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국생명, 흥국생명빌딩 7200억에 흥국코어리츠에 매각
흥국생명이 본사로 사용하던 빌딩을 계열사 리츠에 넘겨 7000억원이 넘는 현금을 확보했다.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방식으로 향후 7년간 그대로 본사로 사용한다.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흥국생명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에 위치한 흥국생명빌딩을 흥국코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흥국코어리츠)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매각 금액은 7193억원이다.흥국코어리츠는 올해 출범한 흥국리츠운용이 설립한 리츠다. 태광그룹 계열사가 보유한 핵심 자산을 리츠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일환이다. 흥국생명은 오는 2030년 10월까지 보증금 229억원, 연간임차료 261억원을 지불하며 그대로 본사로 사용한다. 7년 간 사용한 이후 3년 연장 가능한 조건이다.흥국생명빌딩은 흥국생명보험이 지난 2000년 10월 총 1500억원을 들여 준공한 건물로 태광그룹의 사옥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 도심권역(CBD) 핵심 입지에 위치한 대형 오피스 건물이다. 연면적 7만2054㎡(제곱미터), 지하 7층~지상 24층 규모다. 흥국생명을 비롯해 흥국화재, 흥국자산운용 등 태광그룹 주요 금융 계열사 등이 사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네셔널지오그래픽코리아, 엔지씨코리아, 현대종합상사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입주해있다.준공 직후 흥국생명은 태광산업에 이 빌딩을 2530억원에 매각했다가 지난 2009년 4205억원에 되사왔다.이번에 흥국코어리츠의 흥국생명빌딩 매입 자금은 태광그룹 계열사가 약 3000억원을 지원하고 잔여 대금은 담보대출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빌딩 매매 계약을 앞두고 태광산업과 흥국생명이 흥국코어리츠에 각 512억원, 608억원을 출자했다.흥국코어리츠는 추가적으로
-
롯데손해보험, 서울 남창동 본사 2240억원에 매각
롯데손해보험은 서울 남창동 소재 본사 사옥을 캡스톤자산운용이 운용하는 부동산 펀드에 매각한 뒤 재임차해 사용하는 ‘세일 앤 리스백’(Sale&Leaseback)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매가는 2240억원이다. 롯데손해보험은 공시를 통해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따른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본사 사옥을 매각했다’고 밝혔다. 이번 매각으로 2000억원대의 현금을 손에 쥐게 되면서 롯데손해보험의 지급여력(RBC) 비율은 기존보다 8.6%포인트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급여력 비율은 보험사의 자본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다. 이를 통해 2023년 국내에 도입될 예정인 국제회계기준(IFRS 17)과 신지급여력제도에 대응할 수 있는 재무건전성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지급여력제도 도입에 따라 보험사가 보유한 부동산 자산에 대한 위험계수는 현행 ▲업무용 부동산 6%, ▲투자용 부동산 9%에서 최대 25%까지 상향 조정된다. 롯데손해보험 빌딩은 1980년 준공된 지하 4층~지상 21층 규모 오피스 빌딩이다. 남대문 교차로와 맞닿은 대로변에 위치해있다. 롯데손해보험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상층 전체와 지하 아케이드 매장 일부를 모두 매각했다. 캡스톤자산운용은 빌딩 인수 후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자산 가치를 끌어올리는 밸류애드(Value-add) 투자 전략을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남대문 교차로와 맞닿아 있는 대형 오피스 건물인 만큼 리모델링 공사와 밸류애드 전략을 통해 자산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