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한국제지, 백판지 업체 세하 인수한다

    ▶마켓인사이트 2월 26일 오후 5시18분국내 제지업계 ‘빅4’ 중 한 곳인 한국제지가 백판지 제조업체 세하를 인수한다. 한국제지는 지난해 골판지업체 원창포장공업에 이어 세하까지 인수하면서 공격적으로 몸집을 불리고 있다.2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유암코)는 이날 세하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제지·해성산업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유암코가 보유한 세하 지분 71.6%와 503억원의 채권이 한국제지 컨소시엄에 넘어간다. 매각 측은 상세 실사를 거쳐 다음달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세하는 1984년 설립돼 1996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제과, 제약, 화장품 등의 포장재로 쓰이는 범용 백판지(SC마니라지, 아이보리지 등)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1772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총 1조3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백판지 시장에서 약 13%의 점유율로 한솔제지, 깨끗한나라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던 세하는 2005년 카자흐스탄 광구 유전 개발 등 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다가 유동성 위기가 불거졌다. 결국 2013년 말 채권단공동관리(워크아웃)를 신청해 이듬해 유암코에 인수됐다.한국제지가 세하를 인수하는 것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포장지로 쓰이는 백판지는 전자상거래 확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백판지 시장 내 주요 업체 중 하나인 신풍제지가 공장 이전 문제로 평택 백판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면서 업계에 공백이 생긴 지금을 백판지 시장 진입의 적기로 판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유암코의 구조조정을 거치며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세하 인수를 시작으로

  • [마켓인사이트] 구조조정 마무리 한 백판지업체…세하, 본격적인 매각 절차 돌입

    [마켓인사이트] 구조조정 마무리 한 백판지업체…세하, 본격적인 매각 절차 돌입

    ▶마켓인사이트 12월 2일 오후 3시5분유가증권시장 상장 백판지 제조업체 세하가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온라인 쇼핑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백판지 시장 내 과점 사업자라는 점에서 국내 제지업체를 중심으로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유암코(연합자산관리)는 2일 세하 매각공고를 내고 공식적인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매각 대상은 유암코가 보유하고 있는 71.6%의 세하 지분 및 503억원 규모 채권이다. 예비입찰은 오는 19일이다. 이후 다음달 17일까지 약 4주간 실사 기간을 거쳐 본입찰을 할 예정이다. 매각주관사는 삼일회계법인이 맡았다.세하는 1984년 설립돼 1996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제과, 제약, 화장품 등의 포장재로 쓰이는 범용 백판지(SC마니라지, 아이보리지 등)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1772억원의 매출을 거둬 총 1조3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백판지 시장에서 약 13%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세하를 비롯해 한솔제지, 깨끗한나라, 신풍제지, 한창제지 등 5대 백판지 업체들은 국내 시장의 95%를 장악하고 있다.2015년까지 적자를 이어가다 유암코의 구조조정 효과가 본격화된 2016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015년 84억원이었던 영업손실이 2016년엔 109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2018년에도 1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약 150억~200억원대다.세하 인수전은 흥행을 끌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많다. 중국의 폐지 수입 제한 조치로 백판지 원료인 고지(폐지) 가격이 하락한 덕분에 백판지업계의 수익성이 높아진 데다, 매년 온라인 쇼핑 시장이 20%대 성장 곡선을 그리며 포장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한국제지,

  • [마켓인사이트] 유암코 첫 인수기업 세하, 5년 만에 매물로

    [마켓인사이트] 유암코 첫 인수기업 세하, 5년 만에 매물로

    ▶마켓인사이트 9월 15일 오후 1시55분유암코(연합자산관리)가 처음으로 인수했던 기업인 세하를 투자 5년 만에 인수합병(M&A) 시장의 매물로 내놨다. 온라인쇼핑이 늘어나면서 세하의 주력 제품인 백판지 수요가 증가하고, 회사 실적도 좋아지고 있는 지금이 세하를 매각할 적기라는 판단에서다.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유암코는 최근 세하 매각을 맡을 주관사를 선정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최근 주요 증권사 및 회계법인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오는 19일까지 RFP를 접수한 뒤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공개매각 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매각 대상은 유암코가 가지고 있는 세하 지분 71.64%와 428억원 규모의 대출채권이다.세하는 1984년 설립돼 1996년 상장한 제지업체다. 제과, 제약, 화장품 등의 포장재인 SC마니라지, 아이보리지 등 범용 백판지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세하의 국내 백판지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15.7%로 한솔제지, 깨끗한나라에 이어 3위다. 세하는 2005년 카자흐스탄 광구 유전 개발 등 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대했지만, 사업 부실이 불거져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보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그 결과 2013년 말 워크아웃(채권단 공동관리 절차)을 신청했다.그전까지 부실채권(NPL) 투자에 주력하던 유암코는 회생기업 M&A에서의 구조조정 기법을 워크아웃에도 적용, 2014년 10월 세하를 인수했다. 산업은행 등이 갖고 있던 채권을 인수한 뒤 이를 출자전환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현재는 1조6000억원가량을 운용하는 유암코의 첫 기업 인수작이었다. 이후 유상증자와 시설 투자 등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1000억원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암코가 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