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들어 문 닫은 점포만 210개…오프라인 시대 저무는 금융권
국내 4대 시중은행이 올해 상반기 국내외에서 약 210개의 영업점을 없앤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 수가 줄어들면서 이들 은행 직원 수는 올 들어 1400여 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영업점(지점+영업소) 수는 2943개로 작년 말(3079개)보다 136개 줄었다. 신한은행의 감축 규모가 44개로 가장 컸다. 이어 우리은행(40개)과 국민은행(36개), 하나은행(16개) 순이었다.은행들은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영업망을 축소하고 있다. 같은 기간 이들 은행의 지점 수는 2569곳으로 137개 줄어든 반면 출장소는 372개에서 374개로 소폭 증가했다.출장소는 전문 상담 인력이 필요한 기업금융 서비스를 제외하고 예·적금, 펀드, 대출 등 개인 여·수신 서비스를 취급한다. 6명 이하의 직원으로 구성돼 지점처럼 넓은 임대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데다 입점사와의 계약에 따라 문을 열거나 닫기 때문에 운용이 탄력적이다.해외 영업망도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국민은행은 2020년 인수한 인도네시아 KB부코핀은행의 체질 개선 사업 등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에만 67개 영업점이 줄어들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각각 10개, 4개를 폐쇄했다.영업망이 쪼그라들면서 창구 직원에 대한 수요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6월 말 기준 이들 은행 임직원 수는 5만5883명으로 반년 만에 1391명 감소했다.금융감독원은 온라인 서비스에 취약한 고령자 등 금융 취약계층을 고려하면 연간 100개 이상의 점포를 닫는 은행들의 영업망 구조조정 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보고 있다. 은행들도 공동 현금자동입출금기(ATM), 공동 점포, 우체국과의 영
-
지금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가 대세[딜로이트 컨설팅]
최근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기술의 고도화, 커넥티비티 및 자율 주행 등 자동차 관련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과 함께 업의 본질 측면에서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이동이라는 고객의 목적 달성을 위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주는 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자동차 산업이 '육상 이동 수단인 車를 만들고 파는 제조업'에 국한됐다면, 이제는 사람과 재화의 이동과 관련한 산업 생태계 전반을 조망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 이를 위한 차량 기술을 함께 확보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우선 차량의 성격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기반의 기계'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 기반의 디지털 디바이스/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로 변화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휘발유/디젤/LPG 기반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 전기차로 변화하고, 이에 따른 차량 구조 변화로 내부 공간에 대한 개념이 달라지고 훨씬 유연해지며, 자동차 간의 데이터 이동, 차량 내 부품 간 데이터 교신, 개인의 모바일 서비스 연계, 자동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제어 등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나 운전자를 대신하는 자율주행 기술의 성숙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동과 관련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주는 업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되는 변화는 이동이라는 범용적 목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도심 내 신속한 단거리 이동, 음식이나 식료품 등 소량 물품의 빈번한 배송 등 세부적 이동 목적에 충실한 목적 기반 차량 (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 및 관련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열린 도쿄 올림픽에서 무인형 셔틀로 활용된 도요타(Toyota)의 e-팔레트(e-palette)가 대표적인 사례다. 스케이트 보드로
-
EY한영, 국내 전략컨설팅 기업 탠저블플러스 인수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은 국내 전략 컨설팅 기업 탠저블플러스(T플러스)를 인수했다고 6일 발표했다. T플러스가 20여년간 국내 소비재, 유통, 헬스케어, 폐기물, 로봇, 산업재 등 여러 산업군에서 기업의 성장 전략과 인수·합병(M&A) 전략 등을 컨설팅해왔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T플러스는 EY한영 내 전략컨설팅 특화조직인 EY파르테논에 합류하게 된다.T플러스의 합류로 EY파르테논은 국내 소비재 및 기업간거래(B2B) 등 여러 산업군에서 전략 중심의 서비스 역량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조직 역량과 규모를 확대해 인수·합병 자문과 인수기업의 기업가치 제고전략 등 전략 컨설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키운다는 방침이다.박용근 EY한영 대표는 "EY파르테논은 인재 확보 및 조직 강화에 집중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통한 성장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T플러스의 합류로 전략 컨설팅의 역량 및 규모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고 말했다.최재원 EY한영 EY파르테논 부문장은 "EY한영은 T플러스와 함께 실현 가능하고 현실적인 전략과 차별화된 경영자문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변동범 T플러스 대표는 EY파르테논의 부문장으로 합류할 예정이다. 변 대표는 "EY파르테논에서 T플러스의 전략컨설팅 노하우, EY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다양한 경험, 전문 인력들과의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변 대표와 함께 T플러스를 이끌어온 최소영 대표는 EY파르테논의 경영자문위원으로 합류키로 했다. EY파르테논은 2014년에 EY가 인수한 세계 5위 전략 컨설팅 조직이다. 전 세계 7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기업이 혁신
-
국민연금, 하나펀드 서비스 통해 자산관리 역량 강화
≪이 기사는 02월09일(15:1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공단은 하나펀드서비스와 국내 위탁운용 자산에 관한 일반사무관리 업무 계약을 맺었다고 9일 밝혔다.국민연금은 기금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투자자산에 대한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산출과 법규준수 여부 점검, 주식 매매체결 지원 등에 대한 일반사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사무관리회사를 두고 있다. 지난해 6월 선정 공고를 거쳐 12월 하나펀드서비스와 업무 위탁 계약을 체결했고, 올해 1월까지 이관 자산에 대하여 집중관리기간을 운영해 왔다.하나펀드서비스는 하나금융그룹의 계열사로 2003년 설립됐다. 하나펀드서비스는 최대 고객인 국민연금을 위해 지난달 공단 본부가 있는 전북 혁신도시에 전주센터를 설치하고 상주 인원 18명을 배치했다. 이 센터를 거점으로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약 137조원 규모의 국민연금 국내 위탁자산에 대한 사무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김용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국민의 노후자산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며 "특히 전주에 국민연금 담당인력을 대폭 배치한 하나펀드서비스를 통해 국민연금기금 위탁 운용자산에 대한 사무관리 업무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KB인베스트먼트, 글로벌 웹툰 서비스 태피툰에 61억원 시리즈A 투자
글로벌 웹툰 서비스 태피툰(Tappytoon)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가 KB인베스트먼트로부터 61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콘텐츠퍼스트는 KB인베스트먼트에서 61억원을 신규로 투자 받고, 본엔젤스 등 기존 투자자들의 추가 투자로 시리즈A 라운드를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KB인베스트먼트는 이번 시리즈A 투자에 신규 투자자로는 단독으로 참여했다.2016년 서비스를 시작한 태피툰은 국내 유명 웹툰을 영문화해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국내 웹툰 가운데 해외 독자에게도 통할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해 번역한 뒤 유료로 제공하고, 작가와 수익을 공유한다. 태피툰은 2020년 6월 현재 190여개국에서 300만명 이상의 독자를 확보했다. 지난 달에는 200만 달러(약 24억원)를 훌쩍 넘기면서 하루 매출액도 10만 달러를 넘나들고 있다. 해외에 소개한 대표작으로는 ‘황제의 외동딸’ ‘나혼자만 레벨업’(디앤씨미디어), ‘김비서가 왜 그럴까’(YJ 코믹스), ‘허니 블러드’(씨엔씨레볼루션) 등이 있다.KB인베스트먼트는 태피툰이 글로벌 웹툰 시장에서 이미 자리 잡은 몇 안되는 업체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이지애 KB인베스트먼트 이사는 "한국 웹툰으로 북미를 중심으로한 글로벌 서비스를 성공시키며 시장을 증명했다"며 "이제는 그 동안 쌓인 태피툰의 기술력과 핵심 IP로 유럽 중심의 서비스 지역 확장 및 고속 성장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태피툰은 이번 투자금을 활용해 유럽 시장 등 신규 시장 개척에 나설 계획이다. 7월에는 프랑스어, 8월부터는 독일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어니스트 우 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