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GF, 홍석조 회장 보유 BGF리테일 지분 4.44% 매입
BGF그룹의 지주회사인 BGF가 자회사인 BGF리테일 지분을 30%까지 늘렸다. 지주회사 관련 규제 강화에 대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BGF는 20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이 보유한 BGF리테일 주식 76만7380주를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이날 BGF리테일 종가(18만500원) 기준으로 총 1385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였다. 이번 거래로 BGF의 BGF리테일 지분율은 기존 25.56%에서 30.00%로 높아졌다. 홍 회장의 지분율은 11.80%에서 7.36%로 떨어졌다.BGF가 BGF리테일 지분율을 높인 것은 지주회사가 보유해야할 자회사 지분율을 높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정거래법 개정안 도입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다. 현재 국회에 입법 발의돼 있는 이 개정안이 통과하면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대기업이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자회사 지분율은 기존 20%에서 30%(비상장사는 30%에서 50%)로 높아진다.BGF그룹은 지난해 11월 편의점업체인 BGF리테일을 지주회사인 BGF와 사업회사 BGF리테일로 인적분할한 것을 시작으로 지주회사 체제 전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3월 BGF가 BGF리테일 주식을 공개매수하고 그 대가로 BGF리테일 주주들에게 자사 신주를 발행하는 주식교환을 마무리하면서 지배구조의 틀을 다졌다. BGF가 핵심 계열사인 BGF리테일 지분을 20% 이상 보유하게 되면서 홍석조 BGF그룹 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가 BGF를 통해 계열사들을 거느리는 구조가 완성됐다.BGF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 강화로 지주회사가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자회사 지분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나서서 BGF리테일 지분율을 높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자회사로 편입…지배구조 개편 박차
롯데그룹 지주회사인 롯데지주가 호텔롯데와 롯데물산이 보유한 롯데케미칼 지분을 사들인다.롯데지주는 10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호텔롯데가 보유한 롯데케마칼 주식 434만6818주 중 410만1467주를, 롯데물산 보유 주식 1071만8818주 중 386만3734주를 사들였다고 공시했다. 총 796만5201주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인수가격은 2조2274억원이다. 이번 거래로 롯데지주는 롯데케미칼 지분 23.24%를 확보해 이 회사 최대주주가 됐다.롯데지주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으로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롯데지주는 이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1165만7000주를 소각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오는 12월25일 자사주 소각이 완료되면 이 회사 보통주 물량은 1억1656만6237주에서 1억490만9237주로 줄어든다. 롯데지주는 다음달 21일 감자를 위한 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SG고려, SG충방 지분 6.67% 매각
≪이 기사는 08월31일(10: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G고려가 자회사 SG충방 지분을 또 한 번 매각한다.SG충방은 31일 최대주주인 SG고려가 회사 지분 300만주(6.67%)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이날 공시했다. 매각가격은 주당 2117원으로 전날 종가(2490원)보다 373원 싸다. 이번 거래로 SG고려는 63억5000만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SG고려의 SG충방 지분율은 55.06%에서 48.39%로 낮아진다. SG고려는 지난 3월에도 시간외매매로 SG고려 주식 200만주(4.45%)를 매각해 약 79억원을 마련했다. 최근 6개월 동안에만 자회사 지분 11.12%를 처분했다.SG충방은 1954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업체로 자동차용 시트, 시트커버 등을 제조하고 있다. 1976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상반기 매출은 748억원, 영업이익은 2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187.0% 증가했다. 최대주주가 잇달아 보유 지분을 매각한 여파로 주가는 계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이날 10시20분 기준 SG충방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75원(-3.01%) 내린 2415원에 거래되고 있다. SG고려가 보유 지분을 팔기 직전인 지난 3월2일(4805원) 대비 49.73% 떨어졌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신세계 오너일가, 이마트에 계열사 3곳 지분 매각
이명희 회장, 정재은 명예회장, 정용진 부회장 등 신세계그룹 오너 일가가 보유 중인 신세계건설, 신세계푸드, 신세계I&C, 지분을 이미트에 매각했다. 이마트는 지난 10일 이 회장, 정 명예회장, 정 부회장이 보유한 신세계건설, 신세계푸드, 신세계I&C 지분을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이 회장은 신세계건설 주식 37만9478주와 신세계푸드 주식 2만9938주, 정 명예회장은 신세계I&C 주식 4만주, 정 부회장은 신세계I&C 주식 7만4170주와 신세계건설 3만1896주를 각각 이마트에 넘겼다. 거래금액은 총 343억원이다.이마트는 이번 거래로 이들 3개 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을 더 강화했다. 신세계건설 지분율은 32.41%에서 35.65%, 신세계푸드는 46.10%에서 46.87%, 신세계I&C는 30.49%에서 35.65%로 높였다. 신세계그룹 오너 일가가 직접 지분을 가진 계열사는 이마트 신세계 광주신세계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4곳으로 줄어들게 됐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계열사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안트로젠과 더 가까워진 이엠텍…이번엔 상호 CB 투자
≪이 기사는 04월12일(17:0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음향기기 제조업체인 이엠텍이 상호 투자를 통해 바이오업체엔 안트로젠과의 관계를 더 돈독하게 다지고 있다. 지난해 서로의 지분을 사들인 데 이어 이번엔 서로를 상대로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이엠텍은 지난 11일 안트로젠을 상대로 3년 만기 CB 140억원어치를 발행했다고 12일 공시했다. CB는 일정 기간 이후 투자자가 발행회사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안트로젠은 내년 4월부터 한 주당 1만8043원에 해당 CB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12일 종가 기준 1만8350원인 이엠텍 주가가 1년 동안 전환가격보다 높게 유지되면 안트로젠은 이 CB를 부담없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이번 CB의 발행금리는 0%다. 같은 날 안트로젠도 이엠텍을 상대로 3년 만기 CB 18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엠텍과 마찬가지로 내년 4월부터 CB의 주식 전환이 가능하다. 전환가격은 한 주당 17만1264원으로 이날 종가(17만4100원)보다 낮다. 이 CB의 발행금리 역시 0%다.지난해 지분 투자 이후 더욱 가까운 관계가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엠텍은 지난해 4월 안트로젠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100억원에 회사 지분 6.16%를 사들였다. 안트로젠도 비슷한 시기에 시간외 대량매매를 통해 78억원을 들여 이엠텍 지분 4.42%를 매입했다. 증권업계에선 이엠텍이 줄기세포를 활용한 희귀질환치료제를 개발 중인 안트로젠과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헬스케어 사업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음향기기 사업이 주력인 이엠텍은 2015년 말 보청기업체 비에스엘을 인수해 헬스케어 분야에 뛰어들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말 주식교환을 통해 비에스엘을 100%
-
엔터메이트, 3대주주 BRV로투스펀드가 보유 지분 전량 처분
≪이 기사는 02월23일(11: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게임업체 엔터메이트의 3대주주인 BRV로투스펀드가 보유 지분 전량을 처분했다.BRV로투스펀드는 23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보유하고 있던 엔터메이트 지분 10.15%를 모두 매각했다. 거래 상대는 메리츠종금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KB증권 NH증권 SK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다. 1주당 1881원에 매각해 총 50억원을 회수했다.엔터메이트는 2014년 설립된 게임업체로 서울 서초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의천’ ‘킹덤파이터즈’ 등 9개 온라인게임과 ‘아이러브삼국지’ ‘패왕 : 혼돈의 시작’ 등 23개 모바일게임을 출시했다. 최근 실적은 좋지 않다. 지난해 매출은 189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줄었고 영업손실(100억원) 규모는 같은 기간 59억원 증가했다. 신작 출시가 지연되는 가운데 사업 관련 비용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얼마 전 최대주주가 바뀌기도 했다. 지난 12일 해외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박문해 이사가 시간외매매로 보유 지분 15.61% 중 4.53%를 매각하면서 이태현 대표이사(지분율 15.59%)가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세계일보, 블록딜로 용평리조트 잔여지분 전량 처분
≪이 기사는 01월23일(16: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세계일보가 시간외매매(블록딜)로 보유 중인 용평리조트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세계일보는 지난 22일 블록딜을 통해 용평리조트 주식 285만8611주(5.94%)를 매각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이번 거래를 통해 세계일보는 지난해 9월 블록딜 당시 팔지 못했던 지분을 정리하게 됐다. 당시 세계일보는 보유 주식 436만2816주(9.06%) 중 더 많은 물량을 처분하려고 했지만 150만4205주(3.12%)만 팔렸다.세계일보가 용평리조트 지분을 모두 정리하면서 증권업계에선 같은 통일그룹 계열사인 선원건설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선원건설은 용평리조트 2대주주로 이 회사 주식 471만7820주(9.8%)를 갖고 있다. 지난해 9월 세계일보와 함께 블록딜에 나서 110만주(3.29%)를 처분했다. 선원건설 또한 당초 목표치보다 적은 물량을 매각했다.용평리조트는 1975년 설립된 국내 최초로 현대식 스키장 운영업체다. 용평리조트뿐만 아니라 포레스트레지던스와 버치힐테라스레지던스 등 여러 레지던스(호텔식 서비스가 제공되는 오피스텔)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최대주주는 지분 35.99%를 들고 있는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유지재단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서한실업, 태광 계열사들 지분 줄줄이 매각
이 기사는 11월28일(04: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태광그룹의 직물 제조 계열사인 서한실업이 보유한 다른 태광 계열사 지분을 잇달아 매각하고 있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을 비롯한 오너 일가와 태광산업 한국도서보급 등 일부 계열사가 지분을 사들여 자금을 지원했다.서한실업은 지난 27일 자회사 서한물산 주식 2만주를 33억원을 받고 태광산업에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서한물산은 지난 1일 서한실업의 지관류 제조사업을 물적분할해 설립한 회사다. 떼어낸 법인이 ‘서한물산’이라는 사명을 그대로 이어받았고, 존손법인이 ‘서한실업’이라는 새 사명으로 출발했다. 서한실업의 최대주주는 이호진 회장으로 지분 59.77%를 들고 있다. 서한실업은 분할 이후 태광그룹의 화학 계열사인 대한화섬의 지분을 모두 정리해 현금을 확보했다. 지난 10일 시간외매매로 이 회장(5만2282주)과 그의 아들 이현준씨(4만1799만주), 한국도서보급(9만2338주)에 보유 중인 주식 18만6419주(14.04%) 전량을 222억원에 매각했다. 서한물산 지분 매각까지 합하면 이달에만 계열사 주식을 팔아 총 255억원을 확보했다.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산매각이다. 이 회사는 분할과정에서 상당부문의 부채를 이어받았다. 분할 전(6월말 재무제표 기준) 131억원인 부채 중 123억원이 서한실업으로 넘어왔다. 반면 수익성은 다소 떨어졌다. 2012년 15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이 지난해 11억원으로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DB손보, DB금융투자 지분 5.16% 매입
이 기사는 11월16일(17:2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DB손해보험(옛 동부화재)이 동부제철이 보유한 DB금융투자(옛 동부증권) 지분 중 절반 이상을 사갔다. DB손해보험은 16일 동부제철로부터 DB금융투자 주식 218만8824주(5.16%)를 시간외매매로 84억원에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DB금융투자의 최대주주인 DB손해보험은 이번 거래로 지분율을 25.08%로 높여 지배력을 더 강화했다. DB금융투자 관계자는 “DB그룹 금융 계열사간 시너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동부제철은 이날 다른 투자자들한테도 DB금융투자 지분을 매각해 보유 지분 전량(8.13%)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137억원을 확보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아시아나항공, 대우건설 지분 2.2% 전량 처분한다
이 기사는 11월08일(08:4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이 보유 중인 대우건설 지분을 모두 매각하기로 했다.아시아나항공은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대우건설 지분 2.2%(913만8514주)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각 예정일은 오는 10일이며 예상 매각가격은 558억원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비핵심자산 매각”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