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코로나에 감사 선임 '무더기 불발'
▶마켓인사이트 3월 24일 오전 3시54분정기 주주총회에서 의결 정족수 미달로 감사를 선임하지 못하는 상장사가 속출하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무더기 감사 선임 불발 사태’가 반복되고 있다. 새 감사를 선임하지 못해 전임 감사가 업무를 이어가면서 상장사들의 감사 재직 기간이 점차 길어지는 추세다.감사 선임 실패 속출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소액주주 비중이 큰 코스닥 상장사를 중심으로 올해 정기 주총에서 감사 선임이 대거 불발됐다. 감사 선임 때 지배주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이른바 ‘3%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맞물려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한 탓이다.코스닥 상장사인 제어장치 제조 업체 피앤이솔루션은 지난 23일 정기 주총에서 한국거래소 출신 김정태 감사 후보 선임 안건을 통과시키지 못했다. 의결 정족수 미달 탓이다. 피앤이솔루션 관계자는 “전자투표와 전자위임장을 도입하고 주총 분산 자율 준수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의결권 확보를 위해 노력했지만 의결 정족수를 채울 수 없었다”고 말했다.엠피케이, 부스타, 성우전자, 휘닉스소재, 세진티에스 등 코스닥 상장사들도 올해 주총에서 의결정족수 미달로 감사 선임에 실패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비료 제조 업체 조비, 농약 제조업체 경농 등이 감사 선임을 하지 못했다.3%룰에 따른 예견된 결과감사 선임 실패는 지배주주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3%룰에 따라 예견된 결과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감사 선임을 위해선 ‘출석 주주의 과반수 및 의결권 있는 주식의 4분의 1 이상 찬성’ 요건을 맞춰야 한다. 대주주 지분율이 아무리 높아도 의결권이 3%로 제한되기 때문
-
[마켓인사이트] 제철 만난 의결권 대행사…"주주 모으려면 몇억 내셔야"
▶마켓인사이트 2월 13일 오후 4시12분“부르는 게 값입니다. 급한 대로 착수금을 주고 가계약부터 했습니다.”(코스닥 상장 A사 대표)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의결권 위임 권유 대행업체들이 특수를 누리고 있다.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안건이 부결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상장사들이 앞다퉈 의결권 위임 대행업체를 찾고 있어서다. 인력이 많고 업력이 있는 일부 대행업체는 기업을 골라 받는 진풍경까지 벌어지고 있다.우후죽순 생겨나는 의결권 위임 대행사의결권 위임 대행사는 주주명부에 있는 주주 이름과 주소만으로 소액주주를 찾아가 의결권을 모아오는 일을 한다. 신고·허가업이 아니기 때문에 공식 통계는 없지만 40여 개 업체가 영업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리치온, 지오파트너스, 로코모티브, 보다네트웍스, 미래앤케이, 씨씨케이 등이 대표적이다.2018년 10개 업체가 설립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0개 가까운 크고작은 의결권 위임 대행업체가 생겼다. 주요 고객은 코스닥시장 상장사들이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에 비해 소액주주 비중이 높아 의결정족수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비용은 천차만별이다. 상장사의 총발행주식 수와 소액주주 지분율, 매출, 안건의 중요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적게는 몇백만원에서 많게는 2억~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금을 미리 내고 정기 주총에서 안건이 통과되면 인센티브를 주는 구조가 많다.코스닥협회가 634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정기 주총 기간에 의결권 위임 대행업체에 지불한 비용은 평균 5546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4393만원에 비해 26% 뛰었다. 올해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의결권 위임 대행업체들은 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