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美 IRA 한숨 돌려"…6% 뛴 포스코홀딩스

    "美 IRA 한숨 돌려"…6% 뛴 포스코홀딩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부 지침이 발표되면서 국내 2차전지 소재주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증권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우려와 달리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생산된 광물도 한국에서 주로 가공하면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세부 지침을 정했기 때문이다.3일 포스코홀딩스는 6.52% 오른 39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엘앤에프도 4.63% 오른 32만8000원에 마감했다. 포스코퓨처엠(5.87%), 에코프로비엠(3.34%) 등 다른 2차전지 부품·소재주도 상승 마감했다.미국 재무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IRA 세부지침은 배터리 핵심 광물을 해외에서 조달하더라도 한국에서 가공해 50% 이상 부가가치를 창출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규제 일부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제 혜택은 전기차 한 대당 3750달러다.증권사들은 국내 2차전지 소재주가 직접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포스코홀딩스는 전남 광양에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어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 오는 10월 준공하면 연간 4만3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엘앤에프도 지난달 6일 중국 시노리튬머티리얼즈와 합작해 국내에 리튬 정제 공장을 짓기로 결정했다.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양극재, 음극재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해도 IRA 요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해외 공장 건설 승인 과정에 어려움을 겪던 엘앤에프는 리스크 해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배터리 부품으로 분류되는 전해액과 분리막 업체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전해액, 분리막과 같은 부품의 경우 북미에서 제조해야 세액공제를

  • IRA 세부법안에 한숨돌린 2차전지株…"소재회사가 수혜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부 법안이 발표되면서 국내 양극재 소재주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증권가 전망이 나오고 있다. IRA 법안에서 양극·음극 활물질이 광물로 분류되면서 국내서 생산해도 IRA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이다.3일 오전 POSCO홀딩스는 7.07% 오른 39만4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엘앤에프도 4.64% 오른 32만8000에 거래 중이다. 포스코퓨처엠(6.24%), 에코프로비엠(3.12%) 등 다른 2차전지 부품·소재주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IRA 법안의 세부법안이 발표되면서 2차전지 소재주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다.미국 재무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IRA 세부지침에 따르면 2차전지 핵심광물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하더라도 미국과 FTA를 체결한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 가공할 경우 세액공제 지급 대상에 포함키로 했다.IRA 세부법안에 따르면 △북미에서 제조 또는 조립한 부품을 전기차 배터리에 50% 이상 사용 또는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의 40%를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경우 전기차에 375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국내에서 리튬 등의 핵심 광물 가공 공장을 지닌 업체들은 IRA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얘기다.증권사들은 국내 2차전지 소재주들이 IRA 법안의 직접적인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POSCO홀딩스의 경우 전남 광양에서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오는 10월 준공이 끝나면 연간 4만3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엘앤에프도 지난달 중국 시노리튬머티리얼즈와 합작해 국내에서 리튬 생산공장

  • 공매도 타깃 된 中 리오프닝주

    이달 들어 국내 증시가 주춤해지면서 외국인이 주도하는 공매도 금액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주들이 공매도 세력의 ‘타깃’이 됐다.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의 이달(1~21일)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43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하루평균 공매도 대금(3730억원)보다 16.8% 증가했다. 코스닥시장의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도 지난달 834억원에서 이달 1586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건수(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도 지난달 28건에서 이달 64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외국인 투자자들의 공매도 거래금액이 많이 증가했다. 이달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가증권시장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3056억원으로 지난달(2516억원)에 비해 21.4% 늘어났다. 기관투자가들은 지난달 대비 8.8% 증가한 1232억원, 개인투자자들은 20% 줄어든 64억원이었다.종목별로 보면 리오프닝 수혜주를 중심으로 공매도 잔액이 늘어났다. 롯데관광개발의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액 비중은 지난달 2일 10.22%에서 이달 17일 기준 11.07%로 늘어났다. 호텔신라는 같은 기간 3.72%에서 4.17%로, 코스맥스는 1.82%에서 2.17%로, 하나투어는 1.32%에서 1.99%로 증가했다. 공매도 잔액은 투자자들이 공매도 후 아직 상환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전문가들은 증시 추가 상승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공매도가 더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달과 달리 금리 상승, 달러 강세 등 덜 우호적인 증시 환경이 조성되며 증시 상단이 제한받고 있다”며 “3월 미국 고용 및 인플레이션 수치를 확인하기 전까지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것&r

  • 코스피 주춤하자 늘어나는 공매도…리오프닝 수혜주에 집중

    코스피 주춤하자 늘어나는 공매도…리오프닝 수혜주에 집중

    이달 들어 국내 증시가 주춤해지자 외국인을 중심으로 공매도 금액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주들이 공매도 세력의 '타깃'이 됐다.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의 이달(2월1일~21일) 월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43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평균인 3730억원보다 16.8% 증가했다. 코스닥시장의 월평균 공매도 거래대금도 지난달 834억원에서 이달 1586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건수(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도 지난달 28건에서 이달 64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의 공매도 거래금액이 많이 늘어났다. 이달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가증권시장 월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3056억원으로 지난달(2516억원)에 비해 21.4% 늘어났다. 기관 투자자들은 지난달 대비 8.8% 늘어난 1232억원, 개인 투자자들은 20% 줄어든 64억원이었다.종목별로 보면 리오프닝 수혜주들을 중심으로 공매도 잔고가 늘어났다. 롯데관광개발의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고 금액 비중은 지난달 2일 10.22%에서 지난 17일 기준 11.07%로 늘어났다. 호텔신라는 같은 기간 3.72%에서 4.17%, 코스맥스는 1.82%에서 2.17%, 하나투어는 1.32%에서 1.99%로 각각 증가했다. 공매도 잔고 금액은 투자자들이 공매도 후 아직 상환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총거래량 대비 공매도 거래 비중이 높은 종목들도 리오프닝주에 집중됐다. 이달 아모레퍼시픽의 공매도 거래 비중은 19.7%, LG생활건강은 19.0%로 집계됐다. 휠라홀딩스(17.1%), 아모레G(17.8%) 역시 공매도 비중이 높았다.지난달 국내 증시가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종료 및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크게 상승했지만, 이달 들어 다시 긴축 장기

  • 월가가 꼽은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는 [신정은의 글로벌富]

    월가가 꼽은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는 [신정은의 글로벌富]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이 코로나19 방역을 완화하면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 주 찾기가 한창이다. 월가 전문가들은 항공, 식음료 등 중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외국 기업을 주목할 것을 추천했다.2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중국이 연말 '제로 코로나' 방역 규제 완화를 발표한 이후 소비주가 작년 11월 최저치 이후 약 40% 상승했다. 이미 상당한 랠리를 보인 것이다.특히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중국 대형 음식 체인점 하이디라오와 여행 사이트 트립닷컴 등 핵심 개별주가 불균형적으로 상승했다고 봤다. 두 회사 주가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 규제 완화 이후 각각 60% 이상 급등했다.중국 '리오프닝' 관련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눈여겨보고 있던 투자자 입장으로썬 이런 소식이 반갑지는 않다. 이미 고점을 찍은 것인지,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글로벌 은행 HSBC는 "모든 관련 기업의 주가가 같은 속도로 재반등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에 따라 중국이 아닌 제3국에서 중국의 '리오프닝' 수혜 주를 찾는 것이 다른 투자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UBS는 태국의 최대 호텔 외식 기업인 마이너 인터내셔널과 철도 사업자인 TS그룹, 대표 은행인 방콕 은행 등을 중국 관련 수혜 주로 꼽았다. 태국 관광청에 따르면 올해 500만명 이상의 중국 관광객이 태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골드만삭스는 중국이 비자 발급 제한을 없애고 해외여행을 점차 정상화하면서 태국과 홍콩, 싱가포르가 가장 많은 혜택을 보는 관광지가 될 수 있다고 봤다.UBS는 또 싱가포르 대형 부동산 기업 캐피타랜드 인베스트먼트도 눈

  • 연일 오르는 화장품株…중국 리오프닝 '찐 수혜주'는?

    연일 오르는 화장품株…중국 리오프닝 '찐 수혜주'는?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에 힘입어 화장품주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화장품 기업 가운데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진짜 수혜주를 골라야 한다고 조언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화장품 ETF(상장지수펀드)는 최근 1개월 간 18.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수익률(4.65%)을 훨씬 웃돌았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 화장품주 뿐만 아니라 코스닥 소형주들도 덩달아 올랐다. 선진뷰티사이언스(14.60%), 현대바이오랜드(10.89%) 등 화장품 소형주는 이날 10% 넘게 주가가 뛰었다.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화장품 기업 주가가 전반적으로 뛰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봉쇄를 규탄하는 시위가 중국 전역에서 벌어지자 중국 정부가 방역 정책을 완화할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 이날 중국 정부가 유전자증폭(PCR) 전수 검사 폐지 등 10대 방역 완화 조치를 발표한 것도 리오프닝 가속화 기대를 키우고 있다. 증권가에선 화장품주에 대한 ‘옥석 고르기’가 필요한 시점이란 조언이 나온다. 무차별적으로 상승한 화장품주 가운데 중국 리오프닝 혜택을 크게 받을 종목을 고를 만하다는 설명이다.  중국 매출 의존도가 높은 대형 화장품 기업이 대표적 수혜주로 꼽히고 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현지 및 중국향 수출 매출 비중은 70%다. 애경산업(66%), LG생활건강(57%)도 중국 관련 매출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중국 고객사 의존도가 높은 ODM(제조자개발생산) 업체도 리오프닝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스맥스는 전체 매출에서 중국 현지 매출 비중이 37%, 중국향 수출 비중이 14%를 차지한다. 이외 코스

  • '제2의 오징어게임' 되나…'수리남' 수혜주는 어디? [박병준의 기승쩐주(株)]

    STOCK

    '제2의 오징어게임' 되나…'수리남' 수혜주는 어디? [박병준의 기승쩐주(株)]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수리남'이 9일 공개된 가운데 수리남 관련 수혜주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언론과 평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면서 '제2의 오징어게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입니다.수리남은 이동진 영화평론가로부터 호평받았는데요. 이 평론가는 "이 놀라운 실화 기반 이야기는 강력한 서스펜스로 작동되어 긴장감이 넘친다"고 치켜세웁니다. 그는 이어 "큰 규모의 설정 속에서도 디테일이 생생하게 살아있어 장면들의 스킨십이 대단하다"며 "탄력 있는 대사와 능숙한 액션으로 시종 흥미롭다"고 말했습니다. 배우들의 연기도 훌륭하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완성도 높은 각본과 하정우 황정민 박해수 조우진 유연석 등 출연진들의 개성 넘치는 연기 덕분에 캐릭터들이 입체적으로 도드라져 있다"고 분석했습니다.투자자들의 관심은 수리남 수혜주로 옮겨갑니다. 콘텐트리중앙과 카카오가 대표적인데요. 수리남 제작을 맡은 퍼펙트스톰필름은 비상장사로 콘텐트리중앙이 계열사인 에스엘엘 중앙을 통해 지분을 100% 보유하여 간접 지배하고 있습니다. 퍼펙트스톰과 함께 공동제작을 맡은 영화사 월광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지분 41%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비상장사로 카카오가 최대주주입니다.수리남 수혜주로 꼽히는 두 기업의 최근 주가 흐름은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3개월 전만 하더라도 5만원을 넘보던 콘텐트리중앙은 3만원 선에 머물며 20% 넘게 떨어졌습니다. 경쟁사 대비 아쉬운 실적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CJENM 계열 드라마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 '파월빔’에 움츠러든 증시…"성장주 덜고, 정책 수혜주 담아야"

    STOCK

    '파월빔’에 움츠러든 증시…"성장주 덜고, 정책 수혜주 담아야"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최근 경기 침체를 감수하더라도 강도 높은 긴축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내보이면서 글로벌 증시가 위축되고 있다. 금리 인상 국면이 곧 끝날 것이란 낙관적 전망이 빗나가면서, 업종별 주가 흐름도 달라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 흐름과 무관한 정책 수혜주들이 당분간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30일 오전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0.5% 상승한 2439.16에 거래 중이다. 전날 파월 의장의 긴축 성향 발언으로 하루만에 2.18% 하락한 뒤 소폭 반등한 모양새다.지수가 소폭 반등했지만, 전문가들은 여름동안 이어진 반등추세가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교보증권은 다음달 코스피지수가 2400~2600 사이에서 등락하는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증권가에서는 미국 금리인상 기조가 길어지면서 금리 인상에 취약한 업종을 덜어내라고 조언이 나왔다. 특히 기술주들은 금리 인상기마다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대표적인 업종으로 꼽힌다. 기술주는 금리가 높을수록 미래 실적에 대한 할인율이 높아져 실적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기업 가치)으로 평가받아 투자매력이 떨어진다.실제로 파월의 매파적 발언이 나온 이후 글로벌 증시에서 기술주·반도체주들은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지난 29일 미국 증시에서 AMD와 엔비디아는 각각 2.95%, 2.82%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국내에서도 카카오와 네이버는 전일 각각 3.31%, 5.0% 하락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도 전날 2.33%, 2.73% 하락했다.손주섭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으로 반도체 업종이 주가 상승분을 반납하고 코스피지

  • STOCK

    高환율 수혜 덮은 침체 우려…기 못펴는 해운·의류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통적인 ‘환율 수혜주’로 꼽혀온 해운·의류·자동차주 주가가 맥을 못 추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가 환율 수혜에 대한 기대 심리를 덮어버렸다는 분석이다.24일 대한해운은 3.62% 내린 2265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5일간 8.87% 하락했다. 같은 해운주인 HMM과 팬오션 역시 같은 기간 각각 5.77%, 4.33% 떨어지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도 하락세다. 한세실업은 8.7%, 영원무역은 3.6% 빠졌다. 현대자동차는 환율 상승세 속에서도 0.8% 오르는 데 그쳤다.해운, 의류, 완성차 업체들은 대표적인 고환율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해운업은 무역 대금을 달러로 받기 때문에 환율이 뛸수록 원화 기준 실적이 증가한다. 수출 비중이 높은 의류 OEM, 완성차 업체들도 환율이 오를수록 가격 경쟁력이 올라가는 구조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환율 수혜 효과를 경기 침체 우려가 덮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고환율 기조가 장기간 이어지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완성차·의류 업체들은 되레 역효과만 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업체들이 해외 현지에 공장을 많이 세우면서 환율이 기업 이익에 미치는 민감도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배태웅 기자

  • 원달러 환율 지붕 뚫었는데…맥 못춘 '환율 수혜주'

    원달러 환율 지붕 뚫었는데…맥 못춘 '환율 수혜주'

    유례없는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환율 수혜주’로 꼽히는 해운·의류·자동차주의 주가가 맥을 못추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가 환율 수혜에 대한 기대 심리를 덮어버렸다는 분석이다.24일 대한해운은 3.62% 내린 2265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5일간 8.87% 하락했다. 같은 해운주인 HMM과 팬오션 역시 최근 5일간 각각 5.77%, 4.33%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의류 OEM(주문자생산방식) 업체들도 하락세다. 한세실업은 최근 5일간 한세실업은 8.7%, 영원무역은 3.6% 빠졌다. 현대차는 환율 상승세 속에서도 최근 5일간 0.8% 오르는 데 그쳤다.해운, 의류 OEM, 완성차 업체들은 대표적인 고환율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해운업은 무역 대금을 달러로 받는데, 환율이 뛸수록 원화 기준 실적이 증가한다. 수출 비중이 높은 의류 OEM, 완성차 업체들은 환율이 오를수록 가격 경쟁력이 올라간다. 그러나 이러한 환율 수혜 효과를 경기 침체 우려가 덮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원·달러 환율은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 1일 달러당 1304원 수준에서 24일 기준 1340원10전까지 뛰었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외국인 매수세도 약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고환율 기조가 장기간 이어지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완성차·의류 OEM 업체들은 역효과만 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에는 환율 상승과 국내 업체들의 이익 관계가 비교적 명확했다”며 ”최근에는 국내 업체들이 해외 현지에 공장을 세우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서 환율이 기업 이익에 미치는 민감도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빅히트엔터 상장 소식에 관련 주가 뛰는 수혜주

    31일 방탄소년단(BTS)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기업공개(IPO) 목표로 증권사들에 상장 입찰제안서(RFP)를 발송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했다.이날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2대 주주 넷마블은 장중 전일 대비 4400원(4.9%) 오른 9만3300원까지 주가가 상승했다. 넷마블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2018년 2014억원을 투자해 보통주 25.2%를 보유했다. 넷마블은 이날 8만9600원(0.8%)로 장을 마감했다.자회사 스틱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투자한 유가증권 상장사 디피씨 또한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 장중 전일 대비 1280원(25.2%) 증가한 636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날 디피씨는 5930원(16.7%)으로 장을 마쳤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블라인드펀드(스틱스페셜시츄에이션사모투자 합자회사)를 통해 1040억원을 투자해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2.2%를 보유한 3대 주주다.BTS의 일본 활동을 지원한 매니지먼트 및 기획사 키이스트 또한 주가가 소폭 상승했다. 375원(12.4%) 오른 3405원까지 주가가 반짝 상승했다 3065원(1.2%)으로 장을 마쳤다.전일 대비 10% 이상 주가가 오른 디피씨를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상장에 관해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밝힌 이후 상승세가 주춤한 상태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