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토스·두나무도 '이곳' 거쳤다…'디데이'에 뽑히는 3가지 방법

    INVESTOR

    토스·두나무도 '이곳' 거쳤다…'디데이'에 뽑히는 3가지 방법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데모데이 '디데이'가 100회를 맞았다. 디데이는 국내 스타트업들의 대표적인 '등용문'으로, 토스(2014년 출전) 캐시노트(2016년 출전) 자란다(2018년 4월) 등이 대표적인 디데이 출신이다. 디데이 본선 출전 경쟁률은 지난해 기준 23대 1까지 치솟았다. 디캠프를 이끌고 있는 김영덕 상임이사는 창업팀 심사 기준으로 ①내적 동기 ②적극적인 태도 ③지원 받은 내용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의지 등을 꼽았다.  지원한 기업만 6800곳…이중 536곳 무대 섰다디캠프는 25일 강원 양양에 있는 ‘디캠프×데스커 양양 워케이션’에서 100회차 디데이를 개최했다. 그동안 디데이는 스타트업과 투자사가 몰려있는 서울에서 많이 열렸지만, 이날은 100회차를 맞아 양양에 있는 데스커 워케이션 공간에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들이 모였다. '라이프스타일'을 주제로 한 이번 디데이는 데스커와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공식 후원했다. 2013년 6월부터 시작된 디데이는 성장 가능성이 큰 초기 스타트업들을 선정, 지원해왔다. 지금까지 디데이에 지원서를 넣은 스타트업만 총 6874곳에 달한다. 이중 디데이 출전 기업으로 선정돼 본선 무대에 오른 스타트업 팀은 536곳이다. 토스(2014년 4월) 두나무(2014년 10월) 뱅크샐러드(2014년 10월) 8퍼센트(2015년 2월), 삼쩜삼(2015년 11월), 캐시노트(2016년 7월) 핀다(2016년 7월)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이 대표적인 디데이 출전 기업이다. 탈잉(2017년 4월) 프레시코드(2017년 8월) 자란다(2018년 4월) 핏펫(2018년 5월) 더트라이브(2019년 5월) 콥틱(2020년 7월) 등도 디데이 무대에 섰다. 고피자와 엔씽은 디데이

  • 한국성장금융, 3200억원 규모 '은행권 일자리펀드' 만든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성장금융)은 은행권청년창업재단과 함께 국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은행권 일자리펀드(3차)’를 조성한다고 9일 밝혔다.은행권 일자리펀드는 운용사 6곳에 총 1000억원을 출자해 올해 말까지 2000억원 이상 규모의 하위 펀드를 결성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모(母)펀드의 규모는 3200억원 수준이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들에 주로 투자가 이뤄질 계획이다. 펀드 항목별로 루키리그는 150억원 이상을 출자, 225억원 이상의 금액을 결성해야 한다. 일반리그는 200억원 이상을 출자해 최소 400억원의 금액으로 결성한다. 동행리그는 출자금액 150억원 이상, 결성금액은 375억원 이상으로 결정됐다. 리그 모두 각각 2곳의 운용사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루키·일반리그는 출자비율을 상향하되 목적성이 강한 정책자금과의 매칭을 일부 제한함으로써 은행권일자리펀드가 민간 앵커(주요)출자자로서 역할을 제고하는데 초점을 뒀다. 지난해 2차 사업보다 루키리그는 4.2%포인트, 일반리그는 10%포인트 출자비율이 높아졌다. 반면 동행리그는 매칭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대신 심사를 통해 매칭에 따른 일자리창출 전략의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는 설명이다.성장금융 관계자는 “리그별로 특화된 출자사업을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민간 중심 일자리 창출 투자가 시장에 안착되기를 바란다”며 “모펀드 출자기관인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은 물론 혁신창업 지원 플랫폼 ‘프론트원’과도 활발히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한국성장금융, 은행권청년창업재단과 2200억원 규모 일자리펀드 조성

    한국성장금융, 은행권청년창업재단과 2200억원 규모 일자리펀드 조성

    ≪이 기사는 03월01일(15: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한국성장금융)은 은행권청년창업재단과 함께 약 2200억 규모의 ‘은행권 일자리펀드’ 조성에 나섰다.한국성장금융은 지난 달 28일 '은행권일자리 2차 출자사업'을 공고했다. 은행권일자리펀드는 전국은행연합회가 출연해 설립한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이 모펀드 자금 3200억원을 출자해 만든 펀드다. 높은 일자리 창출효과가 기대되는 기업에 주로 투자한다.은행권일자리펀드 2차년도 사업을 통해 총 6~7개 운용사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민간 매칭을 통해 2020년 말까지 2200억원 규모의 자펀드를 결성할 계획이다.항목별로 펀드당 125억원을 출자해 200억원 이상을 결성해야 하는 루키리그는 운용사 2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펀드당 200억원을 출자해 500억원 이상을 결성해야 하는 일반리그는 3곳을 선정할 계획이다.이밖에 해외리그는 운용사 제안으로 이뤄지며 1~2곳을 선정할 방침이다. 자금 규모는 150억원을 출자하며 300억원 이상을 결성해야 한다. 해외리그는 국내 기업에게 해외 네트워크 지원이 가능한 해외운용사 선정이 핵심이다.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전략 등 적합한 투자전략을 지닌 운용사가 △운용사 출자비율 △운용인력 △보수조건 등을 자율적으로 제안해 은행권일자리펀드 출자금액의 1.5배 이상을 일자리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한국성장금융은 올해 6월 개관 예정인 혁신창업플랫폼 프론트원(마포혁신타운)과 투자·사업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운용사의 경우 해당 방안의 구체성과 현실성 등을 종합 평가해 운용사 선정 심사에 반영할 예정이다.한국성장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