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삼양, SK지오센 삼양패키징 지분 10% 전량 인수…포장재 동맹 종료

    삼양, SK지오센 삼양패키징 지분 10% 전량 인수…포장재 동맹 종료

    삼양그룹이 SK지오센트릭과의 3년간 '포장재 동맹' 관계를 사실상 마무리했다.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SK지오센트릭은 지난 2일 보유 중이던 삼양패키징 주식 157만8867주(지분 10%)를 삼양사에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전량 매각했다. 이로써 삼양사의 삼양패키징 지분율은 61.17%에서 71.47%로 확대됐다. 거래 단가는 주당 1만730원으로, 총액은 169억원 규모다. 시가(1만4210원) 대비 24% 낮은 금액에 거래가 이뤄졌다.   SK지오센트릭은 “비핵심 자산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를 매각 이유로 밝혔다. 글로벌 석유화학 경기 둔화 속에서 사업 구조를 친환경 소재 중심으로 재편하는 그룹 차원의 전략에 따른 것이다. 2022년 삼양패키징 지분을 380억원에 매입했던 SK지오센트릭은 이번 매각으로 약 210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게 됐다.양사는 2022년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강화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고, 삼양패키징이 같은 해 말 재활용 전문 자회사 ‘삼양에코테크’를 설립하면서 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 지분 매각으로 협력 관계는 사실상 종료됐다. 삼양은 그룹 핵심 자회사인 삼양패키징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며, 친환경 포장 자회사 삼양에코테크를 중심으로 독자 성장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삼양패키징은 페트(PET)병과 무균충전 음료용기 등을 생산하는 포장 전문기업으로, 원료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일괄 처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2121억원, 영업이익은 124억원으로 각각 작년 같은 기간 대비 7.7%, 43.2% 감소했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 '자사주 동맹' 확산…광동제약, 협력사 3곳에 9.5% 처분

    '자사주 동맹' 확산…광동제약, 협력사 3곳에 9.5% 처분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앞두고 협력사를 통해 자사주를 처분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경영권이 위태로워질 수 있는 '단순 소각'을 피하는 동시에 사업 명분까지 확보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전날 삼양패키징·금비·삼화왕관에 자사주 373만4956주(지분율 9.5%)를 처분했다고 공시했다. 총 220억원 규모다. 광동제약은 기존 25.1%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던 회사다. 삼양패키징에는 자사주를 단순 매각했고, 금비와 그 자회사인 삼화왕관과는 자사주를 맞교환했다. 4개사 모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다.광동제약은 우선 삼양패키징에 자사주 235만8940주(6%)를 총139억원에 팔았다. 금비와 삼화왕관과는 자사주를 맞교환하는 방식을 택했다. 광동제약은 금비에 자사주 66만1016주(지분율 1.68%)를, 금비는 그 대가로 광동제약에 자사주 6만5000주(7.94%)를 지급했다. 전날 종가 기준 약 39억원 규모다. 삼화왕관에는 자사주 71만5000주(1.82%)를 줬고, 6.56% 규모(11만8000주)의 삼화왕관 자사주를 받았다. 42억원 상당이다.광동제약이 자사주 처분에 속도를 낸 것은 우호 지분을 확보해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최성원 광동제약 회장의 지분율은 6.59%다. 특수관계인을 포함하면 18.19%다. 25.1%에 달하는 자사주를 단순 소각하면 지분율은 36.48%로 올라가는 데 그친다. 2대 주주는 미국계 투자사 피델리티로 현재 9.99%의 지분을 들고 있다. 단순투자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위협적인 수준이다.소각 의무화를 앞두고 협력사에 처분하는 묘수를 찾았다는 평가다. 자사주는 제3자에게 처분하면 의결권이 되살아난다. 경영권 위협 시 우호지분으로 활용

  • 현대엘리·JB금융·삼양패키징…목소리 높이는 행동주의

    현대엘리·JB금융·삼양패키징…목소리 높이는 행동주의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행동주의 펀드들이 주주서한을 보내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고 있다. 주주제안은 상법상 주주총회 개최일 6주 전까지 서면으로 제출해야 하는 만큼 향후 행동주의 펀드의 움직임은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은 전날 KB·신한·하나·우리·JB·BNK·DGB금융지주 등 국내 상장 은행지주 일곱 곳에 지난해 약속한 주주환원책을 실적에 맞춰 이행하라는 내용을 담은 주주서한을 보냈다. 지난 5일에는 JB금융지주에 총 다섯 명의 이사 후보 명단을 전달하기도 했다.얼라인파트너스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지주들이 진전된 주주환원책을 발표했지만 이를 실제로 이행하라고 촉구하기 위해 주주서한을 발송했다”며 “금융지주들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주주제안을 검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VIP자산운용은 지난 9일 지분 5.38%를 보유하고 있는 삼양패키징의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했다.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책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기 위해서다. VIP자산운용 측은 “삼양패키징 주가가 저평가된 것은 현금배당 위주의 주주환원책이 시장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평가받는 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백복인 KT&G 사장은 지난 9일 4연임을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플래쉬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FCP) 등 행동주의펀드는 백 사장의 연임을 비판하며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한 바 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지난달 현대엘리베이터 등기이사직과 이사회 의장직에서 사임한다고 했다. KCGI자산운용은 현 회장의

  • VIP운용 행동주의 또 통할까…삼양패키징에 주주환원 요구

    VIP운용 행동주의 또 통할까…삼양패키징에 주주환원 요구

    아세아그룹과 HL홀딩스의 주주환원책을 이끌어낸 VIP자산운용이 이번에는 삼양패키징에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적극적인 주주환원책을 요구하기로 했다. VIP자산운용은 9일 "지분 5%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삼양패키징의 지분 보유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오는 3월 삼양패키징 주주총회를 앞두고 보다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방침이다.VIP자산운용은 "실적 턴어라운드와 신사업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현재 삼양패키징 주가가 저평가된 것은 현재의 현금배당 위주의 주주환원책이 시장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받는 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이에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 투자자들이 예측가능한 중기 주주환원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자사주 매입·소각은 주당 순이익을 높이고 세금 측면에서도 장기주주들에게 유리한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이다.김민국 VIP자산운용 대표는 “삼양패키징이 100% 가까운 배당성향에도 불구하고 6년전 공모가 비해 40% 가까이 주가가 하락한 상황이 안타깝다”며 “VIP자산운용은 우호적인 장기투자자로서 삼양패키징이 선진화된 주주정책 도입으로 시장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VIP자산운용은 지난해 11월 HL홀딩스에 주주환원책을 요구,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매입·소각안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 ‘볼트온 전략’ 눈길 어펄마, 독립후 자산 급증 [PEF 업계는 지금]

    M&A

    ‘볼트온 전략’ 눈길 어펄마, 독립후 자산 급증 [PEF 업계는 지금]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어펄마캐피탈매니져스코리아(이하 어펄마코리아)가 독립 후 운용 자산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유사 업종을 인수·합병(M&A)해 투자 기업 가치를 키우는 볼트온(bolt-on) 전략 등 투자 성과가 기관투자가(LP)의 관심을 끈 덕분이다. 14일 금융감독원의 ‘기관전용 PEF 현황 업무자료’에 따르면 어팔마코리아의 작년 말 운용자산(출자약정액 잔액)은 1조1759억원으로 전체 24위에 랭크됐다. 일부 펀드의 청산과 더불어 1년 전 48위 5460억원으로 줄었던 잔액을 다시 두 배 이상으로 불렸다. 블라인드 펀드 ‘어쎈타5호’ 자금모집(fundraising) 성공이 운용자산 1조원 이상 대형 GP(업무집행사원) 도약을 뒷받침했다. 한 PEF 운용업계 관계자는 “2019년 회사 분할(spin-off) 이후 첫 자금모집으로 어쎈타5호를 설립했는데, 그동안 투자 기업의 가치를 키워낸 성과를 인정받아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라고 평가했다.어펄마캐피탈은 2002년 스탠다드차타드 PE로 출발한 뒤 2019년 경영자인수(MBO)를 거쳐 새출발했다. 김태엽 대표가 이끄는 어펄마코리아는 어펄마캐피탈의 한국 자회사로 작년 새 펀드로 △어쎈타제5호(5434억원) △메이플모빌리티(496억원) △토러스클라우드(370억원)을 설립했다. 어쎈타5호는 이날 현재 티맵모빌리티, 메타넷티플랫폼, 세아FS와 세아에삽, 한마음에너지, 빔모빌리티 등에 투자하고 있다.볼트온 M&A 등을 활용한 투자기업의 가치 향상 실적이 기관으로부터 호평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어펄마코리아는 2011년 이후 국내 어쎈타 시리즈 펀드를 활용해 10건 2316억원 규모 해외 투자를 진행했다. 볼트온 M&A는 2014년 이후

  • 삼양패키징, 차환용 회사채 수요예측 거뜬히 성공

    ≪이 기사는 08월31일(15:5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삼양패키징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무난하게 투자자를 확보했다.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삼양패키징이 전날 회사채 3년물 500억원 발행을 예정하고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1320억원의 주문이 들어왔다.금리는 개별민평금리 연 2.3%와 비슷한 수준에서 모집물량을 채웠다. 이달 차환예정인 기존 2018년 발행한 500억원 규모 회사채는 2.823%에 달해 이자비용을 아낄 것으로 예상된다. 삼양패키징은 다음달 6일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이며 최대 1000억원까지 발행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아셉틱 인기 높아지자 삼양패키징 신용도도 '쑥쑥'

    아셉틱 인기 높아지자 삼양패키징 신용도도 '쑥쑥'

    ≪이 기사는 06월07일(17: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삼양패키징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이 올랐다.나이스신용평가는 7일 삼양패키징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을 종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꿨다. 현재 A-인 삼양패키징의 신용등급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삼양패키징은 아셉틱(무균충전공법) 방식의 음료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기반이 확대되면서 이익창출능력이 좋아지고 있다. 삼양패키징은 아셉틱 부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리면서 업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매출도 꾸준히 성장해 아셉틱 부문의 지난해 매출이 2016년 대비 72.5% 증가했다.아셉틱 부문은 기존에 차류를 중심으로 성장했지만 최근에는 커피와 스포츠 음료 등 다른 음료에도 도입되고 있다.나이스신용평가는 "아셉틱 부문의 수익성이 다른 용기 부문에 비해 우수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아셉틱 부문의 판매량 확대에 따라 이익창출능력이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잉여현금흐름 창출을 바탕으로 차입금을 순상환하고 있어, 채무부담 축소에 따라 재무안정성 역시 좋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지난달 또 다른 신용평가사인 한국기업평가는 이미 삼양패키징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높여 잡았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무균 페트병 인기 오르니…삼양패키징, 신용도 '활짝'

    무균 페트병 인기 오르니…삼양패키징, 신용도 '활짝'

     삼양패키징의 신용등급이 오를 전망이다.한국기업평가는 14일 삼양패키징의 신용등급 전망을 종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올렸다. 현재 A-인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아셉틱(무균충전공법) 업황 호조와 증설 효과에 따른 영업현금창출능력 확대 덕분이다. 투자 부담 축소에 따른 재무안정성 향상도 이번 등급전망 조정의 배경이 됐다.아셉틱은 고부가 중심의 제품 구성, 대용량 제품 판매 확대 등으로 높은 판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엔 특히 대용량 커피가 유행하면서 아셉틱 커피 판매가 늘었다. 스포츠 음료와 희석 음료 등에서도 아셉틱 수요가 증가했다.한국기업평가는 "올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와 유사하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4.6% 증가한 58억원"이라며 "이익창출 확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2019~2020년 투자 규모를 축소하면서 재무지표도 좋아졌다. 삼양패키징의 지난해 말 기준 총차입금과 순차입금은 각각 전년 말 대비 240억원, 478억원 감소한 1948억원, 1352억원을 기록했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삼양패키징, 회사채시장 ‘데뷔’

    ≪이 기사는 07월31일(15:1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삼양사의 자회사로 페트병 제조사업을 하는 삼양패키징이 설립 후 첫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양패키징은 오는 9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3년 만기 회사채 5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들로부터 신용등급을 ‘A-’(안정적)로 평가받고 발행작업에 착수했다.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삼양패키징은 2014년 삼양사가 용기(容器)사업을 물적분할해 세운 자회사다. 2015년 효성 패키징사업을 흡수합병하면서 기존 음료 페트병 제조에 음료 원료액 배합 및 무균충전(아셉틱) 사업까지 거느리게 됐다. 현재 국내 1위 페트병 제조업체로 이 시장의 38%를 점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최근 주요 제품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산공장을 늘리는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1000억원가량을 이번 증설을 위해 투입할 계획이다. 채권시장에선 삼양패키징이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해당 투자에 사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채권시장에선 삼양패키징의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고려하면 여러 기관투자가가 이번 회사채 투자에 관심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삼양패키징은 2016년과 2017년 연간 3000억원대 매출과 600억원대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을 거두고 있다. 지난 1분기 매출은 755억원, EBITDA는 73억원을 기록했다. 효성 패키징사업 인수자금을 조달하면서 2014년 23억원에 불과했던 차입금이 지난 3월 말 1893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양호한 현금창출능력을 고려하면 재무구조가 추가로 악화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