테일과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전망이다.메리츠증권은 양대 핵심 사업인 S&T와 기업금융 분야별로 책임경영 체계를 마련해 분야별 의사결정을 효율화한다는 구상이다. 메리츠증권은 “메리츠화재 출신 김 대표가 메리츠증권에 자리를 잡으면 그룹 내 계열사 간 실질적 통합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그룹 CEO 승계 시스템을 마련해 메리츠금융그룹 내 젊고 유망한 인재들을 자회사 CEO로 등용하고 있다”고 했다.김 대표는 1972년생으로 서강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한 뒤 삼성증권 FICC상품팀을 거쳐 메리츠화재에 합류했다. 2014년에는 메리츠화재 자산운용실장을 맡았다. 작년 11월 메리츠금융지주 그룹운용부문 부사장을 겸임하며 그룹 전반의 자금 운용을 담당해왔다.선한결 기자

  • 새 증권사 CEO '리스크관리 전문가' 약진

    새 증권사 CEO '리스크관리 전문가' 약진

    올 연말 국내 증권사 사장단 인사에서 리스크와 재무 관리 경험을 쌓은 전문가가 잇달아 중용되고 있다. 그간 투자와 영업 중심이던 증권업 경영의 무게추가 조직과 리스크 관리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 스펙트럼이 다양했던 출신 대학이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중심으로 좁혀진 것도 올해 두드러진 특징이다. ○10대 증권사 중 6곳 교체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연말 국내 10대 증권사(자기자본 기준) 중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된 곳은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등 6곳이다. 지난달 금융당국으로부터 문책경고 중징계를 받은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도 교체 가능성이 열려 있다.5년 이상 장기 집권해 온 증권사 수장이 대거 바뀌는 것은 올해 유난히 많이 터진 금융 사고, 투자 손실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이로 인해 새로 선임된 CEO는 대부분 조직과 리스크 관리 경험이 많다.메리츠금융지주에서 리스크관리 부문을 이끌어온 온 장원재 메리츠증권 사장이 대표적이다. 장 사장은 전 직장인 삼성증권에서 최고리스크책임관리자(CRO)를 지내다 메리츠금융그룹으로 스카우트됐다. 본업은 투자와 운용 경력인데, 리스크 관리에서 능력을 더 입증받았다.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출신인 박종문 삼성증권 사장은 삼성 금융그룹의 대표적인 전략통이다. 채권펀드 매니저 출신으로 이례적으로 그룹 재무팀에 발탁된 뒤 보험·증권·카드사업 전략을 두루 살폈다. 2017년 미전실이 해체된 이후 금융경쟁력제고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아 삼성 금융계열사의 시너지를 도모했다. 키움증권의 새로운 수장이 된 엄주성 대표도

  • 메리츠 지주중심 경영…김용범·최희문 '투톱'

    메리츠 지주중심 경영…김용범·최희문 '투톱'

    메리츠금융그룹이 지주회사에 운용부문과 부채부문을 신설해 지주 중심 경영체계를 구축한다. 김용범 메리츠화재 부회장과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이 모두 지주에서 그룹 경영 전반을 총괄한다. 각 계열사의 후임 최고경영자(CEO)는 내부에서 승진시켜 승계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룹 전체를 하나의 조직처럼”메리츠금융지주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21일자로 김 부회장을 그룹부채부문장에, 최 부회장은 그룹운용부문장에 선임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지주와 메리츠화재 대표이사를 겸임하던 김 부회장은 지주 대표만 맡게 된다. 최 부회장은 메리츠증권 CEO에서 물러나고 지주로 자리를 옮긴다.▶인사명단그룹부채부문장은 그룹의 자금 조달 부문을, 그룹운용부문장은 자산 운용 부문을 통합 관리한다. 메리츠그룹 측은 “지주 중심으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룹 전반의 재무적 유연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메리츠그룹은 각 계열사 임원이 신설 부문 임원을 겸직하는 인사도 시행했다. 그룹부채부문에 메리츠화재의 김경환 전략영업총괄(부사장)과 김정일 개인영업총괄(전무), 은상영 TM사업부문장(상무)을 배치했다. 그룹운용부문에선 김종민 메리츠화재 자산운용실장(부사장), 메리츠증권의 여은석 메리츠증권 프로젝트금융사업총괄(부사장)과 권동찬 트레이딩본부장(상무)이 일하도록 했다.메리츠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사와 조직 신설은 지난해 11월 화재와 증권을 100% 자회사로 편입한 데 이어 실질적인 지주 중심 경영체계를 강화하는 의미가 있다”고 했다. 세대 교체보다는 그룹 전체를 하나의 조직처럼 운영하기 위한 전

  • 메리츠금융그룹, 화재 김용범·증권 최희문 두 부회장이 맡는다

    메리츠금융그룹, 화재 김용범·증권 최희문 두 부회장이 맡는다

    메리츠금융그룹이 지주회사에 운용부문과 부채부문을 신설하는 지주 중심 경영 체계를 구축한다. 김용범 메리츠화재 부회장과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이 모두 지주에서 그룹 경영 전반을 총괄한다. 각 주력 계열사의 후임 최고경영자(CEO)를 내부에서 승진시켜 승계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였다.  “그룹 전체를 하나의 조직처럼”메리츠금융지주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21일자로 김용범 부회장을 그룹부채부문장에, 최희문 부회장을 그룹운용부문장에 선임하는 인사를 결정했다. 지주와 메리츠화재 대표를 겸임하던 김 부회장은 지주 대표만 맡게 된다. 최 부회장은 메리츠증권 CEO에서 물러나고 지주로 자리를 옮긴다. 그룹부채부문은 그룹의 자금 조달 부문을, 그룹운용부문은 자산 운용 부문을 통합 관리하게 된다. 메리츠그룹은 "지주 중심으로 자원 배분 효율성을 높이고 그룹 전반의 재무적 유연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메리츠그룹은 각 계열사 임원이 신설 부문에서 겸직하는 인사도 실시했다. 그룹부채부문에 메리츠화재의 김경환 전략영업총괄(부사장)과 김정일 개인영업총괄(전무), 은상영 TM사업부문장(상무)를 배정했다. 그룹운용부문에선 김종민 메리츠화재 자산운용실장(부사장), 메리츠증권의 여은석 메리츠증권 프로젝트금융사업총괄(부사장)과 권동찬 트레이딩본부장(상무)이 일하도록 했다. 메리츠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사와 조직 신설은 지난해 11월 화재와 증권의 100% 자회사로 편입에 이어 실질적인 지주 중심 경영 체계를 강화하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대 교체보다는 그룹 전체를 하나의 조직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