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S 활용한 엔켐 오너의 지분 거래 [코인式 작전 의혹②]
오정강 엔켐 대표가 53%를 보유한 아틀라스팔천은 지난달까지 엔켐 계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광무와 중앙첨단소재의 최대주주로 중앙첨단소재 자회사인 상지건설까지 상장사 3개를 지배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이다.하지만 4월 들어 아틀라스팔천은 세 차례의 대규모 지분 매매를 통해 두 회사에 대한 지분율을 떨어뜨리며 2대 주주로 물러났다. 이를 통해 아틀라스팔천이 확보한 돈은 400억원에 이른다. 한달간 400억 수익 올린 아틀라스팔천지난달 3일 아틀라스팔천은 보유하고 있던 광무와 중앙첨단소재 지분을 잇따라 매각했다. 먼저 50억원을 받고 광무 지분 4.23%를 협진에 매각하기로 했다. 중앙첨단소재의 지분 5.48%를 엔켐에 매각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매각 가격은 200억원이었다. 7일에는 중앙첨단소재 지분 150억원어치(지분율 4.58%)를 다시 광무에 팔았다.이같은 행보에 대해 엔켐측은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수순"이라고 밝혔다. 아틀라스팔천과 엔켐으로 이원화된 엔켐 계열의 지분 구조를 엔켐을 정점으로 광무→중앙첨단소재→상지건설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로 바꾸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다만 광무 지분 매입에 허덕이는 엔켐의 자금 여력을 감안할 때 엔켐이 계열사 지분을 사들여 수직계열화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도 나온다. 엔켐은 지난달 11일 중앙첨단소재와 공동으로 이니텍의 지분 33.86%를 인수하며 500억원을 투입했다. 여기에 255억원을 투입한 엔켐은 협진으로부터 광무 지분을 사올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영업손실 654억원, 순손실 5712억원 등을 기록하는 등 본업에서 현금을 창출하기도 어렵다.결국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