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증권, 여의도 본사 사옥 직접 매입 대신 '셰어딜' 방식 재투자
서울 여의도 현대차증권빌딩에 대해 우선매수권을 행사한 현대차증권이 직접 건물을 매입하는 대신, '셰어딜' 형태의 재투자를 추진한다. 셰어딜이란 빌딩을 소유한 부동산펀드는 그대로 둔채 펀드의 수익증권(지분)을 일부를 매입하는 형태의 거래를 뜻한다. 현대차증권빌딩은 코람코자산운용의 부동산펀드가 소유하고 있다.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증권은 여의도 본사 사옥(현대차증권빌딩)을 직접 매입하지 않고, 새로운 투자자들과 함께 기존 펀드에 다시 투자자로 참여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기존 펀드에 투자한 원금과 매각 차익 중 일부를 기존 펀드에 재투자해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앞서 코람코자산운용은 2020년 10월 현대차증권빌딩을 인수해 부동산펀드에 편입했다. 올해 10월인 펀드 만기를 약 1년 앞두고 해당 빌딩을 매물로 내놔 지난 2월 매수 희망자들로부터 입찰을 받았다. 여기서 3.3㎡당 2900만원, 총 3547억원으로 최고가를 써낸 BNK자산운용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BNK자산운용은 이 빌딩을 인수해 인접한 BNK금융타워와 함께 복합 개발하는 방안을 구상했다.하지만 주요 임차인인 현대차증권은 BNK자산운용이 제안한 가격에 맞춰 우선매수권을 행사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차증권은 코람코자산운용이 해당 빌딩을 인수할 당시 금융 주간사 역할을 하면서 우선매수권을 확보했고, 투자자로도 참여해 약 152억원의 수익증권도 보유하고 있다.이에 따라 현대차증권빌딩을 담은 코람코자산운용의 펀드 만기도 연장될 예정이다. 현대차증권이 지분을 늘리면서 기존의 다른 투자자는 수익금을 회수해 엑시트할 기회가 주어졌다. 코람코자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