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한중일이 이끈 아태지역 부동산 투자 …1분기 거래액 71% 차지

    한중일이 이끈 아태지역 부동산 투자 …1분기 거래액 71% 차지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가 올해 1분기 아시아·태평양 지역(이하 아태지역) 상업용 부동산 직접투자 시장을 이끌었다. 상업용 부동산 투자 거래량이 대폭 줄어든 다른 지역과 달리 올해 아태지역 부동산 직접 투자 규모는 15~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로벌 종합 부동산 회사인 JLL의 ‘2021년 1분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캐피털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 상업용 부동산의 직접 투자 거래량은 미화 340억 달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준, 2020년 4분기 대비해서는 23% 감소했다. 하지만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한 북미,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을 뛰어넘었다.국내 유동성 기반이 풍부한 일본(115억 달러), 중국(83억 달러), 한국(43억 달러)이 1분기 직접 투자 거래액의 약 71%를 차지했다. 호주와 싱가포르도 직접 투자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8%, 280% 상승했다. 아태지역 상업용 부동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오피스 부문이다. 1분기 전체 투자의 47%를 유치하면서 전년 대비 2.5% 성장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큰 물류 자산은 전년 대비 거래량이 26%로 가장 크게 증가하며 전체 거래량의 23 %를 차지했다. 리테일 및 호텔 부문은 1분기 전체 거래 활동의 22%를 차지했다. JLL은 2021년 아태지역의 부동산 직접 투자 규모가 15~2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JLL 관계자는 "지난 4분기의 견고한 투자 거래 흐름세가 이어지고 투자 대기중인 미소진 자금(드라이 파우더)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향할 것"이라면서 "물류센터, 데이터 센터, 다세대 주택 등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자산의 성장이 이어지고, 오피스, 리테일 호텔 투자는 경기 회복

  • [마켓인사이트]아태지역 CFO들 "글로벌경기침체, 관세전쟁 등이 향후 비즈니스 최대 리스크"

    ≪이 기사는 10월23일(13: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아태지역 CFO(최고재무담당자)들이 향후 비즈니스의 최대 리스크로 '잠재적인 글로벌 경기침체'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JP모간이 아태지역 130개의 글로벌 기업의 150명 회계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0%에 달하는 응답자가 향후 1년 이내 위험요인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를 꼽았다. 다음으로 글로벌 관세전쟁(27%), 신흥국 경기둔화(24%), 사이버위협(10%), 브렉시트(9%)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업체와 가격조정을 협의하거나(34%), 대체 공급업체를 발굴(32%)하는 전략을 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밖에 관세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하거나(19%) 생산기지의 탈(脫)중국(15%)도 도모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올리버 브링크만 JP모간 아태지역 기업금융 책임자는 "글로벌 성장률 전망치가 올해 2.7%에서 내년 2.5%로 하락하며 향후 분기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지정학적 상황들이 시장 심리를 다소 흐리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계담당자들은 재무 회계 조직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비효율적인 프로세스 개선, 기술/인적자원 부족 해결 등을 꼽았다. 특히 응답자 가운데 50%가 인공지능(AI)을 전통적 금융시스템을 혁신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신흥 기술로 지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전자상거래 전략을 갖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45%에 그쳤고, 전략이 없다거나(34%) 계획단계라고 밝힌 비율도 2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특히 다양한 금융채널(26%)

  • [마켓인사이트]행정공제회 북미·아태 PDF에 2.5억달러 투자

    [마켓인사이트]행정공제회 북미·아태 PDF에 2.5억달러 투자

    ≪이 기사는 09월11일(16: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행정공제회가 북미·아시아태평양 지역 중견중소기업에 사모대출펀드(PDF)를 통해 2억5000만 달러(약 3000억원)를 투자한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행정공제회는 국내 증권사를 통해 외국 집합투자자로 등록을 완료했거나 등록이 가능한 펀드를 대상으로 북미·아시아태평양 PDF 운용사 제안을 오는 26일까지 받는다. 행정공제회는 미국 4개, 아시아·태평양 1개 등 총 5개의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출자금액은 총 2억 5000만 달러로 운용사별로 5000만 달러씩 출자가 이뤄진다. 10월 셋째주에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고, 11월 초에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사모대출펀드는 지분(Equity)에 투자하는 사모투자펀드(PEF)와 달리 부채(Debt)에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자금이 필요한 우량 기업을 발굴해 대출 투자로 돈을 빌려준 뒤 이자를 통해 고정적인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다. PEF에 비해 수익률은 낮지만 선순위담보대출을 통해 리스크가 낮다.행정공제회는 2016년부터 꾸준히 1억 달러 이상씩을 미국 및 유럽 지역의 PDF에 투자해왔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