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국민연금, 국내 벤처펀드 위탁운용사 IMM SV 등 5곳 선정

    ≪이 기사는 12월04일(17: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IMM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케이넷투자파트너스, K2인베스트먼트 등 5개사를 2019년 국내 벤처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벤처펀드는 성장성이 높은 스타트업 등의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다. 국민연금은 이번에 선정된 벤처펀드 위탁운용사에 총 2000억원 이내의 자금을 배정할 예정이다.앞서 국민연금은 국내 사모투자 위탁운용사로 6000억원 규모 미드캡 부문은 H&Q, VIG파트너스, SG PE, 프랙시스캐피탈을 선정했다. H&Q, VIG파트너스, SG PE는 2000억원을 제안해 1660억원을 출자받는다. 프랙시스캐피탈은 1200억원을 제안해 1000억원을 출자받는다.4000억원 규모 스페셜 시추에이션 및 디스트레시드(SS&D) 위탁운용사에는 나우IB캐피탈-KB증권(2000억원), 오퍼스PE-NH PE(1000억원), 유진자산운용(1000억원)이 선정됐다.9월 말 현재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82조6000억원이다. 전체 기금의 11.6%를 차지하고 있다.안효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은 “앞으로도 대체투자 확대 등 국민연금 기금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기금의 장기적 안정성과 수익성 제고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산재보험기금 맡은 삼성자산운용, 2100억 PEF, VC 위탁운용사 모집 공고

    ≪이 기사는 10월21일(17: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산업재해보상보험기금이 블라인드펀드(투자처 미확정 펀드) 방식으로 사모펀드(PEF)와 벤처캐피탈(VC)에 2100억원 규모 출자를 추진한다.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재보험기금 외부위탁운용사 삼성자산운용은 3곳 내외의PEF운용사를 선정, 각각 약 500억원 씩 총 1500억원을 출자한다고 공고했다. VC운용사 가운데서도 3개 회사를 선정, 총 600억원 규모를 투자할 예정이다. 연기금, 공제회 등 투자자로부터 펀드결성 총액의 30% 이상 또는 500억원 이상 출자확약을 확보한 곳에 추가로 투자하는 조건이다. PEF 운용사는 총 운용자산 누계 1500억원 이상인 곳, VC은 1000억원 이상을 운용하는 곳만 지원할 수 있다.삼성자산운용은 다음달 1일까지 제안서를 받고 현장 실사 및 위원회 심사 등을 통해 12월 3일 출자 대상 펀드를 최종 선정한다. 접수된 서류를 바탕으로 경영안정성, 운용인력, 트랙레코드(운용이력) 등에 대한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산하 산재보험기금은 근로자 보호를 위해 정부가 사업주로부터 징수한 보험료로 조성된 기금으로, 운용자산 규모가 약 17조원에 달한다.산재보험기금은 지난해 PE부문에서 IMM프라이빗에쿼티 큐캐피탈파트너스 NH투자증권 등 세곳에 출자했으며, VC부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DSC인베스트먼트 등에도 투자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과학기술인공제회, SG PE 프렉시스캐피탈 대신증권 등에 1000억원 출자

    ≪이 기사는 10월18일(15: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과학기술인공제회가 사모대체 블라인드펀드 위탁 운용사로 에스지프라이빗에쿼티(SG PE),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대신증권-SKS프라이빗에쿼티(PE)를 사실상 선정했다.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과기공은 사모대체 블라인드펀드 운용사 지원사들에 대한 구술심사를 마치고 실사대상 운용사를 선정했다. 현장 실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3곳의 운용사가 각각 300억원 내외 출자를 받을 전망이다.경영권 인수 뿐만 아니라 기업 구조조정, 그로스캐피탈(성장단계 투자), 메자닌(중순위) 투자 등 다양한 투자전략으로 양호한 성과를 낸 곳이 출자사로 선정됐다. 과기공이 사모대체 블라인드펀드에 출자하는 것은 2014년 이후 5년 만이다.이와 별도로 과기공은 벤처캐피탈(VC) 부문에서 총 600억원의 출자금을 운용할 7곳의 운용사를 조만간 선정할 예정이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행정공제회, 유럽 운용사 아디안과 미국 베리타스 등에 1억5000만달러 출자

    [마켓인사이트]행정공제회, 유럽 운용사 아디안과 미국 베리타스 등에 1억5000만달러 출자

    ≪이 기사는 10월02일(09: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행정공제회가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아디안, 미국 베리타스캐피털과 HPS인베스트먼트를 블라인드펀드 운용사로 선정해 각각 5000만달러(약 600억원)를 출자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위탁 운용사 선정은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및 그로스캐피탈(성장기업투자) 전략, 세컨더리(기존 투자지분 인수) 전략, 인컴(고배당주 투자) 전략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선정했다. 바이아웃 및 그로스캐피탈 전략 부문 운용사는 미국 베리타스캐피털이 선정됐다. 미국 뉴욕을 거점으로 하는 베리타스캐피털은 90개 이상의 기업 인수 실적을 보유한 바이아웃 펀드다. 과거 군수 기업 인수합병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냈고 최근엔 헬스케어 기업과 데이터 관련 기업 투자를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세컨더리 전략 부문에는 아디안이 선정됐다. 세컨더리 전략은 사모펀드(PEF)나 벤처캐피탈(VC)등의 투자자들이 어떤 사유가 발생해 만기 전에 내놓게 된 지분 등 투자자산을 싸게 매입하는 방법이다. 아디안은 운용자산 960억달러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다. 지난 7월엔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세컨더리 전략 위탁운용사로 선정돼 1억달러 가량을 출자 받기도 했다. 인컴 전략 부문에는 HPS인베스트먼트가 선정됐다. JP모간의 크레딧 운용 부문 자회사인 하이브리지가 독립해 설립된 운용사다. 행정공제회는 메자닌(중순위 투자) 등의 전략으로 예상수익은 연 배당 5%, 순수 내부수익률(Net IRR) 10% 이상을 기대하고 있다. 행정공제회 총 운용 자산은 상반기 말 기준 상반기 13조4027억원에 달한다. 행정공제회는 이 가운데

  •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2019년도 국내주식 위탁운용사 4곳 선정

    ≪이 기사는 09월30일(18: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국내 주식 부문에서 배당주형 위탁 운용사와 액티브퀀트형 위탁 운용사를 각각 2곳씩 총 4곳을 추가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배당주형은 고배당주와 향후 배당 증가가 예상되는 기업 등에 투자해 초과 수익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브이아이피자산운용과 NH-아문디자산운용이 선정됐다. 액티브퀀트형은 퀀트 운용전략과 같은 계량적인 방법을 활용해 초과 수익을 노리는 유형이다. 대신자산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이 뽑혔다.안효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CIO)은 "시장 상황과 투자 스타일 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자금 배분과 위험관리 강화로 안정적인 초과 수익률 창출을 지속해서 추구하겠다"고 말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1000억원 규모 국내 부동산 공동투자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나서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1000억원 규모 국내 부동산 공동투자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나서

    ≪이 기사는 09월30일(17: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이하 국민연금)가 총 출자금 1000억원 규모로 국내 부동산 공동투자(Co-investment)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에 나선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국내 부동산 공동투자펀드 위탁운용사 공개 모집 공고를 냈다. 국민연금은 운용사 1곳에 1000억원 내외를 출자할 계획이다. 국민연금은 오는 10월 31일까지 제안서를 받는다. 제안서 접수를 마감한 뒤 정량평가(제안서 심사)와 현장실사를 진행한다. 이후 선정위원회를 거쳐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발표는 12월로 예정돼 있다. 단계별 선정 결과 등은 해당 운용사에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국민연금은 우량자산에 대한 국민연금의 투자 기회 확대를 위해 이번 위탁운용사 선정에 나섰다. 국민연금이 참여하고 있는 블라인드펀드는 건별 투자가능 초과 금액에 대해 국민연금에 우선적으로 공동투자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운용사의 우수한 심사능력과 신속한 투자의사결정을 바탕으로 우량 자산에 대한 기금의 투자기회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개발형·대출형 펀드, 해외부동산, PFV(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 등을 제외한 500억원 이상 국내 부동산 임대형 펀드를 운용중인 부동산투자회사가 위탁운용사 선정 대상이다. 공동운용사(Co-GP) 제안은 금지된다.이번 공동투자펀드의 투자 대상은 주로 코어(핵심) 및 선택적 밸류 애드(가치 증대) 자산이다. LTV(주택담보비율)는 펀드의 60% 이내, 개별 자산의 65% 이내다. 건별 투자규모는 약정 총액의 25% 이하다. 서

  •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벤처펀드에 2000억 투자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벤처펀드에 2000억 투자

    ≪이 기사는 09월23일(14: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이하 국민연금)가 총 출자금 2000억원 규모로 벤처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에 나선다. 국민연금은 최대 5개의 운용사를 선정한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국내 사모투자 위탁운용사 공개 모집 공고를 냈다. 국민연금은 벤처펀드 일반 부문에 1100억원, 중·소형 부문에 900억원을 투자한다. 일반 부문은 2개사 이내로 펀드별로 600억원 이내, 중·소형 부문에는 펀드별 300억원 이내로 최대 3개사를 선정한다.국민연금은 오는 10월 10일까지 제안서를 받는다. 제안서 접수를 마감한 뒤 정량평가(제안서 심사)와 현장실사를 진행한다. 이후 선정위원회를 거쳐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발표는 11월로 예정돼 있다. 단계별 선정 결과 등은 해당 운용사에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국민연금은 이번 벤처펀드에 출자약정금 총액의 50% 이하를 출자한다. 운용사 의무출자비율은 2% 이상이다. 펀드 만기는 8년 이내로 투자기간은 4년이다. 성과보수는 순내부수익률(IRR) 8%를 상회하면 초과수익의 20% 이하 또는 IRR 10% 상회시 초과수익의 30% 이하 중에서 택하면 된다.공동출자자의 경우 기관투자자 및 법인으로 한정한다. 다만 운용사의 운용인력 및 특수관계인 등 책임운용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개인 출자도 허용하기로 했다.아울러 기존 기금 위탁운용사 가운데 투자금액(Invested Capital) 기준으로 기금 펀드 약정금액 소진율이 60% 이하인 운용사에 대해선 지원을 받는다. 다만 기존 펀드 운용조직과는 별도의 인력으로 구성하는 경우 허용하기로

  •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해외 주거용 부동산 투자펀드 운용사 선정 공고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해외 주거용 부동산 투자펀드 운용사 선정 공고

    ≪이 기사는 09월23일(14: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우정사업본부가 예금사업단이 해외 주거용 부동산 투자 펀드 위탁운용사를 선정해 2억달러(약 2380억원)를 출자한다고 23일 밝혔다. 북미와 유럽 선진국의 공동주택, 기숙사 등 주거 임대용 부동산 지분에 투자할 목적으로 2곳의 해외 자산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우정사업본부의 출자규모는 최대 2억달러 또는 2억유로다. 지원 자격은 총 운용자산 50억달러 이상의 자산운용사에 한하며 10년 이상 경력을 지닌 운용역을 3인 이상 보유한 곳이어야 한다. 투자 대상 지역에 운용자산이 30억달러 이상이어야 하며, 출자 대상 펀드의 총 규모는 5억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다음달까지 제안서를 받아 실사를 거쳐 오는 11월께 위탁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

    ≪이 기사는 08월23일(14:1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가 인수합병(M&A) 딜에 수반되는 중순위 인수금융에 투자하는 펀드를 위탁할 운용사를 선정한다. 우정사업본부가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출자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우정사업본부 예금사업단은 지난 13일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를 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번 출자사업에서 운용사 1개를 선정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2000억원 이내로 운용사가 자율제안하도록 돼있다. 우본의 투자 비율은 펀드 결성액의 50% 이내다.해당 블라인드펀드는 M&A 거래가 수반되는 중순위 인수금융(리파이낸싱 거래 포함)에 80% 이상 투자해야 한다. 운용사의 투자비율은 펀드규모 대비 1% 또는 10억원 이상이다. 펀드만기는 결성일로부터 8년 이내로 투자기간은 결성일로부터 4년 이내다. 특정회사에 대한 투자금액은 약정 총액의 30% 범위까지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우본은 오는 30일까지 제안서 접수를 받는다.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9월 중 1차 평가와 2차 평가 등을 진행한 뒤 9월 말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국내 주식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 공고

    [마켓인사이트]국민연금, 국내 주식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 공고

    ≪이 기사는 08월21일(17:3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이 약 2년 만에 올해 국내 주식 배당주형과 액티브퀀트형 위탁운용사 선정에 나선다. 국민연금은 국내주식을 위탁할 배당주형과 액티브퀀트형 펀드를 각각 2곳 이내로 선정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위탁운용사 선정은 지난 2017년 4월 이후 2년 4개월만이다.배당주형은 배당주와 향후 배당 증가가 예상되는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장기적인 자본 이득뿐 아니라 전략적인 고배당주로 안정적인 초과수익을 내는 것을 추구한다.과거 및 미래 배당지급을 고려한 종목 선택을 통해 운용하며, 'NPS-KRX 배당지수'를 벤치마크해 매니저의 재량으로 초과이익을 거둔다.액티브퀀트형은 벤치마크 대비 리스크를 통제하면서 계량적인 방법으로 초과수익을 추구한다. 현·선물 차익거래와 계량모형에 의한 업종 종목 스타일 등에 대한 틸팅(ilting)기법, 새로운 인덱스기법(Fundamental Indexing)등 을 활용한다.운용사 제안서 및 관련 자료 접수는 이달 30일까지다. 국민연금은 예비심사와 제안서 심사, 구술심사 대상자 선정(2배수), 구술심사 대상자 현장실사, 구술심사 등을 거쳐 다음달 30일 위탁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8900억 블라인드펀드 운용사 스틱·IMM·VIG 등 선정

    교직원공제회가 바이아웃(경영권매수) 사모펀드(PEF) 위탁운용사로 IMM 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등을, 벤처캐피탈(VC) 위탁사로 코오롱인베스트먼트와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등을 선정했다. 교직원공제회는 역대 최대인 8900억원을 블라인드펀드에 출자한다. 교직원공제회는 1일 블라인드펀드 국내 위탁운용사로 PEF 부문 9곳과 VC 부문 7곳 등 16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신규 출자 규모는 PEF 부문 8000억원, VC 부문 900억원 등 총 8900억원이다. 교직원공제회는 PEF와 VC 위탁운용사를 펀드 규모에 따라 별도로 각각 선발했다. 펀드 규모 5000억원 이상인 대형 PEF 위탁운용사로는 IMM PE, 스틱인베스트먼트, VIG파트너스,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유니슨캐피탈의 5개사가 선정됐다. 1조원 이상 규모의 펀드 결성이 예상되는 IMM 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등엔 1500억~2000억원, 1조원 미만 펀드를 결성하는 곳에는 1000억원 이내 금액이 출자될 예정이다. 펀드 규모 2000억~5000억원인 중형 PEF 운용사로는 SG PE,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등 2개사가 선정됐다. 교직원공제회는 최대 500억원을 출자한다. 설립 후 5년 이내거나 교직원공제회 출자를 받지 않은 운용사인 루키 부문에선 SBI인베스트먼트, 키스톤PE 등 2곳이 각각 최종 선정됐다. 700억~2000억원의 규모의 펀드 자금 가운데최대 250억원을 교직원공제회로부터 출자받게됐다. VC 가운데는 펀드 규모 600억원 이상 부문에선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의 3개사가 선정돼 각각 최대 200억원을 받을 예정이다. 신생 VC 운용사 부문에선 서울투자파트너스, 유비쿼스인

  • [마켓인사이트]사학연금, 해외위탁운용사로 삼성운용과 한국투자신탁운용 선정

    ≪이 기사는 05월09일(13:5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이 9일 해외주식·채권 등 위탁자산을 관리할 위탁운용사로 한국투자신탁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을 선정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사학연금의 해외주식 패시브형 주식 자산을, 삼성자산운용은 해외채권형 재간접 상장지수펀드(FoETFs) 자산을 각각 맡아 관리한다. 사학연금은 운용사 선정 공모에 제안서를 낸 자산운용사 14개 기관을 가운데 1차로 4개 기관을 선정한 뒤 위탁운용사 선정위원회의 정성평가를 거쳐 위탁운용사로 해외주식 패시브형 1곳과 해외채권형 FoETFs 1곳을 선정했다.사학연금 관계자는 “사학연금기금의 수익다변화와 위험 분산을 위해 올해도 해외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사학연금, 국내주식형 신규 위탁운용사 12곳 선정

    이 기사는 03월30일(14: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사학연금은 공모방식을 통해 국내주식형 신규 위탁운용사 12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사학연금은 지난 28일과 29일 양일에 걸쳐 열린 위탁운용사 선정위원회를 거쳐 성장형 운용사로는 IBK자산운용과 흥국자산운용, 자문사에는 토러스투자자문을 선정했다. 가치형 운용사로 베어링자산운용과 하이자산운용을, 자문사에는 브이아이투자자문이 낙점됐다.이외에 액티브퀀트형(DGB자산운용, 대신자산운용) 중소형주형(한국투자신탁운용, 신영자산운용). 사회책임투자형(한국투자신탁운용,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에도 각가 2개의 운용사를 선정했다.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