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IRA 한숨 돌려"…6% 뛴 포스코홀딩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부 지침이 발표되면서 국내 2차전지 소재주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증권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우려와 달리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생산된 광물도 한국에서 주로 가공하면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세부 지침을 정했기 때문이다.3일 포스코홀딩스는 6.52% 오른 39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엘앤에프도 4.63% 오른 32만8000원에 마감했다. 포스코퓨처엠(5.87%), 에코프로비엠(3.34%) 등 다른 2차전지 부품·소재주도 상승 마감했다.미국 재무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IRA 세부지침은 배터리 핵심 광물을 해외에서 조달하더라도 한국에서 가공해 50% 이상 부가가치를 창출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규제 일부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제 혜택은 전기차 한 대당 3750달러다.증권사들은 국내 2차전지 소재주가 직접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포스코홀딩스는 전남 광양에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어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 오는 10월 준공하면 연간 4만3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엘앤에프도 지난달 6일 중국 시노리튬머티리얼즈와 합작해 국내에 리튬 정제 공장을 짓기로 결정했다.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양극재, 음극재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해도 IRA 요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해외 공장 건설 승인 과정에 어려움을 겪던 엘앤에프는 리스크 해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배터리 부품으로 분류되는 전해액과 분리막 업체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전해액, 분리막과 같은 부품의 경우 북미에서 제조해야 세액공제를
-
IRA 세부법안에 한숨돌린 2차전지株…"소재회사가 수혜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부 법안이 발표되면서 국내 양극재 소재주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증권가 전망이 나오고 있다. IRA 법안에서 양극·음극 활물질이 광물로 분류되면서 국내서 생산해도 IRA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이다.3일 오전 POSCO홀딩스는 7.07% 오른 39만4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엘앤에프도 4.64% 오른 32만8000에 거래 중이다. 포스코퓨처엠(6.24%), 에코프로비엠(3.12%) 등 다른 2차전지 부품·소재주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IRA 법안의 세부법안이 발표되면서 2차전지 소재주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다.미국 재무부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IRA 세부지침에 따르면 2차전지 핵심광물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하더라도 미국과 FTA를 체결한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 가공할 경우 세액공제 지급 대상에 포함키로 했다.IRA 세부법안에 따르면 △북미에서 제조 또는 조립한 부품을 전기차 배터리에 50% 이상 사용 또는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의 40%를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경우 전기차에 375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국내에서 리튬 등의 핵심 광물 가공 공장을 지닌 업체들은 IRA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얘기다.증권사들은 국내 2차전지 소재주들이 IRA 법안의 직접적인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POSCO홀딩스의 경우 전남 광양에서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오는 10월 준공이 끝나면 연간 4만3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엘앤에프도 지난달 중국 시노리튬머티리얼즈와 합작해 국내에서 리튬 생산공장
-
[마켓인사이트]코스닥 상장 앞둔 엔바이오니아 “영업이익률 20%가 넘는 소재회사”
“높은 영업이익률과 성장성을 자랑하는 글로벌 복합소재 기업이 목표입니다.”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는 엔바이오니아의 한정철 대표이사(사진)는 8일 서울 여의도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소재 생산으로 영업이익률이 20%가 넘는다”며 “상장 이후 고객사가 늘어 매출 규모가 더 커지면 ‘규모의 경제’ 효과로 영업이익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오는 2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엔바이오니아는 2001년 한 대표가 설립한 복합소재 기업이다. 복합소재를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습식공정에 대한 노하우를 인정받아 기술특례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상장한다. 한 대표는 “다른 업종(바이오 등)과는 다르게 기술을 상용화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은 물론 사용처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엔바이오니아의 주력 상품은 직수형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와 자동차 경량화 소재다. 이 회사가 만드는 직수형 정수기용 필터는 양극(+) 극성을 띠어, 음극(-) 극성인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끌어당기는 원리를 활용한다. 지난 2월 쿠쿠홈시스와의 독점 계약이 종료돼, 다른 잠재 고객사와도 계약을 조율하고 있다. 최근 깨끗한 식수에 대한 관심이 커진 중국 시장으로 진출을 준비 중에 있다. 이 회사가 만드는 자동차 경량화 소재 또한 사용처가 최근 늘어났다. 기존에는 철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던 ‘엔진 언더커버’를 복합소재로 만들어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크게 줄였다. 엔바이오니아 관계자는 “초등학생이 가볍게 들어 올릴 만큼 가벼워져서 기존 소재로 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